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3985298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4-06-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장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대상과 방법
3. 선행 연구
제2장 조선시대 여자 교육과 여성 지식인
1. 서론
2. 조선시대 여성 지식인과 교육
3. 봉보부인(奉保夫人)과 여사(女師)
4. 견외견학(肩外見學)의 가풍(家風)
5. 모교(姆敎) 전통
6. 특수 계급의 지식 교육
7. 결론
제3장 조선시대 여자 교훈서(여훈서)의 유형과 의미
1. 서론
2. 조선시대 여자 교육과 여훈서의 유형 분류
3. 여훈서(女訓書)의 유형
4. 결론
제4장 조선시대 여훈서 편찬・전승 양상과 여성의 문자생활
1. 서론
2. 조선시대 여훈서의 편찬・전승 양상
3. 여훈서와 여성의 문자 생활
4. 결론
제5장 풍속에서 의식으로, 근대적 여성관의 태동
1. 서론
2. 근대 여성관의 변화: 풍속에서 의식으로
3. 지식 교류와 근대적 여성관
제6장 근대 계몽기 신문 소재 논설의 여성 문제와 여자 교육 담론의 분포와 의미
1. 서론
2. 신문 소재 여성 문제와 여자 교육 담론의 분포와 내용
3. 여성 문제와 여자 교육 담론의 의미
4. 결론
제7장 근대의 가정학과 여자 교육
1. 서론
2. 근대 지식 수용과 역술(譯述)의 필요성
3. 근대 계몽기 역술・인포(印布)의 특징
4. 역술문화상(譯述文化上)으로 본 이기(1908)의 ‘가정학설’
5. 결론
제8장 근대 지식 형성에 따른 여성 인물 발굴의 의의와 한계
1. 서론
2. 근대적 여성관의 형성과 여성 인물의 역할
3. ≪여자독본≫과 ≪일사유사≫의 여성 인물 분포 및 유형
4. 결론
[부록] 여자 교육사 관련 기초 데이터
1. 문헌 중심 여성 교육 자료
2. 여성사 연구 관련 주요 문헌 목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