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부모교육
· ISBN : 9791193794258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4-06-03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이은경(부모교육전문가, ‘슬기로운초등생활’ 대표)
시작하며: 영화나 드라마가 아닌 현실의 ‘위험한 육아’
서장___네 가지 부모 유형
양육 태도는 네 가지로 나뉜다
비행소년의 심리분석에도 활용하는 네 가지 유형
엄격하지 않은데도 엄격하게 느껴지는 이유
변덕스러운 부모와는 신뢰를 쌓기 어렵다
편중되지 않는 부모는 없다지만…
가설을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신념이 고집이 될 때
1장___스스로 결정하지 못하는 아이: 과보호가 모든 걸 보호할까요?
CASE: 히로카즈의 사례
CASE 해설: 과보호형 양육 태도란?
⦁ 스스로 성장할 기회를 얻지 못하는 과보호형 부모의 아이
⦁ 공의존하는 부모와 자녀
⦁ 자기 결정이 행복을 좌우한다
⦁ 헬리콥터 부모 또는 컬링 부모
⦁ 누구를 위한 도움인가?
⦁ 아동의 발달 단계
⦁ 욕구불만 내성을 높이려면
⦁ 외부를 탓하는 아이와 자신을 벌하는 부모
⦁ 남 탓으로 돌리는 아이와 대화하기
⦁ 진입 장벽이 낮아진 약물 범죄
⦁ 인간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공포
⦁ 약물 남용은 ‘피해자 없는 범죄’가 아니다
⦁ 약물에 잘 빠지는 현실 도피형과 쾌락 추구형
⦁ 남 탓하는 사고는 약물 범죄로 이어지기 쉽다
2장___마음이 억눌린 아이: 찍어 누르면 튕겨 나갑니다
CASE: 도모야의 사례
CASE 해설: 고압형 양육 태도란?
⦁ 아이의 마음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명령한다
⦁ 교육과 세뇌는 종이 한 장 차이
⦁ 세뇌는 어디에서나 일어난다
⦁ 아이의 마음을 궁지로 모는 ‘교육 학대’
⦁ 아이를 통해 열등감을 보상받으려는 부모
⦁ 스파르타 교육은 ‘사랑의 채찍’인가?
⦁ 열등감을 좋은 방향으로 바꾸려면
⦁ 성공해야만 인정받는 스파르타 교육
⦁ 지시만 기다리는 사람이 혹하는 위험한 아르바이트
⦁ 우리 아이를 지시만 기다리는 사람으로 키우지 않으려면
⦁ 명령해야 할 일, 그렇지 않은 일
⦁ 핵심은 의욕이 생기는 목표 설정이다
⦁ 자아존중감의 회복
⦁ 다 알고 있는데도 속는 특수 사기
⦁ 교묘해지는 범죄에 휘말리지 않으려면
3장___남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는 아이: 왕의 DNA를 물려주셨나요?
CASE: 나루미의 사례
CASE 해설: 맹목적 수용형 양육 태도란?
⦁ 사람은 타협하면서 성장한다
⦁ 응석 받아주기 vs. 맹목적 수용
⦁ 아이의 미래를 고려하지 않는 맹목적 수용형 부모
⦁ 용돈 교육이 사회 경험을 쌓아준다
⦁ 자신의 마음이 상대에 전해진다는 착각
⦁ 공감능력을 높이려면
⦁ 욕구불만 내성 부족이 가정폭력을 부른다
⦁ 맹목적 수용형 양육 태도와 원시적 범죄 ‘강도’
⦁ 깊이 있는 내성이 필요하다
⦁ 배우자나 조부모가 응석을 다 받아줄 때
⦁ 저도 모르게 받아주는 막내의 어리광
4장___사랑에 굶주린 아이: 사랑의 반대말을 무관심입니다
CASE: 아야노의 사례
CASE 해설: 무관심형 양육 태도란?
⦁ 겉으로는 부모의 의무를 다하는 것 같아도…
⦁ 갱생이 어려운 비행소년
⦁ 무관심형 부모가 빠지기 쉬운 행위자-관찰자 편향
⦁ 아이에게 관심 없는 부모의 생활
⦁ 정서적 무시
⦁ 왜 아이를 사랑하지 못하는가?
⦁ 학대 증가의 배경
⦁ 고독한 육아가 가장 위험하다
⦁ 고민을 들어줄 창구
⦁ 비행에 빠지는 이유: 학대 회피와 심리적 거리
⦁ 애정 결핍 상태를 파고드는 범죄의 유혹
⦁ 나쁜 집단에서 벗어나려면
⦁ 신뢰를 잃어도 개의치 않는 사람들
⦁ SNS에서 민폐 행위를 벌이는 심리
⦁ 인정이 사람을 바꾼다
⦁ 방치와 방임은 다르다
⦁ 단체생활을 할 수 있는 아이로 키우려면
⦁ 가족의 심리적 거리 좁히기
부록___네 가지 부모 유형 체크리스트
과보호형 부모 체크리스트
고압형 부모 체크리스트
맹목적 수용형 부모 체크리스트
무관심형 부모 체크리스트
종장___부모가 깨달으면 자녀는 얼마든지 달라진다
깨달음이 변화의 첫걸음
성격을 바꿀 수 있는가?
문제가 생기면 수정하면 된다
말로 표현하는 연습
대화도 습관이다
마치며: 왜 범죄심리학자가 자녀교육을 논하는가?
리뷰
책속에서
나이를 먹는다고 자연히 스스로 결정할 줄 알게 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작은 일부터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는 경험을 미리 해두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는 원래 자녀에게 기대하는 법이고, 아이도 기대에 답하고 싶어 합니다. 여기까지는 좋지만,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고 해서 거부당하는 건 선을 넘는 일입니다. 부모가 아이의 인생을 부정하는 상황이 생겨서는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