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광고/홍보
· ISBN : 9791128813290
· 쪽수 : 543쪽
· 출판일 : 2018-11-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01 PR 전문가 윤리: 윤리적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출발 최홍림
PR의 윤리적 가치
전문가
전문가로서의 윤리(Professional Ethics)
PR 전문가로서 윤리 실천을 위한 방안
요약
생각해 볼 문제
케이스 스터디
참고문헌
02 PR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 이유나
PR의 진화와 사회적 책임
조직의 사회적 책임과 PR
조직의 사회적 책임과 PR의 역할
PR의 균형적 세계관
전문영역으로 신뢰받는 PR
생각해 볼 문제
케이스 스터디
참고문헌
03 한국의 사회 문화와 PR 윤리 조삼섭
호프스테더의 문화분류 차원과 한국 문화
한국 사회문화 이해를 위한 분석 틀
한국인의 근본적 문법 6가지
고신뢰 사회, 저신뢰 사회, ‘우리성’
고맥락 사회와 정보원?언론 관계
정(情)과 집단주의가 PR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恨)
한국 문화와 언론윤리강령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04 공익인가 사익인가? 공중과 클라이언트 간 이익 갈등 정원준
PR의 태생적 딜레마: 사익 추구의 당위성
제언 및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05 디지털 커뮤니케이션과 콘텐츠: 신뢰와 PR의 윤리적 이슈 유선욱
커뮤니케이션 환경변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신뢰와 윤리적 이슈
디지털 커뮤니케이션과 PR 윤리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06 디지털 여론과 PR 윤리: 드루킹 인터넷 댓글 조작 사건을 중심으로 홍문기
디지털과 PR 윤리
PR의 윤리적 성격
다양한 PR 윤리 강령의 원칙
디지털 미디어 여론
디지털 미디어의 여론 형성 과정
온라인 댓글과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과 PR 윤리
디지털 여론 형성과 PR 커뮤니케이션
디지털 시대의 PR윤리 방향
생각해 볼 문제
케이스 스터디
참고문헌
07 위기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윤리적 접근 김장열
반복되는 비윤리적 위기커뮤니케이션
위기 상황에서 윤리적이어야 하는 이유
윤리적인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가
위기 상황에서 어떻게 윤리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가
윤리적 위기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가장 윤리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전략적인 커뮤니케이션
생각해 볼 문제
케이스 스터디
참고문헌
08 정보 투명성과 개인 정보 감시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 해석:
디지털 미디어 시대 PR 커뮤니케이션 윤리 쟁점 김영욱
떠오르는 PR 커뮤니케이션 윤리 쟁점
PR 커뮤니케이션 윤리와 디지털 시대
디지털 시대 PR 커뮤니케이션 윤리 쟁점: 정보 투명성과 개인정보 감시
디지털 시대 윤리 쟁점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 차원 해석
디지털 시대 윤리 쟁점과 관련한 현실적 논쟁점
PR 커뮤니케이션 윤리 기준의 복원
생각해 볼 문제
케이스 스터디
참고문헌
09 한국 PR 시장의 문제적 관행과 개선 방향 최지현
PR 윤리와 업무 관행
한국 PR 시장의 문제적 관행
한국 PR 시장의 문제적 관행과 개선 방향 1: PR의 전문성에 관하여
한국 PR 시장의 문제적 관행과 개선 방향 2: PR 시장의 공정성과 합리성에 관하여
한국 PR 시장의 건강한 생태계를 위하여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부록 1 한국PR학회 Public Relations 윤리헌장
부록 2 한국PR협회 윤리강령
부록 3 한국PR기업협회 실천윤리강령
부록 4 PRSA 회원의 직업적 가치 기준 선언문
부록 5 소셜 미디어 정책
저자소개
책속에서
2016년 대한민국 초유의 국정농단 사태를 접하면서 국민의 평화적 촛불항쟁은 전 세계의 관심을 끌었다. 특히 이는 지배 권력에 대항해 시민사회가 결집한 민주적 행동주의의 대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민주주의를 지키려는 국민의 염원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해시태그(#)를 이용한 캠페인 형태로 나타나기도 했다. 바로 소셜 미디어에서 이어진 ‘#그런데 최순실은?’ 캠페인이다.
_ “01 PR 전문가 윤리: 윤리적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출발” 중에서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처럼 기사에 댓글을 달거나 “좋아요” 등을 클릭하는 과정에서 여론을 조작하는 것은 온라인 미디어를 이용한 공공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타락시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PR 윤리 강령 등에서는 여론조작을 위한 금전적 제공이나 능력 밖의 결과를 보장하는 행위를 금하고 있다. 그런데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에서는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댓글 수를 조작하고 수천 개에 달하는 아이디를 인위적으로 조작해 편향된 의견을 표명하며 여론 형성에 개입했다. 그리고 이러한 조작 활동의 대가로 김경수 경남도지사에게 오사카 영사 자리 등을 요구하기도 하고, 댓글 조작 과정에서 금품이 오갔다는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이 모든 비윤리적 행위에 대해 국내외 PR 윤리 강령 등에서는 허위정보에 근거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문제를 지적하며 허위정보로 인한 여론의 왜곡을 금지하고 있다
_ “06 디지털 여론과 PR 윤리: 드루킹 인터넷 댓글 조작 사건을 중심으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