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지털 사회와 PR 윤리

디지털 사회와 PR 윤리

김영욱, 김장열, 유선욱, 이유나, 조삼섭, 정원준, 최지현, 최홍림, 홍문기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800원 -0% 0원
890원
28,9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9,840원 -10% 990원 16,860원 >

책 이미지

디지털 사회와 PR 윤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 사회와 PR 윤리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광고/홍보
· ISBN : 9791128813290
· 쪽수 : 543쪽
· 출판일 : 2018-11-30

책 소개

한국PR학회는 PR의 공공성과 윤리의식의 중요성을 끊임없이 강조해 왔다. 9명의 PR 전문가들이 디지털 미디어 시대 PR 커뮤니케이션의 기획, 실행, 평가 과정 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윤리적 딜레마를 사례로 담고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목차

머리말


01 PR 전문가 윤리: 윤리적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출발 최홍림
PR의 윤리적 가치
전문가
전문가로서의 윤리(Professional Ethics)
PR 전문가로서 윤리 실천을 위한 방안
요약
생각해 볼 문제
케이스 스터디
참고문헌

02 PR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 이유나
PR의 진화와 사회적 책임
조직의 사회적 책임과 PR
조직의 사회적 책임과 PR의 역할
PR의 균형적 세계관
전문영역으로 신뢰받는 PR
생각해 볼 문제
케이스 스터디
참고문헌

03 한국의 사회 문화와 PR 윤리 조삼섭
호프스테더의 문화분류 차원과 한국 문화
한국 사회문화 이해를 위한 분석 틀
한국인의 근본적 문법 6가지
고신뢰 사회, 저신뢰 사회, ‘우리성’
고맥락 사회와 정보원?언론 관계
정(情)과 집단주의가 PR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恨)
한국 문화와 언론윤리강령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04 공익인가 사익인가? 공중과 클라이언트 간 이익 갈등 정원준
PR의 태생적 딜레마: 사익 추구의 당위성
제언 및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05 디지털 커뮤니케이션과 콘텐츠: 신뢰와 PR의 윤리적 이슈 유선욱
커뮤니케이션 환경변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신뢰와 윤리적 이슈
디지털 커뮤니케이션과 PR 윤리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06 디지털 여론과 PR 윤리: 드루킹 인터넷 댓글 조작 사건을 중심으로 홍문기
디지털과 PR 윤리
PR의 윤리적 성격
다양한 PR 윤리 강령의 원칙
디지털 미디어 여론
디지털 미디어의 여론 형성 과정
온라인 댓글과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과 PR 윤리
디지털 여론 형성과 PR 커뮤니케이션
디지털 시대의 PR윤리 방향
생각해 볼 문제
케이스 스터디
참고문헌


07 위기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윤리적 접근 김장열
반복되는 비윤리적 위기커뮤니케이션
위기 상황에서 윤리적이어야 하는 이유
윤리적인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가
위기 상황에서 어떻게 윤리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가
윤리적 위기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가장 윤리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전략적인 커뮤니케이션
생각해 볼 문제
케이스 스터디
참고문헌

08 정보 투명성과 개인 정보 감시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 해석:
디지털 미디어 시대 PR 커뮤니케이션 윤리 쟁점 김영욱

떠오르는 PR 커뮤니케이션 윤리 쟁점
PR 커뮤니케이션 윤리와 디지털 시대
디지털 시대 PR 커뮤니케이션 윤리 쟁점: 정보 투명성과 개인정보 감시
디지털 시대 윤리 쟁점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 차원 해석
디지털 시대 윤리 쟁점과 관련한 현실적 논쟁점
PR 커뮤니케이션 윤리 기준의 복원
생각해 볼 문제
케이스 스터디
참고문헌

09 한국 PR 시장의 문제적 관행과 개선 방향 최지현
PR 윤리와 업무 관행
한국 PR 시장의 문제적 관행
한국 PR 시장의 문제적 관행과 개선 방향 1: PR의 전문성에 관하여
한국 PR 시장의 문제적 관행과 개선 방향 2: PR 시장의 공정성과 합리성에 관하여
한국 PR 시장의 건강한 생태계를 위하여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부록 1 한국PR학회 Public Relations 윤리헌장
부록 2 한국PR협회 윤리강령
부록 3 한국PR기업협회 실천윤리강령
부록 4 PRSA 회원의 직업적 가치 기준 선언문
부록 5 소셜 미디어 정책

저자소개

김영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ㆍ미디어학부 교수이자 이화펠로우이다.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에서 석사ㆍ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조교수, 하버드대학교 법과대학 협상연구소 풀브라이트교환교수, 벨기에 겐트대학교, 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 태국 출라롱콘대학교, 스위스 루가노대학교 방문교수를 역임했다. 단독 저서로 『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위험 커뮤니케이션』, 『갈등 해소와 대체적 분쟁 해결』, 『위험불통사회』 등이 있다. 또한 『한국사회의 소통 위기』, 『디지털 시대 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 외 다수의 국내외 공저서 및 번역서가 있고, 200여 편 이상의 연구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했다. 연구 관심 분야는 광범위한 위험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에 집중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디지털 미디어 맥락에서의 주목의 상품화, 디지털 감시, 디지털 프로모션 등에 대한 정치경제학 차원의 해석과 디지털 공유지 복원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는 한국언론학회 과학보건환경위험커뮤니케이션연구회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김장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콜로라도주립대학교 저널리즘·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다. 서강대학교에서 PR전공으로 석사학위를, 플로리다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인 최초의 미국PR협회 인증 PR 전문가(APR)이며, 2016년에 미국PR협회 펠로(Fellow PRSA)로 선정되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소비자위해예방국장을 역임했으며, PR회사인 코콤포터노벨리의 설립자이기도 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쟁점·위기커뮤니케이션, 공공외교, 헬스커뮤니케이션, PR윤리, CSR 등이다.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Public Relations Review,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외 주요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그밖에 참여한 여러 저서·역서가 있다. 현재 Asian Journal of Public Relations의 Editor-in-chief를 맡고 있다.
펼치기
김장열의 다른 책 >
조삼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한 후에 1989년 제일기획에 입사하여 8년간 근무하다가 1999년 미시건주립대학교에서 석사를 마치고, 2003년에 플로리다대학교에서 PR 전공으로 언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텍사스공과대학교 교수, 한국PR학회 16대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The moral compass of public relations(공저, 2017), 연구논문으로 “대학내부 커뮤니케이션이 재학생의 만족도, 신뢰도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연구”(2017),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public relations in Chinese and South Korean newspapers”(공저, 2014), “정보원으로서의 광고주와 신문사의 관계성 연구”(공저, 2013), “Advertising as payment: Information transactions in the South Korean newspaper market”(2013), “Measurement validation of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2006) 등이 있다.
펼치기
이유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언론학 석사, 커뮤니케이션학 박사를 받았다. 한국PR학회 제20대 회장, 한국외대 홍보실장, 국제교류처장, 정치행정언론대학원장을 지냈다. 구성원 커뮤니케이션, 정부-정책 PR, 국가브랜드, 공공외교 연구를 <광고학 연구> 등의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공저로는 『디지털 시대의 PR학 신론』(학지사, 2021), 『100개의 키워드로 읽는 광고와 PR』(한울아카데미, 2017), 『디지털 사회와 PR 윤리』(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등이 있다. 이메일: yunna.rhee@gmail.com
펼치기
유선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경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학과 교수다.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에서 광고홍보학 석사, PR과 헬스커뮤니케이션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PR학회의 총무이사와 ≪홍보학연구≫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언론학회 신진학자 우수논문상, 광고홍보학회 신진학자상 등을 수상했다. 논문으로 “PR회사 보상제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2015, 한국PR학회 우수논문상), “PR학에서의 우수 이론의 전개와 우리나라에서의 연구경향”(2014), “진정성 효과”(2013, 한국언론학회 신진학자 우수논문상), Mapping health communication scholarship: Breadth, depth, and agenda of published research in health communication(2010)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정원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수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PR학 전공 교수이다. 연세대학교(B.S.), Illinois State University(M.A.) 그리고 Purdue University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학과에서 PR학 전공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University of Louisiana에서 커뮤니케이션학과 부교수를 역임하였다. 세부 연구 분야는 국정 PR, 정부·정책 PR, 빅데이터 분석 기반 공공PR, 투자자 관계(IR), 지역 관계, 이슈·위기·쟁점·갈등 관리, 국제 PR 등이다. 저서로『디지털 시대의 PR학신론』(공저, 학 지사, 2021),『빅데이터의 분석 방법과 활용』(공저, 학지사, 2020),『광고홍보 교육의 현재와 미래』(공저, 한경사, 2019),『디지털 사회와 PR 윤리』(공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정책 PR론』(공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PR 전문직의 리더십과 윤리의식』(공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등이 있고, 국내외 다수의 저널에 연구 성과를 발표하였다.
펼치기
최홍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선문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미국아이오와대학교에서 PR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프레인앤리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저서로는 『공공소통전략』(2015), 『PR 전문직의 리더십과 윤리의식』(2014), 『한국PR기업의 역사와 성공사례』(2009) 등이 있다.
펼치기
최지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강사다. 숙명여자대학교에서 홍보광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문화연대 정책팀장, 한국대중문화예술산업총연합 정책연구원, 메타커뮤니케이션즈 연구소장을 역임하였고, 한국PR학회 PR윤리헌장제정 연구위원회에 참여하였다. 논문으로“한국형 정부-공중 관계 구성 차원에 관한 연구”(2017, 2017년 한국PR학회 학술상 최우수상)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2016년 대한민국 초유의 국정농단 사태를 접하면서 국민의 평화적 촛불항쟁은 전 세계의 관심을 끌었다. 특히 이는 지배 권력에 대항해 시민사회가 결집한 민주적 행동주의의 대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민주주의를 지키려는 국민의 염원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해시태그(#)를 이용한 캠페인 형태로 나타나기도 했다. 바로 소셜 미디어에서 이어진 ‘#그런데 최순실은?’ 캠페인이다.
_ “01 PR 전문가 윤리: 윤리적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출발” 중에서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처럼 기사에 댓글을 달거나 “좋아요” 등을 클릭하는 과정에서 여론을 조작하는 것은 온라인 미디어를 이용한 공공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타락시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PR 윤리 강령 등에서는 여론조작을 위한 금전적 제공이나 능력 밖의 결과를 보장하는 행위를 금하고 있다. 그런데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에서는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댓글 수를 조작하고 수천 개에 달하는 아이디를 인위적으로 조작해 편향된 의견을 표명하며 여론 형성에 개입했다. 그리고 이러한 조작 활동의 대가로 김경수 경남도지사에게 오사카 영사 자리 등을 요구하기도 하고, 댓글 조작 과정에서 금품이 오갔다는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이 모든 비윤리적 행위에 대해 국내외 PR 윤리 강령 등에서는 허위정보에 근거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문제를 지적하며 허위정보로 인한 여론의 왜곡을 금지하고 있다
_ “06 디지털 여론과 PR 윤리: 드루킹 인터넷 댓글 조작 사건을 중심으로”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28813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