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문제
· ISBN : 9791192577074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5-05-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과거를 넘어, 지속 가능한 임도를 향해 • 9
[1장] 임도노선, 숲과 공존을 위한 첫걸음
임도망 계획의 필요성 • 16
아쉬움이 남는 감리용역 • 19
임도측량하다가 죽을 수는 없다 • 25
타당성 평가 임도노선은 참고만 하자 • 31
임도 개설의 99%는 노선 선정이다 • 38
부끄러운 임도설계 졸작이 있다 • 43
임도 기본계획 용역 • 46
작업로가 무너지고 있다 • 49
빗물이 노면에 모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 52
운재로, 작업로, 작업도, 임도의 차이는? • 56
[2장] 임도설계, 숲과 인간의 길을 그리다
1/5000 지형도는 정확하지 않다 • 62
임도 최소 종단물매(기울기)는? • 68
노출형 횡단수로의 설치 방향 • 72
임도에서 최소 관의 크기는? • 76
임도 노체 개설은 성토보다 절토 위주로 • 79
임도 성토사면 붕괴지 복구 방법 • 83
임도 피해는 성토 재료가 원인이다 • 87
임도 길어깨의 역할 • 90
포장 난간벽 설치 시 주의할 점 • 94
확폭은 곡선부 안쪽에 설치해야 한다 • 97
[3장] 임도측량, 숲과 조화를 이루는 첨단 기술
혼자서 임도측량을 한 적이 있었다 • 104
임도측량 오차에 대한 고민 • 108
임도측량은 측량이 아니다 • 112
임도측량, 쉽지 않다 • 114
임도설계도면 오차의 허용범위는? • 118
중심선측량과 영선측량 • 122
『임도설계 따라가기』, 질문에 답하다 • 126
임도측량 오차를 줄일 수 있다 • 132
험준한 산지에서의 임도측량은? • 135
임도설계 시 현장 답사는 필수이다 • 139
숲속에서도 오차 없이 정밀측량 할 수 있다 • 144
그냥 고민하지 말고 임도측량 하세요 • 148
라이다(LiDAR) 기술을 적용한 임도설계 • 152
[4장] 임도설계서, 숲을 위한 청사진
자존심이 구겨지는 임도설계서를 작성하다 • 160
임도사업 설계심사를 마치고 나서 • 162
임도설계 심사를 하면서 • 165
임도 내각이 155도 이상일 때는? • 169
도로(임도)에서 한 측점 간의 거리는? • 173
임도공사를 산림조합에서 시공할 경우 부가가치세는? • 176
토량 체적환산계수에 대해서 • 178
유토곡선 적용할 보정계수 값은? • 182
임도설계는 결코 쉽지 않다 • 186
우수 관로는 물이 꽉 차서 흐르지 않도록 설계해야 한다 • 191
비계와 동바리 • 195
설계 시 할증률 반영은? • 200
기술사 자격의 전제조건 • 203
[5장] 변화와 공존, 숲과 임도의 새로운 미래
임도설계용역 추가 업무(산림조사서) 산출의 모순 • 208
임도설계용역 시 산림조사서 작성 비용은? • 211
종단경사 36%인 도로에서 차량 통행이 가능할까? • 214
임도 최소곡선반지름 • 218
임도 배향(헤어핀)곡선의 반지름 • 222
임도설계 시 암반 분류하자 • 229
임도에서 최소 관규격을 낮추자 • 233
임도설계는 조작을 해야 한다 ① • 238
임도설계는 조작을 해야 한다 ② • 242
임도설계는 조작을 해야 한다 ③ • 245
임도 준공 도면만큼은 제대로 작성하자 • 251
산불예방임도(산불진화임도) 시설기준은? • 254
임도 시설기준 개정이 필요하다 • 257
임도시설단비의 현실화가 시급하다 • 260
[마치는 글]
변화하지 않으면 도태될 것이다 • 263
[부록]
드론 라이다(LiDAR) 활용한 임도설계 • 267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숲속에서도 오차를 줄이고, 현장에 적합한 임도설계 도면을 작성하는 실질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이제는 과거의 임도측량 방식을 과감히 버려야만 임도 발전이 가능하다. 나는 이 책이 대한민국 임도(林道)공학의 기술 발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한 걸음이 아닌 두세 걸음 더 도약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경제림육성단지 내에서 목재를 생산하고 숲을 가꾸며 산림을 효율적으로 경영하기 위해서는 임도가 반드시 필요하다. 임도가 없다면 임지 내에 접근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산림 경영의 효율성이 크게 떨어진다. 게다가, 최근에는 산림 관련 작업에서 노동력을 구하기 어려워지고, 점차 기계화로 대체되는 추세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임도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