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래 학교, 학생이 주도하는 교실

미래 학교, 학생이 주도하는 교실

이보람, 이지민, 김다영, 유범래 (지은이)
두드림미디어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15,300원 -10% 0원
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10,2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20개 4,6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래 학교, 학생이 주도하는 교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래 학교, 학생이 주도하는 교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3210284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3-12-03

책 소개

평범한 교사와 학생이 만든 남다른 교실 풍경! 저자들이 지금까지 연구하고 실천해온, 학생의 생성권과 주도권 보장 교육은 이러한 학생의 주체적 역할을 강조하는 것으로, 교육 현장에서 그들이 노력해온 실천 기록이 이 책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목차

들어가며 ····················································································· 6

PART 01 학생 생성권

WHY : 왜 학생 생성권인가? ··········································· 17
지금 학교, 이대로 괜찮은가? ·················································· 17
왜 학생 생성권인가? ····························································· 18
WHAT : 학생 생성권이란 무엇인가? ···························· 22
학생 수준 교육과정의 실현을 기대하다 ····································· 22
학생 생성권이 보장되는 교육과정은 어떻게 실현되는가? ··············· 24
HOW : 학생 생성권을 어떻게 보장할 수 있는가? ······· 26
학생 수준 교육과정 마주하기 ·········································· 28
배움의 주인은 누구일까? ······················································· 28
배움의 길이 하나일 수 없다 ···················································· 30
그저 놀고 싶은 아이들 ·························································· 32
학생 수준 교육과정 계획하기 ·········································· 35
나는 어떤 사람인가? ····························································· 35
나는 어떤 역량을 갖추었고, 또 못 갖추었나? ······························ 38
나는 미래 사회에서 어떤 존재여야 하는가? ································ 40
누구와 함께 배울 것인가? ······················································ 42
무엇을, 어떻게, 왜 배우고 싶은가? ·········································· 48
협력적 소통 역량 키우기 ························································ 53
무엇을 성취할 것인가? - 학생이 개발하는 성취기준 ·························· 55
학생, 자기배움 과정을 문서로 체계화하기 ································· 58
교사, 학생의 것을 좀 더 다듬기 ··············································· 60
필요한 물품이나 자료를 확인하고 준비하기 ································ 62
학생 수준 교육과정 실행하기 ·········································· 64
단위 시간의 활동 목표를 명확히 하라 ······································· 64
매 단위 시간의 활동을 성찰하게 하라 ······································· 65
단순히 재미있는 활동만으로 생성하면 어쩌지? ··························· 67
계획은 계획일 뿐, 필요하다면 바꾸어야 한다 ······························ 68
시행착오는 더 깊이 있는 배움을 돕는다 ···································· 71
학생 수준 교육과정 공유하기 ·········································· 75
배움을 축제로 잇다 ······························································ 75
스스로 움직이는 아이들 ························································· 77
무엇을 어떻게 나누고 공유하는가? ·········································· 78
학생 수준 교육과정 성찰하기 ·········································· 85
메타인지와 전이 ·································································· 85
무엇을, 어떻게, 얼마나 잘 배웠는가? ········································ 86

PART 02 학생 주도권

WHY : 왜 학생 주도권인가? ··········································· 95
교수자와 학습자의 역할 변화 ·················································· 95
철저하게 설계한 교수·학습 계획이 주는 오해 ······························ 98
WHAT : 학생 주도권이란 무엇인가? ·························· 101
주체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며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주어라 ··· 101
학생 주도권과 관련된 국외 동향 ············································ 104
HOW : 학생 주도권이 보장되는 교실 ·························· 106
STEP. 1 존중하기 ·························································· 109
지시하지 말고 안내하기 ······················································· 109
아이들의 욕구에 공감하기 ···················································· 112
엉뚱함을 사고의 확장 기회로 만들기 ······································ 115
허락 맡는 학급 문화 지우기 ·················································· 120
STEP. 2 연습하기 ·························································· 123
자기 삶을 거울 보게 하기 ····················································· 123
서슴없이 질문하게 하기 ······················································· 126
컴퓨팅 사고력 키우기 ························································· 134
STEP. 3 도전하기 ·························································· 140
덜 가르치고 더 배우게 하기 ·················································· 140
교사의 말수 줄이기 ···························································· 145
바람을 현실로 만들어주기 ···················································· 151
STEP. 4 확장하기 ·························································· 161
학생이 수업 설계에서 중심이 되기 ········································· 161
사회 문제 해결의 주체 되기 ·················································· 169

마치며 ···················································································· 178

저자소개

이보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초등 교육에 몸담은 지 15년 안팎의 교사들이다. 교사와 학생이 모두 행복한 교실을 만들기 위한 학교 교육의 변화를 꾀하며 함께 연구 활동 중에 있다. 2019~2021 교육부 요청 교육과정 연구학교 기획 운영 2020~2021 과정중심평가 현장지원 및 서술형 프로젝트 문항 개발 위원 2022~2023 교육연구동아리 및 수업탐구공동체 대표 2022~2023 도 지정 교육과정 선도학교 및 선도학급 기획 운영 2022~2023 2022 개정 교육과정 현장 네트워크 협의위원 및 총론 핵심교원 강사 2023 수업혁신평가 현장지원단 등
펼치기
이지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초등 교육에 몸담은 지 15년 안팎의 교사들이다. 교사와 학생이 모두 행복한 교실을 만들기 위한 학교 교육의 변화를 꾀하며 함께 연구 활동 중에 있다. 2019~2021 교육부 요청 교육과정 연구학교 기획 운영 2020~2021 과정중심평가 현장지원 및 서술형 프로젝트 문항 개발 위원 2022~2023 교육연구동아리 및 수업탐구공동체 대표 2022~2023 도 지정 교육과정 선도학교 및 선도학급 기획 운영 2022~2023 2022 개정 교육과정 현장 네트워크 협의위원 및 총론 핵심교원 강사 2023 수업혁신평가 현장지원단 등
펼치기
김다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초등 교육에 몸담은 지 15년 안팎의 교사들이다. 교사와 학생이 모두 행복한 교실을 만들기 위한 학교 교육의 변화를 꾀하며 함께 연구 활동 중에 있다. 2019~2021 교육부 요청 교육과정 연구학교 기획 운영 2020~2021 과정중심평가 현장지원 및 서술형 프로젝트 문항 개발 위원 2022~2023 교육연구동아리 및 수업탐구공동체 대표 2022~2023 도 지정 교육과정 선도학교 및 선도학급 기획 운영 2022~2023 2022 개정 교육과정 현장 네트워크 협의위원 및 총론 핵심교원 강사 2023 수업혁신평가 현장지원단 등
펼치기
유범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초등 교육에 몸담은 지 15년 안팎의 교사들이다. 교사와 학생이 모두 행복한 교실을 만들기 위한 학교 교육의 변화를 꾀하며 함께 연구 활동 중에 있다. 2019~2021 교육부 요청 교육과정 연구학교 기획 운영 2020~2021 과정중심평가 현장지원 및 서술형 프로젝트 문항 개발 위원 2022~2023 교육연구동아리 및 수업탐구공동체 대표 2022~2023 도 지정 교육과정 선도학교 및 선도학급 기획 운영 2022~2023 2022 개정 교육과정 현장 네트워크 협의위원 및 총론 핵심교원 강사 2023 수업혁신평가 현장지원단 등
펼치기

책속에서

학생 생성권은 학생의 삶을 학교 교육과정 속으로 끌어와 실제 깊이 있는 배움과 성장을 유도한다. 즉 학생 생성권이 학교 교육으로 보장된다는 것은 학생이 자기배움의 오롯한 주체가 되어, 나아가 개인과 사회의 웰빙(Well-being)을 실현시킬 미래 교육으로의 가치가 더 커진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학생 수준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협력적 배움 모둠을 구성하는 방법은 교사마다 다양할 수 있다. 학생 수준 교육과정은 교사 수준 교육과정의 하위 층위로서 교사의 교육철학과 의도에 따라 달리 운영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학생 수준 교육과정을 선도적으로 연구하고 실천해본 실천가로서 우리의 사례가 학생 수준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하나의 방법이지 정답이라고 생각해서는 안 될 것이다.


‘나는 무엇을 어떻게 배울 것인가’에 대한 자기 질문을 시작으로 배움 주제를 찾고 구체적인 활동을 계획한 후 그 실행 과정에서 겪는 다양한 경험, 즉 학생의 실제 성장을 이끄는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는 이 경험을 다른 사람과 나누고 공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얼마나 잘 배웠는지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배움을 나누고 공유한다는 것은 학생 저마다 익힌 내용이나 결과 등을 다른 사람에게 다시 가르친다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학생들은 주로 배우고 익히는 활동에 몰입해왔기 때문에, 다른 사람을 가르쳐본 적은 거의 없다.
‘가르칠 수 있어야 제대로 아는 것이다’, ‘가르칠 때 더 많이 배우고 성장한다’라는 말의 뜻을 새겨야 한다. 자기 입장에서는 잘 알고 있고 또, 잘했다고 생각했던 과정이나 결과이지만 이것을 다른 사람에게 가르치는 과정에서는 ‘아차’ 하는 순간을 마주하게 한다. 물론 높은 성취감을 만끽하는 경우도 있고 말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