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62821336
· 쪽수 : 354쪽
· 출판일 : 2024-11-30
책 소개
목차
제 1 장 공공소통의 개념
1. 공공소통의 정의
2. 공공소통의 주체
3. 주체별 공공소통 목표
4. 주체별 소통방식의 특징과 차이
제 2 장 공공소통의 현황 및 경향
1. 공공소통의 목적
2. 공공소통 미디어
3. 공공소통 콘텐츠
제 3 장 공공소통의 기획
1. 서론
2. 기본 원칙
3. 단계별 과정
4. 결론
제 4 장 공공소통의 메시지
1. 서론
2. 공공소통 메시지의 요건
3. 결론
제 5 장 지역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1. 브랜드 아이덴티티
2. 지역 브랜드 구분
3. 국가 브랜드와 공공외교
4. 국가 브랜드의 효과
5. 국가 브랜드 구축
6. 도시 브랜드
제 6 장 정책 브랜드
1. 정책 브랜드의 개념
2. 정책 브랜딩 과정
3. 정책 브랜드의 효과
제 7 장 공공소통에서의 위기관리
1. 위기관리의 정의
2. 위기 유형
3. 위기 단계
4.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5. 위기관리와 사회적 책임
8 장 공공소통 미디어 전략
1. 미디어믹스
2. 트리플 미디어 전략
3. 트리플 미디어의 통합적 접근 방식의 중요성
4. 트리플 미디어의 미래
제 9 장 공공소통 미디어
1. 전통 미디어
2. 디지털 미디어
3. 옥외 미디어
4. 대인 접촉 미디어
제 10 장 공공 플랫폼
1. 디지털 플랫폼의 부상과 사회적 변화
2. 플랫폼의 정의
3. 플랫폼의 특징
4. 플랫폼의 유형
5. 공공 부문의 플랫폼
제 11 장 정부 광고
1. 정부광고의 정의 및 개요
2. 정부광고의 시행체계
3. 정부광고 현황과 과제
제 12 장 디지털 콘텐츠
1. 디지털 콘텐츠
2. 디지털 콘텐츠와 공공 부문에서의 활용
3. 콘텐츠 기획과 운영
제 13 장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
1.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의 정의
2. 공공소통에서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의 역할
3.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가 소비자 행동 및 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
4.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의 브랜드 회상 및 인식
5. 정책 PR 및 공익 캠페인에서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 활용의 효과 및 장점
6.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젊은 청중과 소외 계층에 접근
7. 공공 캠페인에서 브랜드 엔터테인먼트의 비용 효율성 및 장기적 영향
8. 공공소통을 위한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 사용에 대한 윤리적 고려 사항
9. 공공소통에서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의 미래
제 14 장 공공소통의 평가 모형
1. 공공소통 평가의 중요성
2. 국내 공공소통 평가 체계
3. 국내외 공공소통 평가 모델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