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91192381138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2-08-31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사람이 사람답게 일하는 조직
제1부: 동기를 촉진하는 조직의 조건
동기는 행동과 사건이다
동기는 욕구가 중요하다
조직과 그 사회의 정의
자유와 평등이라는 전제조건
제2부: 조건을 충족하는 조직의 계약
계약은 매우 불완전하다
불완전 계약과 선의의 계약
욕구와 정의, 그리고 계약
조직의 계약을 이루는 조건
계약의 힘 1 : 자기결정권
계약의 힘 2 : 자본의 획득
계약의 힘 3 : 자기실현
조직계약과 조직민주주의
제3부: 계약을 반영하는 조직민주주의
가상의 조직으로 초대
조직의 제1덕목은 무엇인가
조직의 공정이란
무지의 베일로 들어감
조직 스스로의 입법
조직의 재조직화
보이지 않는 의지
롤즈의 조직에 대한 몇 가지 반론들
사람들이 정말 그렇게 선택할까? 사람에 대한 믿음, 그리고 리더
과연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가
마치는 글: 공의의 조직, 조직민주주의 선언문
부록
홉스의 사회계약과 홉스의 조직
로크의 사회계약과 로크의 조직
루소의 사회계약과 루소의 조직
사회계약과 조직계약
참고문헌
감사의 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람은 본질적으로 자유롭고 평등한 존재이다. 그러기에 존엄하다. 자유롭고 평등한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는 것이 사회정의(social justice)이다. 그리고 이것이 복지국가이다. 사람의 존엄성과 사회정의는 사회 속에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자유와 평등은 장소에 따라 다르지 않다. 사회가 자유와 평등을 가치 있게 여긴다면 조직 역시 그래야 한다. 사회가 자유와 평등을 추구한다면 조직 역시 자유롭고 평등해야 한다. 서울에 사는 사람, 경기도에 사는 사람, 강원도에 사는 사람의 자유와 평등이 다르지 않다. 마찬가지로 사회 구성원과 조직 구성원의 자유와 평등은 다른 것일 수 없다. 그러므로 매슬로우의 정의와 공정성에 대한 주장은 조직에서의 민주주의와 다르지 않다.
계약의 힘은 자기결정권과 자본의 획득, 그리고 자아실현에 있다. 그것은 자발성(외부가 아닌 내부의 힘)과 자율성(스스로 개정), 그리고 자유와 평등이라는 계약의 조건을 충족하는 과정이자 결과이기도 하다. 이러한 조건과 힘에 의해 조직의 계약은 정의롭고 그것이 조직민주주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