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범죄 그리고 범죄인

범죄 그리고 범죄인

(새로운 범죄학)

이만종 (지은이)
솔과학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000원 -0% 0원
290원
28,710원 >
29,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900원
2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범죄 그리고 범죄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범죄 그리고 범죄인 (새로운 범죄학)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범죄문제
· ISBN : 9791187124818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21-01-20

책 소개

범죄와 범죄인을 다룬 이론서이다. 범죄학 이론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저자의 이전 자료들을 새롭게 총망라하여 정리하였다. 더 나아가 금후의 범죄학 연구에 있어서의 중점적 유의점을 종합해 보았다.

목차

서문 _4

제1편 범죄학의 기초이론
제1장 범죄학이란 무엇인가?
1. 제왕의 학문이라는 학제적 성격을 가졌다 _18
1) 형사학 _19 2) 범죄학 _20 3) 형사정책 _21
2. 범죄학은 범죄의 원인연구와 진단에 중점을 두고 있다 _22
3. 범죄학의 학문적 영역은 독립적 형태로 발전 한다 _22

제2장 범죄의 개념과 연구대상은 무엇인가
1. 범죄의 개념 _24
1) 교과서 속 범죄개념 _25 2) 범죄의 주체 _25
2. 범죄의 확장 개념에 대한 성립요건 _26
1) 구성요건 해당 성 _27 2) 위법성 _28 3) 책임성 _28
3. 처벌할 수 없는 범죄도 연구대상에 포함 한다 _30
4. 반사회적 일탈행위까지 연구대상에 포함 한다 _31
5. 범죄학의 영역은 다양하다 _33

제3장 시대변화에 따라 범죄형태도 진화한다
1. 정보화 사회와 범죄 _34
2. 사이버 범죄와 모방범죄 증가 _36
3. 국경 없는 범죄 _37
4. 약자의 범죄 _38

제4장 한국의 범죄추이
1. 서설 _40
2. 우리나라의 범죄발생 추이 _42
1) 범죄발생 추이 _42 2) 최근의 범죄동향 _43
3. 범죄의 경향 평가 _45
1) 범죄가 흉악 화·폭력화하고 있다 _45 2) 새로운 범죄현상이 출현하고 있다 _46 3) 점차 범죄연령이 낮아지고 있다 _48

제2편 범죄통계
제1장 서설

제2장 범죄통계
1. 우리나라에서 운용되고 있는 범죄통계 _55
2. 『범죄백서』와 『경찰백서』 _56

제3장 범죄통계의 딜레마
1. 세상에 드러나지 않는 범죄, 숨은 범죄 _59
1) 범죄 실태와 통계의 신뢰도를 왜곡 시킨다 _59 2) 낙인의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피해자 없는 범죄와 비 범죄 화 논의 _60 3) 암수가 발생하는 주요원인 _61 4) 범죄통계가 가지고 있는 한계 _62
2. 범죄통계에 관한 편견과 부정확성의 근원 _64
3. 범죄 유형을 분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_65

제4장 범죄예측
1. 범죄를 조기에 예측하는 법 _68
1) 의의 _68 2) 범죄예측을 해야 하는 목적 _69 3) 범죄예측 시 전제해야 하는 조건 _70
2. 범죄예측은 언제 해야 하고 그 방법은 무엇인가? _72
1) 예측시점에 따른 분류 _72 2) 예측방법에 의한 분류 _74
3. 범죄조기예측법의 변화와 발전경향 _76
1) 조기예측법의 발전 방향 _76 2) 미국의 범죄예측법의 발전 _77
4. 다양해지고 있는 범죄조기예측방법 _81
1) 조기예측법의 변화와 검사방법 _81 2) 대표적인 조기예측 검사법은 무엇이 있는가? _90
5. 범죄예측의 한계 _237
6. 범죄예측을 활용해야하는 방안은 무엇인가? _91

제3편 범죄학 이론의 발전
제1장 서설

제2장 근대이전의 「범죄학」 이론
1. 범죄는 악마의 소행이다 _97
2. 자연주의적 경험론 _100

제3장 근대 이후 범죄학이론
1.이론발달의배경:새로운시대와사상이나타나게되었다 _101
2. 고전주의 범죄학의 형성 및 발달 _102
1) 공리주의 영향으로 등장한 고전주의 범죄 론과 형벌 관 _103
2) 고전파 범죄학의 견해 _108 3) 형벌중심의 범죄방지 이론, 신고전, 현대적 고전주의 및 범죄경제학 _110

제4장 실증주의 범죄학
1. 실증주의 범죄학의 태동 _113
2. 이탈리아 실증주의 학파 _114
1) 범죄학의 아버지 롬브로조의 생래적선천성 범죄인설 _114
2) 범죄사회학의 창시자 페리의 범죄원인의 삼원 설 _117 3) 가로 팔로의 자연범설 _118

제5장 생래적 범죄인설의 시작
1. 제도학 파 _119
2. 범죄자의 신체적 특징 _121
1) 두개학 _121 2) 인상학 _121 3) 골상학 _122 4) 대뇌생리학의 단서 제공 _122
3. 다윈의 진화론 _123
1) 자연선택설 _123 2) 자연선택설의 영향 _124
제6장 범죄학의 발전경과

제4편 범죄사회학 이론
제1장 서설

제2장 범죄사회학의 전개
1. 범죄사회학 이론 형성 _129
1) 프랑스 환경학파 _130 2) 프랑스 사회학파 _131
2. 범죄사회학 이론의 새로운 전개 _136
1) 형사사회학파와 사회주의 범죄학파 _136 2) 시카고학파 _139

제3장 사회구조 접근방법
1. 아노미 이론 _141
1) 뒤르껭Durkheim의 아노미론자살이론 _142 2) 머튼Merton의 아노미론사회무질서론 _143 3) 사회무질서 상황에서 적응 _144
2. 하위문화이론 _145
1) 비행 하위문화론 _145 2) 관심집중 론 ; 하류계층문화이론_147 3) 상대적 결핍론 _149
3. 분화 적 기회구조론 _150
4. 사회구조 접근방법에 대한 평가 _151
5. 사회구조 접근방법의 적용 _152

제4장 사회과정 접근방법
1. 차별적 접촉이론 _154
1) 차별적 접촉이론의 사회심리학적 명제 _155 2) 차별적 동일시 이론의 대두 _156
2. 사회과정론 접근방법에 대한 평가 _157

제5장 사회갈등 접근방법
1. 문화갈등 론 _159
1) 갈등이론의 대두 _159 2) 문화갈등 론의 의미 _159
2. 투쟁이론 _161
1) 급진적 갈등 론 _161 2) 범죄화이론 _162
3. 사회갈등 접근방법의 비판 _163

제6장 범죄사회학적 접근방법의 한계

제5편 1960년대 이후 범죄학 이론의 진보
제1장 서설

제2장 맛차의 표류이론
1. 표류이론의 기본개념 _169
2. 중화中和기술이론 _170

제3장 낙인이론
1. 낙인이론의 기본개념 _173
1) 사회 상호작용론 _174 2) 제2차적 일탈 _174 3) 악의 드라마 화극화 _175 4) 예언을 통한 자기성취 _175 5) 패배자이데올로기 _176
2. 낙인이론의 평가 _176

제4장 통제이론
1. 사회통제이론 _179
1) 사회적 결속이론 _180 2) 견제이론 _181 3) 사회통제이론의 비판 _181
2. 자기통제이론 _182
3. 법률적 통제 _184
4. 통제이론에 대한 평가 _184

제6편 범죄의 생물학적 요인
제1장 서설

제2장 범죄생물학의 전개
1. 범죄인류학 _190
1) 페리의 범죄원인 설 _191 2) 페리의 범죄대책 설_192 3) 가로 팔로의 범죄학 이론 _193
2. 고링의 범죄인류학 비판 _194
3. 범죄생물학의 발전 _196

제3장 범죄의 생물학적 요인

제4장 범죄자 가계연구
1. 가계연구의 대표 _201
1) 쥬크家연구 _201 2) 칼리카크家연구 _202
2. 가계연구의 비판 _202

제5장 쌍생아 연구
1. 쌍생아 연구의 의의 _204
2. 쌍생아 연구의 전개 _205
1) 쌍생아 연구의 시작 _205 2) 쌍생아 연구의 발전 _206
3. 쌍생아 연구에 대한 평가 _207

제6장 양자연구
1. 양자연구의 기원과 전개 _210
2. 양자연구의 발전 _210
1) 허칭스와 메드닉의 연구 _210 2) 기타 양자연구 _212
3. 양자연구의 한계 _213

제7장 이상염색체 연구
1. 염색체와 이상염색체 _214
1) XXY염색체 _215 2) XYY염색체 _216
2. XYY염색체 연구 성과 _217
1) 1960년대의 연구 _218 2) 1970년대 이후의 연구 _218
3. 이상염색체 연구결과 분석 _220

제7편 범죄의 생화학적 요인
제1장 서설

제2장 범죄생화학의 대두

제3장 범죄의 생화학적 요인
1. 「호르몬과 범죄」 연구 _228
2. 성호르몬과 범죄 _229
1) 월경과 범죄 _229 2) 남성호르몬과 범죄 _231
3. 테스토스테론의 실증적 연구 _233
4. 성호르몬과 범죄」의 관련성 _234

제4장 영양과 범죄
1. 「영양과 범죄」 연구 경위 _236
2. 「영양과 범죄」의 실증적 연구 _237
3. 영양과 범죄의 관련성 _238
1) 비타민과 범죄 _239 2) 미네랄과 범죄 _239 3) 저혈당증과범죄 _240 4) 알레르기와 범죄 _241
4. 영양과 범죄」 연구에 대한 평가 _242

제5장 신경생리학과 범죄
1. 뇌파의 연구 _243
2. 이상뇌파와 범죄 _244
3. 이상뇌파」 연구의 영향 _247

제6장 뇌장애와 범죄
1. 기질성 뇌장애와 범죄 _250
1) 뇌종양과 범죄 _250 2) 뇌손상과 범죄 _250 3) 기타 중추신경계의 질환과 범죄 _251 4) 전두엽의 장애와 범죄 _252 5) 뇌 반구기능 장애와 범죄 _252 6) 왼손잡이와 범죄 _253
2. 유소년기의 뇌장애와 범죄 _253
1) 주의 결함 다 동성 장애와 범죄 _254 2) 조유아기 뇌장애와 범죄 _254 3) 학습장애와 범죄 _255 4) 자율신경과 범죄 _255
3. 「뇌장애와 범죄」 연구에 대한 평가 _256

제8편 범죄의 심리학적 요인
제1장 서설

제2장 범죄심리학의 발전
1. 범죄심리학의 시작 _263
2. 범죄심리학의 발전 _266
1) 정신측정학파 _266 2) 정신병질학파 _268 3) 정신분석학파 _270
3. 인격심리학적 이론 _279
4. 인지발달이론 _280
5. 행동 및 학습이론 _281
1) 의의 _281 2) 연상학습이론(조건반사) _282 3) 강화이론 _283
4) 행동 및 학습이론의 응용 _287

제3장 심층심리와 범죄
1. 범죄행위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접근 _288
1) S·프로이드의 「이드」와 「에고」, 「슈퍼에고」 _288 2) C·융의 「내향성」과 「외향성」 _290 3) 알프레드 아들러의 「열등감」과 「과잉보상」 _292 4) A·에이크혼의 「비행의 잠복」 _293
2. 정신분석학적 범죄이론에 대한 공헌점과 비판점 _294

제4장 성격과 범죄
1. 유형론적 접근방법 _295
1) 신체구조와 성격·기질유형론 _296 2) 크레취머설의 검증 _296 3) 체형과 기질 _297 4) 범죄인의 행동양식의 특징과 성격에 의한 분류 _298 5) 유형론 적 접근방법의 문제점 _299
2. 특성론적 접근방법 _299
1) 글륙부부의 비행소년 연구 _300 2) H·아이젠크의 범죄자의 성격 특성 _300 3) 성격 테스트 _301 4) 성격 테스트의 신뢰성 저하 _303 5) 부활된 범죄자 특성 연구 _304
3. 「성격과 범죄」 연구에 대한 한계 _305

제5장 지능과 범죄
1. 지능측정 _307
2. 초기의 지능과 범죄의 연구 _308
1) 고다드의 실증적 연구 _308 2) 지능과 범죄의 관련성 _308
3. 「지능과 범죄」 연구의 활성화 _309
1) 최근의 「지능과 범죄」 연구 _309 2) 패린튼과 웨스트의 종단적 연구 _311
4. 지능의 유전 여부 _312
1) IQ 논쟁 _312 2) 한스타인과 마리의 벨 곡선 _312
5. 지능과 범죄」 연구에 대한 지적 _314

제6장 정신장애와 범죄
1. 정신장애 진단기준 _315
2. 정신장애의 종류 _316
1) 정신분열증 _317 2) 조울증 _318 3) 간질 _319 4) 비정형 정신병 _321
3. 기질성 정신병·중독성 정신병 _237
1) 기질성 정신병 _321 2) 중독성 정신병 _322
4. 반사회성 인격장애 _323
5. 신경증 _325
6. 다중인격과 범죄 _326
7. 이상성욕 _328

제9편 범죄의 사회학적 요인
제1장 서설

제2장 범죄의 사회학적 요인

제3장 사회집단과 범죄
1. 가정과 범죄 _334
1) 가정구조에 초점을 맞춘 연구제1기 _334 2) 가정의 사회화 기능에 의한 연구제2기 _335
3. 학교와 범죄 _336
1) 학력과 범죄 _337 2) 학교 부적응과 범죄 _338 3) 교내폭력 _338 4) 집단 따돌림 _339 5) 「학교와 범죄·비행」 원인_341 6) 「학교와 범죄」 연구에 대한 평가 _341
3. 직장과 범죄 _342
1) 직장과 범죄의 관련성 _342 2) 직장범죄 _343 3) 직장환경 _344
4. 인종과 범죄 _345
1) 「인종과 범죄」 관련성 _345 2) 신보수주의의 대두에 따른
「인종과 범죄」 연구의 부활 조짐 _346 3) 「인종과 범죄」 연구에 대한 평가 _346
5. 사회계층과 범죄 _347
1) 빈곤과 범죄 _347 2) 하류계층 문화와 범죄 _348 3) 사회계층과 범죄」 연구에 대한 평가 _349
6. 연령과 범죄 _350
1) 연령과 범죄와의 관계 _350 2) 범죄요인으로서의 연령 _352 3) 위기이론 _352 4) 노년기와 범죄 _353 5) 「연령과 범죄」 연구에 대한 평가 _354

제4장 사회환경과 범죄
1. 도시화와 범죄 _355
1) 지역사회와 범죄 _355 2) 도시와 농촌 _356 3) 도시화와 범죄 _357 4) 농촌의 도시화 _357 5) 도시의 도시화 _358 6) 범죄의 도시화 대책 _359
2. 경제정세와 범죄 _359
1) 경제적 불평등과 범죄 _360 2) 상대적 결핍론 _361
3. 매스미디어와 범죄 _362
1) 자기정화설과 범죄촉진설 _362 2) 모방범죄 _363 3) 포르노그래피와 인셀폭력범죄 _364 4) 범죄보도의 범죄 _366
4. 전쟁과 범죄 _367
5. 자연환경과 범죄 _368
1) 지리적 요인과 범죄 _369 2) 시간적 요인과 범죄 _369 3) 기후적 요인과 범죄 _370

제10편 범죄학의 신이론과 경향
제1장 서설

제2장 합리적 선택이론
1. 합리적 선택이론의 등장 _375
1) 정의모델의 대두 _376 2) 범죄경제학의 출현 _377
2. 합리적 선택이론의 중점 _379
1) 고전파 범죄학과의 비교 _379 2) 형벌부과의 효과 _380 3)
합리적 선택이론이 형사정책에 미친 영향 _381
3. 합리적 선택이론에 대한 평가 _382
1) 합리적 선택이론의 기여 _382 2) 합리적 선택이론의 한계 _382

제3장 환경범죄학
1. 환경범죄학의 탄생 _384
2. 범죄예방론 시대로 전환 _386
1) 형사사법 시스템에 대한 실망 _386 2) 범죄예방에 대한 기대와 합리적 선택이론의 지지 _387
3. 환경범죄학의 기본개념 _387
1) 방범공간이론 _388 2) 방범환경설계론 _390 3) CPTED의 한계 _392 4) 상황적 범죄예방론 _392 5) 일상활동이론 _393
6) 황폐이론 _394
4. 환경범죄학의 제안 _395
1) 범죄실행의 곤란성 증대 방책 _396 2) 범죄에 수반되는 위험성 억제 방책 _397 3) 범죄 보수의 감소 방책 _398
5. 환경범죄학에 대한 비판과 과제 _400
1) 환경범죄학에 대한 비판 _400 2) 환경범죄학의 과제 _401

제4장 新범죄생물학
1. 新범죄생물학의 특징 _403
2. 新범죄생물학의 대두 배경 _404
1) 범죄증가와 범죄학의 쇠퇴 _404 2) 사회생물학의 대두 _405
3) 사회생물학에 대한 평가 _406
3. 新범죄생물학의 수법 _407

제5장 좌익현실주의 범죄학
1. 급진적인 범죄학 _409
2. 좌익현실주의의 주장 _411
1) 국제 동향 _411 2) 국내 동향 _412

제6장 페미니스트 범죄학
1. 페미니스트 범죄학의 등장 _416
2. 여성범죄 연구에 대한 평가 _416
1) 롬브로조의 여성범죄 연구 _417 2) 기타 여성범죄 연구 _417
3. 여성취급에 대한 비판이론 _419
1) 시카고학파에 대한 비판 _419 2) 분화적 접촉이론에 대한 비판 _420 3) 사회무질서론에 대한 비판 _420 4) 비행하위문화론에 대한 비판 _421 5) 마르크스주의 범죄학·신범죄학에 대한 비판 _421
4. 페미니스트 범죄학의 형사사법 과정 비판 _422
1) 입법의 여성 멸시 _423 2) 수사와 재판의 불공정 _423 3) 여자수형자 차별 _424
5. 페미니스트 범죄학의 주장 _425
1) 강간죄 _425 2) 낙태죄 _426 3) 매매춘 규제 _427

제11편 피해자학
제1장 서설

제2장 피해자학의 기본개념
1. 피해자학의 태동 _435
1) 피해자학의 연구대상은 무엇이며, 학문상의 분류는 무엇인가? _435 2) 범죄학과 피해자학의 차이는 무엇인가? _436 3) 현대 피해자학의 유형 _437 4) 피해자를 보는 관점의 변천과정 _438 5) 피해자학의 국내외 동향 _440
2. 초기의 피해자학 이론 _440
1) H·헨티히의 「범죄의 이중주적 구조」 가설 _441 2) B·멘델존의 「피해자의 책임성」 설 _442 3) H·엘렌베르거의 「잠재적 피해자」 설 _444 4) M·볼프강의 「피해자유발」 설 _445 5) S·쉐퍼의 「기능적 책임」 설 _446 6) R·스팍스의 「피해자화」 설 _446 7) 초기의 피해자학 이론에 대한 비판_448
3. 새로운 피해자학 이론 _450
1) 생활양식노출이론 _451 2) 일상활동이론 _452 3) 등가그룹이론 _454 4) 구조적 선택이론 _454 5) 표적선택과정이론 _455 6) 피해자화의 세 단계 _456 7) M·볼프강의 제2차·제3차 피해자화 개념 _458

제3장 범죄피해자의 특징
1. 범죄피해 실태조사 _459
1) 미국의 피해조사 _459 2) 영국의 피해조사 _460 3) 일본의 피해조사 _460 4) 우리나라의 피해조사 _461
2. 피해자의 특징 _461
1) 성별 _461 2) 연령 _462 3) 사회적 지위 _462 4) 인종 _463
3. 피해자의 사회생태학적 특징 _463
1) 시간 _464 2) 장소 _464 3) 가족 _465
4. 피해자 이미지 변화 _465

제4장 피해자학의 새로운 시도
1. 범죄에 대한 불안감 _467
1) 범죄에 대한 불안감의 의미 _468 2) 범죄에 대한 불안감의 원인 _468 3) 「범죄에 대한 불안감」에 대한 대책 _468
2. 새로운 범죄유형의 피해자 _469
1) 기업범죄의 피해자 _469 2) 아동학대의 피해자 _470 3) 음주운전 피해자 _470 4) 아동 행방불명 _471 5) 강간 피해자 _472
6) 매스미디어 피해자 _473 7) 학교폭력 피해자 _473 8) 기타
피해자 _474
3. 비판적 피해자학 _475
1) 비판적 피해자학의 주장 _475 2) 비판적 피해자학에 대한 평가 _476
4. 회복적 사법모델 _476

제5장 우리나라의 범죄피해자 제도
1. 범죄피해자구제제도 _480
1) 범죄피해자구조법의 의의 _480 2) 대상 및 범위 _480 3) 성립요건 _481 4) 구제내용 _481 5) 구조금 신청 _482 6) 구제제도의 문제점 _482
2. 형법상의 제재로서의 원상회복제도 _483
1) 원상회복의 개념 _483 2) 원상회복제도의 형사정책적 의의 _483 3) 원상회복제도의 성격 _484
3. 형사사법절차의 피해자참여 논의 _484
1) 현행제도 _484 2) 피해자참여의 확대방안 _485

제12편 범죄학의 새로운 시도
제1장 서설

제2장 범죄학의 새로운 시도
JUVENILE
LAW
1. 범죄학의 영원한 테마, 사람은 왜 범죄를 저지르는 것일까? _491
2. 활성화되는 범죄학 _492
3. 범죄원인 론 통합 시도 _493
1) 범죄생물학·범죄심리학 접근방법에서 이루어진 통합 시도 _493 2) 범죄사회학 접근방법에서 이루어진 통합 시도 _495
4. 범죄의 원인탐구는 미시적, 거시적인 시점을 겸비하는 것이 불가결 _498

제3장 범죄학의 미래예측과 논의
1. 형사정책을 포함한 범죄학 논의 _500
2. 범죄예방론의 시대 대두 _501
1) 범죄예방론 _501 2) 범죄예방론에 대한 평가 _502

제4장 새로운 범죄학의 과제
1. 현실에 부합된 논의 _503
2. 범죄자에 대한 차별과 편견 배제 _504
3. 미지의 분야에 대한 도전의식 _504

참고문헌 _506

찾아보기 _509

저자소개

이만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안보, 테러리즘, 범죄학, 형사법 등 법학과 공공안전 분야의 권위자로, 학문과 실무를 넘나들며 활발히 연구와 강의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호원대학교 명예교수이자 한양대학교 정책대학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테러학회와 한국 군사 법학회의 회장직을 맡고 있다. 또한 대테러 안보연구원장, 국가정보원 및 국무조정실 정책자문 위원으로서 국가 안보와 공공 안전에 기여하고 있다. 그는 학문적 업적을 넘어, 국방부 정책 및 개혁 자문 위원, 법무부와 행정안전부 자문 위원 등 다양한 정부 기관에서도 역할을 수행하며, 국가 정책과 제도 개선에도 참여하였다. 또한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공군사관학교, 국민대학교 법무대학원에서 객원교수로 활동한 바 있다. 이 교수는 20여 권의 저서를 비롯해 100편이 넘는 연구 논문을 발표하며, 국내외 학계에서 그 영향력을 인정받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전쟁의 다른 얼굴》, 《국경이 사라진 전쟁》, 《한국 사회의 논쟁》, 《범죄수사론》, 《범죄 그리고 범죄인》 등이 있다. 《명령과 복종》은 그의 깊은 연구와 경험을 바탕으로 명령과 복종의 복잡한 윤리적, 법적 문제를 심도 있게 탐구한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법과 윤리의 교차점에서 마주할 수 있는 갈등과 선택을 명확히 이해하며, 단순한 명령과 복종의 관계를 넘어서는 법적 책임과 도덕적 고민을 성찰할 수 있을 것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저자는 이 책에서 「범죄학」을 형사학의 한 분야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범죄학의 대상이 형법학보다 더 광범위하기 때문에 주요 테마를 ① 범죄현상론, ② 범죄원인론, ③ 범죄학 이론의 세 분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형법학은 범죄구성요건에 해당하는 위법 그리고 책임 있는 행위만을 그 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에 비해, 범죄학에서는 형사책임을 물을 수 없는 정신장애자나 형사미성년자의 행위나 악덕상법 등에 의한 새로운 일탈행위(앞으로 「범죄」로 규정되는 행위)까지도 그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오늘날 우리사회는 정보화, 국제화,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범죄현상에도 변화가 있기 때문에 현실사회의 움직임을 토대로 한 논의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서에서는 범죄의 본질과 실태, 범죄학 이론, 범죄의 원인, 범죄의 피해자 그리고 향후 범죄학의 전망과 범죄예방론 등 범죄학에 대한 개괄적인 사항들과 주요 논쟁들에 대하여 설명하려 한다. 특히, 본장에서는 먼저 범죄학의 기본적인 개념을 정리하고, 범죄학의 대상과 사회변화에 따른 범죄학 변화 그리고 「범죄학」이라고 하는 학문 영역의 특징을 간단히 정리해 보고자한다.


막스베버와 함께 근대 사회학의 양대 산맥인 에밀 뒤르켕Emile Durkheim의 ‘자살론’1897은 자살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제공해준 혁신적인 이론이자 저작이다. 그는 자살은 엄연히 사회현상이며 자살의 원인 역시 사회적이다라고 하며, 자살은 산업사회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주장하였다. 그래서 경제적인 풍요와 정치적인 자유가 보장되는 나라에서 오히려 자살율이 높고, 산업화가 덜된 나라에서 자살율이 낮은 편으로 산업화와 자살율은 공존한다는 논리로, 이는 산업사회가 곧 경제적인 풍요로움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경제적 풍요로움을 따라가야 하는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논지이다. 경제적 어려움이 자살의 가장 많은 이유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그근거라 할 수 있다. 즉 당시 사회적 통합 및 도덕적 규제와 관련하여 유럽 사회의 자살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은 산업화되는 과정에서 급격한 정치·경제·기술적 사회변동으로 사회통합이 약화됨으로써 이기적 자살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오늘날 뇌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흔히 뇌 과학이라고 불리는 신생학제인 신경과학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미 그 성과도 많이 축적되었다. 특히 범죄학에서 범죄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두뇌활동에 관해 연구하는 분야를 신경생리학적 연구라 한다. 즉 뇌나 척수spinal cord 등의 중추신경과 신체 각부에 분포한 말초신경의 작용을 생리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영역을 말한다. 종래에는 살아 있는 인간의 뇌나 신경을 연구하는 데 있어 많은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신경생리학은 과학기술의 진보와 더불어 급속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신경생리학 중에서 범죄와의 관련을 둘러싸고 주목되는 것은 이상뇌파에 관한 연구와 뇌장애에 관한 연구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