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91193035177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3-10-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5
1장 숫자를 보라
1. 우리 집 과연 부자일까?
우리 집 과연 부자일까? 18
성공도 실패도 정리하자 22
옆집 언니 말고, 숫자를 보자 27
왜, 맞벌이 부부가 돈 문제에 더 시달릴까? 30
우리 집 재무제표부터 만들어보자 33
2. 우리 집 투자 올바른가?
재테크 이론과 현실은 다르다 40
전문가의 투자 수익률이 시장 평균에도 미치지 못한다? 43
복리효과, 과연 마법일까? 44
우리 뇌는 투자에 적합하지 않다 50
어떻게 질문해야 하나? 54
2장 숫자를 써라.
1. 우리 집 손익계산서를 기록하자.
손익계산서, 쉽게 써보자 62
손익계산서에 써야 할 항목은 무엇일까? 66
연간 손익계산서도 써보자 72
돈 문제를 해결하려면, 지출을 줄여라 76
부채 상환, 저축일까? 비용일까? 83
2. 우리 집 재무상태표를 기록하자.
우리 집 재산은 얼마나 될까? 88
재무상태표, 과거와 미래를 모두 보여준다 95
재무상태표 쉽게 써보자 100
우리 집 목표를 정해보자 104
자산을 정확히 파악하자 107
거주하는 집의 시세에 일희일비할 필요는 없다 112
3장 숫자를 해석하라.
1. 우리 집 재무제표를 해석해보자.
유동 비율이 100% 이상인가? 120
부자지수와 부채비율은 얼마인가? 125
자산증가율, 장기적인 흐름을 파악하자 129
부채, 소득의 얼마 정도가 적당한가? 133
부채, 어떻게 하면 빨리 청산할 수 있나? 136
부채 상환 기간이 길어지면 위험은 커진다 140
부채의 수가 OO개 이상이면 위험하다 145
2. 우리 집은 숫자로 투자한다
투자 수익률보다 중요한 건, 투자 원금이다 152
부동산 가치, 어떻게 평가하나? 156
부동산 앞으로 오를까, 내릴까? 161
우리 집 형편은 나아지고 있는 걸까? 165
숫자를 기준으로 투자하자 169
투자자산을 현금과 주식으로 분산하자 173
권말부록. 사례를 통해 살펴보는 우리 집 재테크
지출 관리, 소통이 중요하다 178
소득, 지출, 재무목표 균형을 맞추자 182
평생소득을 설정해보자 185
리뷰
책속에서
투자 결과를 정리하는 일은 정말 어렵습니다. 특히 성과가 좋지 않은 때에는 정리하기가 더 어렵습니다. 개별 투자의 결과로 전체적인 흐름이 망가졌을 때는 더더욱 정리하기가 어렵죠. 가령 월세 수입을 기대하고 상가를 샀는데 공실이 많아 자금이 장기간 묶였다거나 오르는 추세를 탔다고 생각해서 핫한 지역에 투자했는데 상투를 잡은 느낌이 든다면 정리하기가 더 싫어집니다. 이때는 실패의 원인 분석과 대안을 검토해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식으로 정리해 두면 개별 항목에 대한 실패를 반복하지 않겠다고 다짐하는 기회가 되고, 예상치 못했는데 중간에 나타난 변수를 다음번엔 고려하게 해줍니다.
<성공도 실패도 정리하지>
투자할 때마다 각각의 자금에는 이름표가 붙어 있어야 합니다. ‘개인연금은 20년 후 생활비로 사용할 자금이고, 적립식 펀드는 자녀 결혼이나 중병이 발생했을 때를 준비한다’라는 식입니다. 분명한 사용처와 함께 투자 기간도 명확해야 합니다. 투자 기간이 명확해야 철저한 계획과 실천이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투자 기간을 지키는 원칙은 이에 맞는 투자상품을 선택하라는 설명으로 이어집니다.
<재테크이론과 현실은 다르다>
부자들과 출발선이 다른 ‘평범한 우리 집’에서 먼저 돌아봐야 할 것은 나가고 들어오는 숫자들입니다. 자신의 수입을 아는 사람보다 모르는 사람이 훨씬 많다는 점이 놀랍지 않나요. 재테크의 기본은 자신의 고정 수입과 변동 수입을 구분하고 변동 수입의 종류와 금액까지 고려해 지출과 저축 계획을 세우는 것입니다. 기업들만 재무제표가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돈의 흐름을 살피려면 우리 집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도 쓸 줄 알아야 합니다.
<손익계산서, 쉽게 써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