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도서] 선 넘는 한국사](/img_thumb2/9791193811368.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93811368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5-02-10
목차
1부 한반도의 후예들, 동아시아를 넘나들다
_ 종횡무진 한국사의 탄생
1. 5000년 역사가 전부는 아니다 |선사 시대와 전곡리 유적|
2. 청동검을 쥔 한국사 최초의 지도자 |고조선과 단군|
3. 강대국들 사이에 낀 부여, 조선보다 장수한 비결은? |부여의 중국 외교|
4. 천하의 질서에 맞짱 뜬 동아시아의 다크호스 |고구려의 균형 외교|
5. 태초의 강남인, 생존을 위한 투쟁 |백제의 한성 시대|
6. 신라가 외교에 진심일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신라의 전방위 외교|
7. 철의 왕국, 칼보다 더 무서운 무기의 실체는? |가야의 연맹체과 공존|
8. 고구려 영토를 두 배 넓힌 해동성국의 비법 |발해의 다민족 통합|
9. 대륙을 정복한 몽골, 몽골에 맞선 고려 |위기에서 기회를 찾은 고려|
10. 이상국가에 다가간 조선 VS 세계에 눈 뜬 동아시아 |조선의 성리학과 사대교린 외교|
2부 백두에서 한라까지, 한반도는 어떻게 완성했을까?
- 늘리고 버티고 되찾은 한국사의 공간
1. 고조선의 광활한 영토를 되찾기 위한 핫스팟은? |미천왕의 서안평 점령|
2. 고구려가 한국의 역사라는 명확한 증거 |장수왕의 평양 천도|
3. 신라가 동해의 해상권을 장악한 까닭은? |지증왕의 우산국 복속|
4. 약소국이 강대국을 이기는 단 한 가지 방법 |김춘추의 삼국통일|
5. 거란을 대하는 고려의 탁월한 이중주 |서희와 강동 6주|
6. 제국이 된 금나라가 고려와 전쟁을 하지 않은 이유는? |윤관의 동북 9성|
7. 몽골과 명나라는 왜 탐라국을 탐했을까? |탐라국과 말|
8. 세종, 오늘날의 한반도 라인을 완성하다 |세종과 4군 6진|
9. 동아시아 역사를 바꾼 최후의 해전 |이순신의 노량해전|
10. 독도 논쟁을 종식한 마지막 사건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3부 경계 밖의 한국인, 경계 안의 외국인
- 국경을 가로지르며 만들어낸 강한 한국사
1. 삼국이 목숨 걸고 뛰어든 강한 나라 만들기 프로젝트 |삼국의 귀화정책|
2. 처용과 페르시아 왕자가 ‘바실라’에 온 이유는? |신라의 서역 교류|
3. 조선과 네덜란드의 만남, 왜 교류하지 못했을까? |제주도에 온 하멜|
4. 장보고가 당나라에 만든 비밀 네트워크의 실체 |산동성의 신라인|
5. 조선인 121명이 ‘겨울 없는’ 하와이로 떠난 까닭은? |안창호와 한인합성협회|
6. 쿠바 한인들, 임시정부에 독립자금을 보내다 |임천택과 대한인국민회|
7. 가출 소년, 러시아 독립운동에 대부가 되다 |최재형과 연해주 도회소|
8. 스탈린의 잔인한 강제 이주, 6,000킬로미터의 한인 대장정 |중앙아시아의 고려인|
9. 한인 노동자 35명이 파리에 정착한 사연은? |황기환과 재법한국민회|
10. 윤동주와 송몽규가 태어나고 자라고 묻힌 곳 |연변조선족자치주의 명동학교|
4부 ‘제국’의 선을 넘어 ‘민국’을 탄생시킨 생각들
- 자유와 독립, 인간다운 삶을 향한 거침없는 도전
1. 곤장 100대를 각오한 원주 소녀의 선 넘는 여행 |조선의 여성 이동 금지법|
2. 1896년 뉴욕, 민영환은 어떤 세계를 보았는가? |조선 근대화의 염원|
3. 전봉준이 죽음을 각오한 재판을 강행한 이유 |자유와 인권을 누릴 권리|
4. 노예로 살 것인가, 자유민으로 죽을 것인가 |정미의병이 꿈꾼 국가|
5. 에비슨이 조선의 방역 책임자가 된 사연은? |근대 의학과 에비슨의 인류애|
6. 34번째 민족대표라 불리는 사나이, 석호필 |스코필드의 독립운동|
7. ‘조선 병합은 잘못’임을 고발한 일본 변호사 |후세 다쓰지의 양심 변론|
8. 식민지 청년이 비행학교를 세우려 했던 이유는? |안창남의 못다 이룬 꿈|
9. 일본은 왜 조선의 여성 비행사를 암살하려고 했을까? |권기옥과 한국비행대 작전 계획|
10. 조선의 여성에게도 투표권을 허하라 |나혜석과 유럽 여성참정권|
5부 작은 차이가 만들어낸 가장 한국적인 것의 비밀
- 선 넘는 교류 속에 만들어낸 한국 문화
1. 동아시아 불교 네트워크가 만들어낸 세계기록유산 |고려대장경|
2. 한반도가 남성 위주의 사회가 아닌 이유 |성씨와 족보의 진화|
3. 조선의 언어 천재가 터득한 훈민정음의 독창성은? |최세진의 《훈몽자회》|
4. 세종은 어떻게 조선의 하늘을 달력과 시계에 담았을까? |칠정산과 앙부일구|
5. 중국과 일본을 넘어, 세계도 인정한 조선의 대표 상품 |인삼과 개성 상인|
6. 유네스코는 왜 조선 왕릉에 주목했을까? |검소함의 미학|
7. 천하의 질서에서 벗어나 조선이 자주국임을 알리다 |태극기의 의미|
8. ‘근대 군주’ 고종이 국가 예산의 40%를 국방비에 쓴 이유는? |대한제국의 군대|
9. 조선의 근대화에 헌신한 외인들을 기억하는 방식 |양화진 외국인 묘원|
10. 연말과 연시를 잇는 한국 특유의 성탄 기념일 |한국 크리스마스의 유래|
저자소개
책속에서
러시아의 한인 노동자를 구출하여 파리에 정착시킨 황기환 선생. 한동안 그의 활동 내용은 물론이고 존재도 한국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뉴욕 한인교회의 장철우 목사가 우연히 교회 신도 명부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황기환 선생의 묘지가 뉴욕에 있음을 확인한 것입니다. 장철우 목사는 황기환 선생의 묘지를 찾아 여러 곳을 헤맨 끝에 뉴욕 퀸즈의 마운트 올리벳 공동묘지에서 무덤을 찾아냈습니다. 그 묘비에는 이렇게 적혀있었습니다. ‘대한인 황긔환지묘 민국오년사월십팔일영면’ 아무도 알아주지 않았지만 그는 마지막까지 대한인으로 살았던 것입니다. _ <한인 노동자 35명이 파리에 정착한 사연은?>
윤동주 시인의 생가터 앞에 표석에는 이렇게 적혀있습니다. ‘중국 조선족 애국 시인 윤동주 생가’ 한국인이라면 ‘조선족 윤동주’라는 낱말에 충격을 받게 됩니다. (중략) 독립유공자들의 국적과 명예를 회복하는 일은 반드시 해야 할 일입니다. 그분들의 정체성을 찾아드리는 일이고, 조국을 위해 헌신한 그분들께 예의를 갖추는 일입니다. _ <윤동주와 송몽규가 태어나고 자라고 묻힌 곳>
김금원은 14살 되던 해 여행을 떠나기로 결심하고 남장을 합니다. 이는 단순히 여행의 편리함을 위한 것만은 아니었습니다. 조선시대 여성은 ‘여행을 하는 것’만으로 처벌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중략) 《호동서락기》는 그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김금원이 여행한 지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호’는 제천과 단양 일대를 가리키는 호서지역, ‘동’은 금강산과 관동 8경의 관동지역, ‘서’는 평양과 의주를 포함하는 관서지역, 마지막으로 ‘낙’은 낙양서울입니다. 김금원이 책을 지은 이유를 이렇게 적었습니다. “문장으로 써서 전하지 않는다면 누가 오늘날 금원이 있었음을 알겠는가.” _ <곤장 100대를 각오한 원주 소년의 선 넘는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