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92999388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4-05-3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장. 이 시대의 서툰 부모들에게
상처로 인해 아이를 거부하는 부모
아이와 부모 사이의 힘겨루기
정서적 유산의 대물림
우리는 서로의 거울, 부모와 자녀의 유사성
모빌과 같은 가족관계
자기애가 필요한 아이
엄마의 모녀관계, 오래된 상처
상처받은 아이는 돌려주려고 한다
부정적인 정서도 담아 주기
부모는 아이에게 권력자다
2장. 문제적 행동을 보이는 아이들과 공존하는 법
공감능력의 부재는 어디에서 올까?
수치심을 심어 주는 부모
아이는 부모를 비추는 거울
아이가 음식을 거부해요
허용적인 부모의 그늘, 부모를 때리는 아이
지배욕이 강한 아이
안전하고 보호받을 수 있는 공간
미운 3살 떼쓰기 대응
문제행동 해결법
환경 변화의 중요성
3장. 밝은 가정을 향한 작지만 확실한 한걸음
좋은 부모는 좋은 부부관계를 유지하는 부모
뿌리 깊은 오해, 가족희생양
아이 인생을 힘들게 하는 부모의 불안
높은 불안과 비합리적 사고
소통방식의 차이
인지적 함정에 빠진 가족
이중구속이 만들어내는 병리적 혼란
부모의 파괴적 권리
상처 입은 어린 시절의 나, 내면아이
자기애적 성격장애자 부모
자존감을 위한 새로운 프레임
자녀를 떠나보내지 못하는 부모
성인 자녀와 나이 든 부모의 관계
에필로그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 인간은 생각보다 이성적이지 않습니다. 오히려 무의식적이 고 감정적이죠. 통증이 만들어 낸 억압된 감정, 복수심, 내면화된 좌절감, 그리고 분노는 이성적인 판단과 행동을 마비시킵니다.
불안이 높은 부모는 통제적인 부모가 될 수 있습니다. 불안을 가장 자주, 많이 일으키는 대상이 자녀이기 때문에 이를 통제하는 것입니다. 이는 자녀를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불안감을 완화를 위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