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신라/통일신라
· ISBN : 9791194100041
· 쪽수 : 556쪽
· 출판일 : 2024-11-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 4
서 론 ∙ 9
1부|삼한 인식과 삼한일통의식
1장_ 삼한 인식의 연원과 확장
1. 삼한 인식의 연원 ∙ 39
2. 삼한 인식의 확장 ∙ 51
2장_ 일본과 신라의 삼한 인식 문제
1. 일본의 삼한 인식 ∙ 78
2. 7세기 신라의 타자 인식 ∙ 92
2부|7세기설의 근거 자료 비판 1 : 금석문 자료
1장_ 「청주운천동비」의 검토
1. 비문의 내용과 성격 ∙ 113
2. 정치᛫사회사적 내용을 통한 건립 시기 파악 ∙ 151
2장_ 신라후기 금석문에 나타난 삼한일통의식
1. 7~8세기 금석문에 나타난 삼한일통의식 검증 ∙ 203
2. 9세기 금석문에 나타난 삼한일통의식 ∙ 229
3부|7세기 설의 근거 자료 비판 2 : 문헌 자료
1장_ 태종 시호 기사의 삼한일통의식
1. 태종 시호 기사의 비판적 검토 ∙ 245
2. 태종 시호의 의미와 추상 배경 ∙ 263
2장_ 김유신 사적과 삼한일통의식
1. 김유신 헌의의 사실성 비판 ∙ 281
2. 김유신 설화와 삼한일통의식 ∙ 298
4부|7세기 전쟁의 재인식과 김유신 서사의 형성
1장_ 7세기 전쟁의 재인식과 『김유신행록』의 찬술
1. 중대 말 7세기 전쟁의 재인식 ∙ 321
2. 『김유신행록』의 찬술 경위 ∙ 338
2장_ 『김유신행록』의 서사 구성과 지향
1. 김유신 중심의 사적 재구성 ∙ 353
2. 김유신 평가 사적의 가공 ∙ 370
3. 김유신의 신이성 과시 ∙ 390
5부|9세기 중반 삼한일통의식의 출현
1장_ 흥덕왕대 체제 정비와 김유신 추봉
1. 헌덕왕-흥덕왕대 체제 위기와 대응 ∙ 399
2. 김유신의 흥무대왕 추봉 시기와 의미 414
2장_ 신무왕-문성왕대의 정치 변동과 삼한일통의식의 출현
1. 신무왕대 전후 무열왕계의 동향 ∙ 429
2. 문성왕대 무열왕계의 복권과 삼한일통의식의 출현 ∙ 446
6부|삼한일통의식의 확립과 심화
1장_ 경문왕의 통일정책과 삼한일통의식의 확립
1. 경문왕의 통일 이념과 정책 ∙ 465
2. 황룡사구층목탑의 개건과 삼한일통의식의 확립 ∙ 480
2장_ 신라의 진한 정체성과 '마한 - 고구려' 인식
1. 신라의 진한 정체성 ∙ 495
2. '마한-고구려' 인식의 함의 ∙ 512
결 론 ∙ 529
참고문헌 ∙ 539
찾아보기 ∙ 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