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진격의 비야디

진격의 비야디

(테슬라의 왕관을 위협하는 자)

고성호 (지은이)
스리체어스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진격의 비야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진격의 비야디 (테슬라의 왕관을 위협하는 자)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경영자 스토리 > 국외 기업/경영자
· ISBN : 9791193453209
· 쪽수 : 168쪽
· 출판일 : 2024-04-15

책 소개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내수 시장의 열렬한 환호도 그들의 성장을 도왔지만, 무엇보다 비야디는 혁신해 온 기업이었다. 배터리에서 시작한 비야디는 어떻게 전 세계 판매 1위를 거머쥐었을까? 테슬라의 왕관을 위협하는 루키, 비야디의 과거와 미래를 샅샅이 파헤친다.

목차

프롤로그 ; 중국의 전기차 굴기

1 _ 비야디의 탄생
중국의 특별한 신생 도시, 선전
선전 블루를 이끄는 비야디
비야디의 수상한 포트폴리오
배터리 신화와 스마트폰 팩토리

2 _ 배터리 인간, 왕촨푸
왕촨푸, 운명을 개척하다
비야디의 배터리는 다르다
비야디는 어떻게 배터리를 혁신했나

3 _ 비야디, 배터리 기업에서 전기차 기업으로 변신
인수 합병으로 자동차 시장에 뛰어들다
비야디 자동차의 카피캣 시절
신에너지 차량 기업으로의 변신
워런 버핏의 비야디 투자와 청산 과정

4 _ 비야디 vs 테슬라, 신에너지 차량 왕좌의 게임
왕촨푸 vs. 일론 머스크
비야디의 전기차 vs. 테슬라의 전기차
배터리를 비롯한 전기차 하드웨어 강자, 비야디
전기차의 원조이자 혁신의 아이콘, 테슬라
왕좌의 열쇠, 자율 주행을 비롯한 소프트웨어 성능

5 _ 중국이 노리는 역전 기회, 신에너지 차량
신에너지 차량 육성에 올인하는 중국의 속내
중국 신에너지 차량 정책, 내연 기관차의 저승사자
정책은 어떻게 괴물을 키웠나

6 _ 전기차 시대, 한국의 위기와 기회
한국의 전기차 산업 경쟁력의 현주소
IRA 시대, 미중 갈등 속 한국의 대응 방향

에필로그 ; 2024, 비야디의 새로운 공세



북저널리즘 인사이드 ; 비야디가 다닌 길 위에서

저자소개

고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외국어고교,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입사하여 중국 칭다오(青岛)로 첫 해외 발령을 받고 2014년부터 4년간 주재원으로 지냈다. 이후 KOTRA 서울 본사로 복귀하여 근무하다 2020년 선전(深圳)으로 두 번째 해외 발령을 받고 현재 아내와 딸과 함께 중국에서 지내고 있다. 1990년대 중국에서 3년 정도 거주하며 초등학교, 중학교 시절을 현지 학교 기숙사에서 중국 학생들과 보냈고, 그 이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근 30년간 중국과 얽히고설켜 먹고 사는 중이다. 긴 세월 중국과 연을 맺고 살다보니 그들이 감추고 싶은 과거의 후줄근한 속살과 자랑하고 싶어 안달이 난 요즘의 발전상을 안팎으로 볼 수 있는 경험을 했다. 중국을 조금은 알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중국의 실리콘밸리라고 불리는 선전에 와보니 또 다시 눈이 돌아가는 새로운 경험을 쌓는 중이며 중국의 놀라운 발전과 생활 속 편리함의 팔할은 중국 테크 기업 덕이라고 생각한다. 중국 내부에서 겪은 주관적인 경험과 외부에서 본 관찰자적 시각으로 중국 주요 테크 기업을 조망하여 그들의 혁신과 발전 과정에서 우리 한국과 한국 기업이 배울 수 있는 점을 짚어 보길 희망한다.
펼치기

책속에서

“비단 미래의 일이 아니다. 2023년 4월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의 중국 LFP 배터리 공급망 분석에 따르면 2018~2020년 사이 삼원계 배터리의 전기차 점유율은 약 60퍼센트 전후를 유지했으나 2021년 LFP 배터리가 점유율 52퍼센트로 첫 역전을 하더니 2022년 점유율 62퍼센트를 기록하며 격차가 더 커졌다. 이는 중국 내 신에너지 차량 시장이 급성장하며 생긴 변화다. 2022년 SNE 리서치 발표 기준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서는 한국 배터리 3사의 점유율 합계가 53.4퍼센트로 한국이 우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LFP 배터리 점유율의 심상치 않은 상승세에 한국 기업이 오히려 위기감을 느끼고 LFP 배터리 연구·개발 및 상용화 제품을 발표하고 있으며 한국 정부에서도 이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눈길을 사로잡는 것이 있다. 바로 선전시 모든 택시가 하늘색 바탕에 흰색이 조합된 완전히 동일한 차종이라는 점이다. 택시는 물론이고 공공 버스까지 모두 전기차로 운영되고 있는데 해당 택시와 버스 차량의 대부분을 제조하고 납품한 기업이 바로 중국 신에너지 차량의 선두 주자 비야디다. 선전과 중국 정부의 사랑(자금 지원 및 각종 혜택)을 듬뿍 받은 비야디는 선전과 함께 컸다. 선전의 미세 먼지 저감 정책과 동행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비야디는 원래 무엇을 하던 기업일까? 2023년 기준으로는 완성차 판매 및 자동차 부품의 매출액 비중이 80퍼센트를 초과해 자동차 기업이라는 이미지가 강해졌지만 비야디는 원래 배터리를 만들던 기업이다. 중국 사람들조차 이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