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91193217733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4-11-2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알아 두자】 주요 뼈대의 위치
【알아 두자】 주요 근육의 위치
프롤로그 치료사가 알아야 할 뼈대와 근육
제1장 머리의 뼈대와 근육
머리의 뼈대
머리의 뼈대근
표정근
씹기근(저작근)
관자근(측두근)
안쪽날개근(내측익돌근)
가쪽날개근(외측익돌근)
깨물근(교근)
눈둘레근(안륜근)
볼근(협근)
입둘레근(구륜근)
머리 치료의 포인트
제2장 목의 뼈대와 근육
목의 뼈대
목의 뼈대근
목빗근(흉쇄유돌근)
목갈비근 그룹(사각근 그룹)
앞목갈비근(전사각근)
중간목갈비근(중사각근)
뒤목갈비근(후사각근)
머리널판근(두판상근)
척추앞근 그룹(추전근 그룹)
뒤통수밑근육 그룹(후두하근 그룹)
목 치료의 포인트
제3장 팔의 뼈대와 근육
팔의 뼈대
팔의 뼈대근
오른쪽 아래팔폄근 그룹(손등 쪽)
오른쪽 아래팔굽힘근 그룹(손바닥 쪽)
어깨세모근(삼각근)
부리위팔근(오훼완근)
큰원근(대원근)
작은원근(소원근)
어깨밑근(견갑하근)
가시위근(극상근)
가시아래근(극하근)
위팔두갈래근(상완이두근)
위팔세갈래근(상완삼두근)
위팔근(상완근)
위팔노근(완요골근)
먼엎침근(원회내근)
손뒤침근(회외근)
손가락폄근(지신근)
얕은손가락굽힘근(천지굴근)
자쪽손목굽힘근(척측수근굴근)
긴노쪽손목폄근(장요측수근신근)
네모엎침근(방형회내근)
팔 치료의 포인트
제4장 가슴의 뼈대와 근육
가슴의 뼈대
가슴의 뼈대근
큰가슴근(대흉근)
작은가슴근(소흉근)
빗장밑근(쇄골하근)
앞톱니근(전거근)
바깥갈비뼈사이근(외늑간근)
속갈비사이근(내늑간근)
가로막(횡격막)
가슴 치료의 포인트
제5장 배·골반의 뼈대와 근육
배·골반의 뼈대
배·골반의 뼈대근
배곧은근(복직근)
배바깥빗근(외복사근)
배속빗근(내복사근)
배가로근(복횡근)
허리네모근(요방형근)
골반바닥근 그룹(골반기저근 그룹)
배·골반 치료의 포인트
제6장 등의 뼈대와 근육
등의 뼈대
등의 뼈대근
등세모근(승모근)
어깨올림근(견갑거근)
넓은등근(광배근)
큰마름근(대능형근)
작은마름근(소능형근)
척주세움근(척주기립근)
머리가장긴근(두최장근)
목가장긴근(경최장근)
등가장긴근(흉최장근)
목엉덩갈비근(경장늑근)
등목엉덩갈비근(흉장늑근)
허리엉덩갈비근(요장늑근)
목가시근(경극근)
등가시근(흉극근)
돌림근(회전근)
뭇갈래근(다열근)
목반가시근(경반극근)
가슴반가시근(흉반극근)
등 치료의 포인트
제7장 다리의 뼈대와 근육 1
다리의 뼈대
다리의 뼈대근
엉덩허리근(장요근)
큰허리근(대요근)
작은허리근(소요근)
엉덩근(장골근)
큰볼기근(대둔근)
중간볼기근(중둔근)
작은볼기근(소둔근)
궁둥구멍근(이상근)
위쌍둥이근(상쌍자근)
아래쌍둥이근(하쌍자근)
속폐쇄근(내폐쇄근)
바깥폐쇄근(외폐쇄근)
넙다리네모근(대퇴방형근)
모음근 그룹(내전근 그룹)
두덩근(치골근)
짧은모음근(단내전근)
긴모음근(장내전근)
큰모음근(대내전근)
두덩정강근(박근)
다리 치료의 포인트 1
제8장 다리의 뼈대와 근육 2
넙다리네갈래근(대퇴사두근)
넙다리곧은근(대퇴직근)
안쪽넓은근(내측광근)
가쪽넓은근(외측광근)
중간넓은근(중간광근)
넙다리근막긴장근(대퇴근막장근)
넙다리빗근(봉공근)
넙다리뒤근육(햄스트링)
넙다리두갈래근(대퇴이두근)
반힘줄근(반건형근)
장딴지세갈래근(하퇴삼두근)
장딴지근(비복근)
가자미근(비근)
오금근(슬와근)
장딴지빗근(족저근)
앞정강근(전경골근)
뒤정강근(후경골근)
긴발가락굽힘근(장지굴근)
긴엄지굽힘근(장무지굴근)
긴발가락폄근(장지신근)
긴엄지폄근(장무지신근)
셋째종아리근(제3비골근)
긴종아리근(장비골근)
짧은종아리근(단비골근)
그 외 발의 내재근
다리 치료의 포인트 2
부록 뼈대근 이름 테스트
책속에서
턱관절은 살아가는 데 매우 중요한 관절이다. 표정근에는 관절을 움직이는 기능이 없다고 했다. 그렇다면 머리에 관절 자체가 있기는 할까? 사실 딱 한 종류(좌우로 2개)가 있는데 바로 ‘턱관절’이다. 턱관절은 몇 가지 수수께끼 같고 드라마 같은 우연이 겹치면서 발생과 진화를 거듭해 지금에 이른 꽤 재미있는 관절이다. 한마디로 ‘고기능’의 관절이라 할 수 있다.
--- 「제1장 머리의 뼈대와 근육」 중에서
인체의 기둥인 척주를 엉치뼈가 토대가 되어 지지한다. 몸통과 다리를 연결하는 조직이 골반이다. 앞에서 보면 골반의 가운데 뒤쪽(후면)에 있는 것이 척주의 뿌리에 해당하는 엉치뼈(천골, sacrum)다. 그 밑으로 척주의 가장 아래쪽에서 엉치뼈와 결합된 것이 꼬리뼈(미골, coccyx)다. 그 양쪽에는 엉덩이 부분에 해당하는 볼기뼈(관골, hip bone)가 있고 이들이 연결되어 골반을 형성한다.
--- 「제5장 배·골반의 뼈대와 근육」 중에서
다시 말해, 몸에 필요한 관리는 그 사람의 신체 시계와 함께 변화한다고 할 수 있다. 나이가 들수록 운동과 관리는 선택이 아니라 꼭 필요한 요소다. 그리고 그것을 필요로 하는 고객 가까이에서 정기적으로 근육과 자세 등 몸의 상태를 체크해 줄 수 있는 사람이 치료사와 마사지 치료사다. 고객의 상태를 살피고 치료와 적절한 조언을 통해 건강 개선과 유지를 돕는 것이 그들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다.
--- 「제8장 다리의 뼈대와 근육 2」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