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91192404660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4-04-1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_4
Chapter1 물리적 보안 관리론 개념
01. 물리적 보안 관리의 기본 개념 _12
02. 물리적 보안 구성 및 중요성 _24
연습문제 _34
Chapter2 출입통제 운영
01. 출입 통제 _38
02. 출입 통제 시스템 종류 _41
03. 보안 디자인(출입구 디자인) 원칙 적용 _57
04. 출입 통제의 모범 사례 _60
연습문제 _63
Chapter3 감시와 모니터링
01. 감시와 모니터링의 개념 _68
02. 감시와 모니터링의 접근 방법과 사례 _70
03. 감시와 모니터링 CCTV 역할과 필요성 _73
04. CCTV 시스템 효과적 운영 _75
05. 모니터링 방법과 도구 _79
06. 비상 상황 대응위한 감시 단계 _83
연습문제 _85
Chapter4 환경제어
01. 물리적 보안에서 환경제어의 개념 _90
02. 환경제어 방법과 고려사항 _92
03. 화재 및 홍수 방지 _98
04. 전원 공급 안정성 전략 _103
연습문제 _106
Chapter5 재해 및 비상대응
01. 재해 대응 _112
02. 비상 대응 시나리오 _118
03. 재해 복구 및 회복 _124
연습문제 _127
Chapter6 테러리즘
01. 테러리즘 _132
02. 물리적 보안과 테러와의 관계 _133
03. 테러리즘의 개요 _135
04. 테러리즘의 정의 _140
05. 테러리즘의 유형 _146
06. 테러의 공격형태 _153
07. 테러양상의 변화 _163
08. 테러용 폭발물 _179
연습문제 _185
Chapter7 사제폭발물(IED) 테러위협
01. 사제폭발물 제조, 범행도구 사용 _192
02. 국내ㆍ외 사제폭발물 사용 현황 _199
연습문제 _203
Chapter8 자생테러의 위협과 대응
01. 제4세대의 전쟁, 비대칭전쟁 _208
02. 자생테러의 개념, 조직 및 전술 _212
03. 자생테러의 주요사례 _222
04. 한국의 자생테러의 위협과 대비전략 _227
05. 한국의 자생테러의 가능성 _233
06. 한국의 자생테러 대비전략 _240
연습문제 _244
Chapter9 핵물질 불법거래와 국가안보
01. 방사성 물질의 보안체계 악화 _248
02. 국제적 핵물질 불법거래 실태와 문제점 _262
03. 국제적 핵물질 불법거래에 대한 국내 대응방안 _267
연습문제 _272
Chapter10 항공 테러리즘
01. 공중범죄는 현실의 당면과제 _278
02. 항공기 범죄 발생 원인과 문제점 _282
03. 항공기 범죄에 대한 대응방안 _289
연습문제 _305
Chapter11 해상 테러리즘
01. 해상주도권 확보를 위한 각축 _310
02. 해상수송로의 개념 _314
03. 해상수송로 상황과 현실 _316
04. 해상 테러리즘에 대한 대응방안 _322
05. 해상테러리즘 방지를 위한 방안 _331
연습문제 _337
Chapter12 미래의 물리적 보안 동향
01. 신기술의 도입과 물리적 보안의 미래 전망 _342
02. 보안 업계의 동향 _346
연습문제 _348
Chapter13 독자들에게 드리는 팁/용어해설
01. 물리적 보안의 핵심 메시지 _354
02. 독자들에게 주는 조언 _356
03. 주요 용어해설 _359
04. 물리적 보안 케이스 스터디 _367
05. 참고자료 및 리소스 _391
06. 재해 손실 보호법 _395
참고문헌 _402
저자소개
책속에서
믈리적 보안 관리론(Military Security Management Theory)은 원래는 군사 및 국방 분야에서 보안을 관리하고 강화하기 위한 이론과 원칙을 다루는 학문에서 연유한다. 이는 기술, 정책, 교육 및 엄격한 절차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다양한 측면을 통합하여 조직의 안전과 보안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지금은 기업, 정부기관, 군사시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분야이다.
따라서 물리적 보안(Physical Security)은 출입의 통제, 적절한 설비의 구축 및 화재, 정전 등의 비상사태에 대한 방지, 절도 및 도난 방지 등의 강력한 보안 절차를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최근에는 컴퓨터와 같은 정보자산의 경우까지도, 분산 네트워크 환경으로 변화하면서 정보자산도 어디에서든 접근, 침투가 가능하기 때문에, IT 등 디지털 보안과 함께 융합적 측면에서 물리적 보안에 대한 부담과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3. 테러와 대량살상무기(wmd)의 비확산노력
9·11테러로 미국 주도하에서 테러와의 전쟁이 시작되었고 지난 2002년에는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의해 탈레반 정권이 무너지고, 2003년에는 이라크 전쟁에서 사담 후세인이 축출됨으로써, 조지 W. 부시(George W. Bush) 당시 미국 대통령은 2003년 5월 1일 이라크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선언한 바 있다. 그러나 미국은 사담 후세인과 전쟁에서 승리했지만 이슬람테러리스트들과 새로운 전쟁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고, 지금도 세계 도처에서 테러사건들이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9·11테러를 자행한 ‘알 카에다(Al-Qaeda)’가 국제적 네트워크를 가진 테러집단이라고 알려지면서, 테러와 대량살상무기(WMD) 확산방지문제는 일부국가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 세계 차원의 문제이므로 국가 간 공조가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대두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9·11테러 이후 국제사회의 안정과 평화에 심각한 위협으로 인식되고 있는 테러와 대량살상무기의 확산 및 연계를 예방하기 위해 유엔을 중심으로 테러와 비확산 노력이 지속적으로 강구되고 있다
2) 3·11마드리드 테러의 특징과 교훈
마드리드 테러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인터넷 등 첨단통신장비를 이용한 초국가적 연계조직에 의해 테러가 발생했다는 점이다. 스페인 수사당국은 사고현장에서 발견한 불발폭탄에 장착된 휴대폰과 마드리드 북동부 25km 지점에서 발견된 도난차량에서 7개의 뇌관과 아랍어로 된 코란의 녹음테이프를 발견함으로써 사건의 진상을 밝힐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은신처에서 발견된 녹음테이프에는 알카에다의 유럽 조직인‘알 무프티 여단’과‘안사르 알카에다’라는 조직의 이름으로 녹음이 되어 있었다는 것과 알카에다가“폭탄테러가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밝힌 점을 추정해 볼 때 마드리드 테러는 알카에다와 느슨하게 연계된 자생적 조직에 의해
수행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첨단 장비가 테러의 수단으로 사용된다는 점이다. 테러범들은 일회용 무선장비를 이용한 기폭장치를 사용하여 4개의 열차에서 고성능 폭탄 10개를 4-5분 간격으로 폭발시켰다.
셋째, 테러에 가담하는 인원이 점차 증가한다는 점이다. 3·11마드리드 테러는 휴대폰을 기폭장치로 사용함으로써 자살폭탄 테러가 아니더라도 대형 테러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문제는 동시다발적으로 대형 테러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많은 인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조직과 기획팀, 그리고 4개의 열차에서 거의 비슷한 시간에 테러를 일으키기 위한 행동 팀을 합한다면 테러범들의 수는 20명 안팎이 될 수 있다. 스페인은 3·11테러 범행용의자 76명 중 25명을 구속 기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