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92997377
· 쪽수 : 728쪽
· 출판일 : 2023-06-26
책 소개
목차
· 초판 추천사 _ 버려서는 안 될 것이 있으니(종범 스님)
· 머리말 _ 개정판을 내며
· 옮긴이의 말
· 해제
서문(序文)
1. 원서
2. 치문경훈서
3. 서주치문경훈
4. 서
제1장 경훈(警訓)
1. 위산대원선사경책 : 대원 선사가 경책하다
2. 장로자각색선사귀경문 : 종색 선사의 귀경문과 자경문
3. 영명지각수선사수계・팔일성해탈문 : 연수 선사의 훈계와 성스러운 해탈을 이루는 여덟 가지 문
4. 설두명각선사벽간유문 : 명각 선사가 벽 사이에 남겨놓은 글
5. 천태원법사자계 : 원 법사가 스스로를 경계하다
6. 자운식참주서신 : 준식 참주가 띠에 쓴 경계의 글
제2장 면학(勉學)
1 고산원법사면학편 : 지원 법사가 배움을 권하다
2. 고소경덕사운법사무학십문 : 법운 법사가 권하는 열 가지 배움의 문
3. 서학로권동행근학문 : 서학로가 어린 행자에게 배움을 권하는 글
4. 보령용선사시간경 : 인용 선사가 간경하는 법을 보여주다
5. 우가령승록면통외학 : 승록이 외도의 학문에도 능통하길 권하다
제3장 유계(遺誡)
1. 고산원법사시학도 : 지원 법사가 배우는 이들에게 훈시하다
2. 주경사대중흥사도안법사유계구장 : 도안 법사가 남긴 아홉 가지 훈시의 글
3. 양고승칭법주유계소사 : 칭 법주가 어린 스님들에게 남긴 훈시의 글
4. 종산철우인선사시동행법회 : 종인 선사가 어린 행자 법회에서 훈시하다
5. 월굴청선사훈동행 : 혜청 선사가 어린 행자를 훈계하다
제4장 잠명(箴銘)
1. 대당자은법사출가잠 : 자은 법사의 출가에 관한 훈계의 글
2. 규봉밀선사좌우명 : 종밀 선사의 좌우명
3. 주위빈사문망명법사식심명 : 망명 법사의 마음을 쉬게 하는 다짐의 글
제5장 서장(書狀)
1. 동산양개화상사친서 : 양개 화상이 어버이를 이별하며 올리는 글
2. 무주좌계산낭선사소영가대사산거서 : 낭 선사가 영가 대사에게 산에 머물기를 권하고자 보낸 글
3. 영가답서 : 영가 대사가 낭 선사에게 답하다
4. 응암화선사답전장로법사서 : 담화 선사가 법제자인 전 장로에게 답하는 글
5. 대지조율사송의발여원조본선사서 : 원조 율사가 종본 선사에게 의발과 함께 보낸 글
6. 개선밀암겸선사답진지승서 : 도겸 선사가 진지승에게 답한 글
7. 안시랑답운행인서 : 안 시랑 운 행인에게 답한 글
8. 고경화상회분양태수 : 고경 화상이 분양 태수에게 회답하다
제6장 기문(記文)
1. 남악법륜사성행당기 : 남악 법륜사 성행당 기문
2. 무주영안선원신건법당기동승당기 : 무주 영안선원에서 새로 건축한 법당 기문과 승당 기문
3. 홍주보봉선원선불당기 : 홍주 보봉선원의 선불당 기문
4. 수주대홍산영봉사시방선원기 : 수주 대홍산 영봉사 시방선원 기문
5. 양주석문사승당기 : 양주 석문사 승당의 기문
6. 포선산혜공선원윤장기 : 포선산 혜공선원 법륜장 기문
제7장 서문(序文)
1. 남곡신법사자경록서 : 남곡 회신 법사가 자경록에 쓴 서문
2. 선림묘기전서 : 선림묘기 서문
3. 각범홍선사송승걸식서 : 각범 덕홍 선사가 스님을 걸식 보내며 쓴 서문
4. 석문등과기서 : 불문의 급제에 관한 서문
제8장 원문(願文)
1. 이산연선사발원문 : 이산 혜연 선사 발원문
2. 산곡거사황태사발원문 : 산곡거사 황태사 발원문
제9장 선문(禪文)
1. 전선관법 : 참선의 관법을 전하다
2. 장로자각색선사좌선의 : 종색 선사가 좌선의 격식에 대해 말하다
3. 권참선문 : 참선을 권하는 글
제10장 시중(示衆)
1. 여산동림혼융선사시중 : 혼융 선사가 대중에게 훈시하다
2. 백양순선사시중 : 법순 선사가 대중에게 훈시하다
3. 부용해선사소참 : 도해 선사의 소참 법문
4. 나암추화상법어 : 도추 화상의 법어
제11장 게찬(偈讚)
1. 백시랑육찬게병서 : 백시랑의 찬불 게송 여섯 수
2. 사마온공해선게 : 사마온 공이 선을 풀이한 게송
제12장 호법(護法)
1. 한현종개불화법본내전 : 한나라 현종이 부처님의 교화를 밝힌 『법본내전 』
2. 수고조문황제칙문 : 수나라 고조 문 황제의 칙문
3. 진왕수보살계소 : 진나라 왕이 보살계를 받으며 쓴 다짐의 글
4. 양황사도사불조 : 양나라 황제가 도교를 버리고 불교를 섬기며 내린 조서
5. 인종황제찬삼보문 : 인종 황제가 삼보를 찬탄한 글
6. 송문제집조재론불교 : 송나라 문제가 조정의 재상을 모아놓고 불교를 논하다
제13장 잡록(雜錄)
1. 명교숭선사존승편 : 명교 계숭 선사가 스님을 존경하라 하다
2. 석난문 : 스님 되기가 이렇게 어려우니
3. 범촉공송원오선사행각 : 범촉공이 원오 선사를 행각 보내며
4. 길주용제산우운무화상사예설 : 종무 화상의 사예설
5. 당수아법사청송법화경가 : 당나라 수아 법사가 『법화경』을 듣고 지은 가사
6. 주지삼보 : 불법을 유지하는 세 가지 보물
7. 우가영승록삼교총론 : 승록이 불교와 유교를 총괄하여 논하다
8. 상태재문공자성인 : 상나라 태재가 공자에게 성인에 대해 묻다
9. 제현송구 : 현인들의 게송
부록(附錄)
1. 전기(傳記)
2. 계고(稽古)
· 참고서적
·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무릇 출가한 자는 발길을 내디뎌 세간을 초월하였으면 마음과 몸을 속인과 달리하여 성현의 종자를 이어받아 융성하게 함으로써 마군(魔軍)이 두려워 떨게 하고 네 가지의 은혜에 보답하며 삼계(三界)를 남김없이 구제해야 한다. 만약 이와 같이 하지 않으면 분에 넘치게 승려의 무리에 섞여 있는 것이어서, 말과 행동이 거칠고 성글며 헛되이 신도의 시주에만 젖어서 예전에 행하던 처신을 조금도 바꾸지 않은 채 흐리멍덩하게 일생을 보내게 될 것이니, 장차 어떻게 믿고 의지하겠는가!
- “위산대원선사경책-대원 선사가 경책하다”
또한 배움이란 본디 스스로의 성품을 닦는 데 있으니 어찌 다른 사람이 알아주지 않는다고 화를 내겠는가? 도(道)는 삶을 온전히 함을 귀하게 여기니 세상의 쓰임이 되기를 바라는 일이 없도록 하라. 사람들이 혹시 (나의) 뜻과 논리를 흠모하더라도 반드시 그 밖(의 내용)을 추천함도 필요하니, 마음과 정성을 돈독히 하여 기초에 근거하여 가르치되 뭇 서적들을 다양하게 주어 오묘한 종지를 깊이 있게 보여주라. 자비의 방[慈室]과 인욕의 옷[忍衣]은 잠시라도 떼어놓을 수 없으며, 큰 법의 보배가 있는 곳은 잠시라도 필시 그 자리에 도달하고자 해야 할 것이다.
- “설두명각선사벽간유문-설두 선사가 벽 사이에 남겨놓은 글”
내 일찍이 지혜가 미치지 못하고 재주가 민첩하지 못함이 수치스러워 배움을 걷어치우는 자는 보았지만 음식이 다른 사람처럼 많지 않음이 수치스러워 음식을 걷어치우는 자는 보지 못했다. 음식을 걷어치우면 곧 생명을 잃을 것인데 어찌 반드시 많지 않다고 부끄러워할 것이며, 학문을 걷어치우면 곧 금수나 토목과 같아질진대 어찌 반드시 재주나 지혜가 다른 사람만 못하다고 부끄러워하겠는가. 진실로 재주와 지혜가 남만 못함을 부끄러워하여 배우지 않는다면 또한 마땅히 음식이 다른 사람만 못함을 부끄러워하여 음식을 폐해야 할 것이다. 이로써 살펴보면 어찌 크게 잘못된 것이 아니겠는가? 나 역시 지극히 어리석어 매번 재주와 지혜를 헤아려 보건대 다른 사람에게 미치려면 아직 멀었으나 음식을 걷어치우지 못함을 알기에 감히 배우기를 게을리하지 않는다.
- “고산원법사면학편-지원 법사가 배움을 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