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91193667170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5-04-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ESG 경영에서 에너지 PR의 필요성
1. 에너지 산업의 ESG 경영과 PR 활동
2. ESG 경영의 관점별 에너지 PR 활동
3. 에너지 PR의 핵심 전략과 운용 방법
4. 에너지 PR의 성공 사례와 실패 사례
5. 에너지 PR의 도전 과제와 PR의 기능
제2장 순환경제와 에너지 PR 전략의 방향
1. 지속 가능한 에너지를 위한 순환경제
2. 순환경제의 기대효과와 긍정적 영향
3. 지속 가능한 에너지의 종류와 장단점
4. 순환경제 체계의 상호작용과 기대효과
5. 에너지 PR의 성공 전략과 해결 과제
제3장 원자력 에너지 PR에서의 갈등관리
1.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갈등적 인식의 배경
2. 사회적 갈등 주체로서의 원자력 에너지
3. 원자력 갈등의 특징 및 PR 대응
4. 원자력 에너지 PR 제안
5. 원자력 에너지 PR 전략
6. 원자력 에너지 PR 전술
7. 원자력 에너지 갈등 해소를 위한 PR 함의
제4장 원자력 에너지 수용성 증진을 위한 PR 이슈·위험관리
1.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수용성 저하 배경
2. 이슈 및 위험관리
3. 정책 수용성
4. 사용후핵연료 저장 및 처분 이슈 사례
5. 원자력 에너지 수용성 증진 PR 전략
6. 원자력 에너지 수용성 증진 PR 전술
7. 원자력 에너지 수용성 증진을 위한 PR 함의
제5장 전기 에너지의 PR 전략과 과제
1. 전기 에너지의 중요성과 생산 및 보급
2. 국내 전력 수급 현황과 소비의 문제점
3. 전기 에너지 수급 관련 위기 및 쟁점 해결 방안
4. 전기 에너지 절약의 실천과 PR 캠페인
제6장 저탄소 에너지와 가스 에너지의 PR 방향과 과제
1. 저탄소 에너지 시대의 천연가스 에너지
2. 천연가스의 장단점 및 세계 생산과 공급의 이슈
3. 천연가스 관련 공적 PR 이슈와 국내 수출산업의 기회
4. 천연가스 관련 국제 PR의 미래 과제와 역할
제7장 에너지 정책의 PR 캠페인 사례
1. 에너지 정책 PR의 중요성
2. 한국에너지공단 사례
3. 한국수력원자력 사례
4. 한국동서발전 사례
5. 에너지 정책 PR의 방향성
제8장 신재생에너지 PR 커뮤니케이션의 방향과 과제
1. 신재생 에너지의 정의 및 중요성
2. 국내외 신재생 에너지 현황
3. 신재생 에너지 뉴스 빅데이터 분석
4. 신재생 에너지 PR 커뮤니케이션 전략
5. 미래 에너지로서 신재생 에너지 정책 PR의 방향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