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역사
· ISBN : 9791193811146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4-04-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민주주의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1부 민주주의의 씨앗을 심다
1장. 노비 문서를 불태우고 만민 평등을 외치다 | 전봉준과 동학 농민 운동
2장. 목소리를 합치면 힘이 된다 | 독립 협회와 만민 공동회
3장. 새로운 세상을 상상하게 한 혁명 | 3‧1 운동과 민족 자결주의
4장. 임시 정부, 실패를 학습하며 나아가다 | 대한민국 임시 정부
5장. 개인에서 조직으로, 풀뿌리 민주주의의 시작 | 신간회와 사회 운동
6장. 우리의 함성으로 감옥의 동무들을 응원하자 | 광주 학생 항일 운동
팁. 민주 헌법을 가진 바이마르 공화국은 어떻게 나치를 탄생시켰을까?
2부 ‘하나의 나라’, 좌절된 꿈속에서 꿈틀거리는 정의
7장. 슬픈 한반도 분열의 시작 | 통일 정부의 실패
8장. 김구는 왜 최초의 민주적 선거에 투표하지 않았을까? | 5‧10 총선거와 단독 정부 수립
9장. 대통령 한 사람만을 위한, 조작된 민주주의 | 부산 정치 파동과 사사오입 개헌
10장. 중고등학생에서 시작한 최초의 사회 혁명 | 4‧19 혁명
팁. 소련의 본모습을 만천하에 알린 헝가리 혁명
3부 군부 독재의 어두운 그림자와 민주화로 가는 길
11장. 우리나라도 내각 책임제였던 시기가 있다고? | 장면 정부
12장. 5‧16이 혁명이 아니라 군사 정변인 이유 | 5‧16 군사 정변과 박정희 정권
13장. 민주주의 기본 원칙을 박살 낸 악법 | 삼선 개헌과 유신 헌법
팁. 이웃 나라 일본에서는 왜 대규모 집회‧시위가 벌어지지 않을까?
4부 쓰레기 더미에서 민주주의 장미꽃이 활짝 피어나다
14장. 대한민국 현대사의 가장 아픈, 5월 광주 | 12‧12 군사 반란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
15장. 수사관이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쓰러지더랍니다 | 전두환과 6월 민주 항쟁
16장. 대통령은 직접 선거로 뽑고 임기는 5년 단임으로 한다 | 민주 헌법의 탄생과 시민 사회
팁. 한국의 민주화 운동이 전 세계에 영향을 미쳤다고?
에필로그 민주주의는 끊임없이 새로워져야 한다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민주주의를 받아들이게 됐을까요? 안타깝게도 많은 사람이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아요. 1945년 해방과 함께 미군정이 들어오면서 민주주의가 시작됐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거든요. 보통 선거의 도입과 같은 각종 민주주의 제도가 본격적으로 들어온 것은 분명 이 시기가 맞아요.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이 민주주의에 대해 알게 되고 민주주의를 도입하기 위해 노력한 일은 그보다 훨씬 전부터랍니다. 그 시작은 1894년 동학 농민 운동 때까지 거슬러 올라가거든요.
바이마르 공화국의 역사를 통해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점은 무엇일까요? 아무리 민주적인 법과 제도를 갖추고 있다해도 민주주의를 소중히 여기고 지키려는 정치 지도자와 국민이 없다면 절대로 민주주의를 유지할 수 없다는 사실이에요.
선거를 통한 간접 민주주의로 이루어지는 현재 사회에서 집회와 시위는 시민의 의견을 표명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에요. 이런 좋은 수단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성숙한 집회와 시위 문화가 반드시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