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라는 정말 삼국을 통일했을까

신라는 정말 삼국을 통일했을까

('삼국통일'을 둘러싼 해석과 논쟁)

기경량, 김종복, 여호규, 윤경진, 이기천, 이재석, 이재환, 이정빈, 임기환, 전덕재, 정요근, 홍보식 (지은이), 정요근 (엮은이)
  |  
역사비평사
2023-05-31
  |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400원 -10% 770원 13,090원 >

책 이미지

신라는 정말 삼국을 통일했을까

책 정보

· 제목 : 신라는 정말 삼국을 통일했을까 ('삼국통일'을 둘러싼 해석과 논쟁)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신라/통일신라
· ISBN : 9788976965813
· 쪽수 : 376쪽

책 소개

보통의 일반 독자라면 신라가 삼국을 통일했다고 배워왔으며 그렇게 알고 있을 것이다. 이른바 삼국통일전쟁론이며 학계의 주류로 자리 잡은 통설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끊임없는 반론이 제기되었는데, 이른바 백제병합(통합)전쟁론이다. 이 책은 ‘삼국통일’을 둘러싸고 사료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그에 따른 치열한 논쟁을 담고 있다.

목차

1부 일통삼한 의식
신라의 영토의식과 삼한일통 의식 ┃ 윤경진
신라는 삼국을 통일하려고 하였을까 ┃ 전덕재
‘일통삼한 의식’과 표상으로서의 ‘삼한’ ┃ 기경량
신라 ‘삼국통일’ 논쟁의 논점과 방향 ┃ 윤경진
김춘추, 당 태종의 협약과 ‘일통삼한’ ┃ 임기환

2부 전쟁과 외교, 그리고 교류
7세기 중·후반 동북아시아의 전쟁을 어떻게 부를 것인가? ┃ 이재환
고구려-수·당 전쟁, 무엇을 바꾸었나? ┃ 이정빈
7세기 만주·한반도 전쟁과 지정학 구도의 재편 ┃ 여호규
7~8세기 나당 관계의 추이 ┃ 김종복
당의 입장에서 본 신라의 통일 ┃ 이기천
왜국(일본)에서 본 백제·고구려의 멸망 ┃ 이재석
물질문화로 보는 삼국통일?─?고고학적 접근 ┃ 홍보식

저자소개

전덕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도 양구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문학석사 및 문학박사). 서울대학교와 서원대학교, 가톨릭대학교 강사 및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경주대학교 교양 과정부와 문화재학과 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단국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역사연구회 연구위원회 위원장, 한국사연구회 연구이사, 한국고대사학회 총무이사와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신라육부체제연구』(1996), 『한국고대 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2002), 『한국고대사회경제사』(2006), 『신라 왕경의 역사』(2009), 『삼국사기본기의 원전과 편찬』(2018), 『이슈와 쟁점으로 읽는 한국고대사』(2018), 『한국 고대 음악과 고려악』(2020), 『삼국사기 잡지·열전의 원전과 편찬』(2021) 등이 있고, 한국고대사 관련 논문 160여 편을 발표하였다. 2020년에 단국대학교 범은학술상, 2021년에 제40회 두계학술상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여호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1~4세기 고구려 정치체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고대사학회 총무이사, 고구려발해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역사연구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고구려사를 중심으로 한국 고대의 정치사와 국제관계사를 폭넓게 연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왕궁이나 도성 등 공간에 담긴 역사상을 규명하기 위해 실증 연구와 이론 모색을 다각도로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고구려 성 I․II》(1998․1999), 《아 그렇구나 우리역사 ③: 고구려》(2004),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2014), 《삼국시대 고고학개론 1》(공저, 2014), 《한국고대사 1》(공저, 2016), 《내일을 여는 한중관계사》(공저, 2019), 《중국 소재 고구려 유적과 유물 I~X》(공저, 2020~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임기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서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로 일하고 있으며 교육전문대학원장을 지냈습니다. 한국고대사학회 회장, 역사학회 부회장을 지냈습니다. 지은 책으로 《고구려 정치사 연구》 《고구려와 수·당 70년 전쟁》이 있고, 함께 지은 책으로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1》 《온달, 바보가 된 고구려 귀족》 《고대로부터의 통신》 《고구려 문명 기행》 《고구려 유적의 어제와 오늘》 《고구려 왕릉 연구》 《현장 검증 우리 역사》 《고구려 평양성의 막강 삼총사》 등이 있습니다. 더 많은 이에게 우리나라 고대사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주기 위해 tvN STORY 〈벌거벗은 한국사〉에 출연했습니다.
펼치기
임기환의 다른 책 >
이재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교토대학교에서 일본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4년 현재 한성대학교 역사문화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공저로 《일본서기 한국관계기사 연구》(전3권), 《아틀라스 일본사》, 《일본인의 선택》 등이 있으며, 《교양인을 위한 일본사》를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윤경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국립대학교 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했고, 고려시대사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술로 『高麗史 地理志의 分析과 補正』(2012), 『고려 역사상의 탐색』(공저, 2017), 『고려시대사 1』(공저, 2017) 등이 있다.
펼치기
홍보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주대학교 사학과 교수 『가야사의 인식변화(공저)』 (주류성, 2021) 「부산 기장 고촌리 유적의 단계와 운영 양상 검토」 (『항도부산』 44, 2022) 「소가야지역의 횡혈식석실수용과 특징?내산리고분군의 횡혈식석실을 중심으로?」 (『한국학논총』 56, 2021)
펼치기
정요근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과 하와이주립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고려·조선 초의 역로망과 역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여말선초 군현 간 합병·통합과 신읍치의 입지경향> 등 고려와 조선 시대의 지방 고을 및 역사지리와 관련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함께 지은 책으로 《고려의 황도 개경》, 《개경의 생활사》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정요근의 다른 책 >
김종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7년에 태어났다.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문 연수과정을 수료하였고,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연구원과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학예사 등을 거쳐, 2018년 현재 안동대학교 사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발해사를 중심으로 한국 고대사 및 사학사를 연구하고 있다. 특히 실학자 유득공의 저서 《발해고》 수정본이 지닌 역사적 가치에 주목하여 수정본 연구에 매진하였다. 2009년에 청명문화재단의 ‘번역모임 지원사업’에 선정된 이후 초고본과 7종의 수정본 필사본 및 당시 유득공이 참고한 원사료들을 모두 대조하여 교감하는 작업을 중점적으로 진행하였다. 그 오랜 연구의 결과물이 바로 이 책 《정본 발해고》이다. 저서로 《발해정치외교사》(2009)가 있고, 논문으로 〈수정본 《발해고》의 내용과 집필 시기〉(2010), 〈완충지대로서의 요동을 통해 본 신라.발해.당의 관계〉(2017), 〈한국 근대역사학의 발해사 인식 - 남북국론을 중심으로〉(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이정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2년 2월 경희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2013년 8월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육군사관학교 사학과 전임강사,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을 역임했다. 2017년 9월부터 충북대학교 역사교육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일제시기 만주사 - 조선사 인식』(공저, 2009, 동북아역사재단), 『한국 고대사와 사이비역사학』(공저, 2017, 역사비평사), 『동북공정 이후 중국의 고구려사 연구 동향』(공저, 2017, 역사공간) 등이 있고, 논문으로 「고구려 東盟의 정치의례적 성격과 기능」(2006, 『한국고대사연구』 41), 「고구려 태학 설립의 배경과 성격」(2014, 『한국교육사학』 36-4), 「신라 중고기의 赴防과 군역」(2016, 『역사와 현실』 97), 「「천남생묘지」에 보이는 將軍과 7세기 고구려의 군사 운용」(2016, 『한국고대사탐구』 22), 「단군신화의 비대칭적 세계관과 고조선의 왕권」(2016, 『인문학연구』 31) 등이 있다.
펼치기
기경량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톨릭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펼치기
이기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책임연구원
펼치기
이재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역사학과 부교수
펼치기
정요근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과 하와이주립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고려·조선 초의 역로망과 역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여말선초 군현 간 합병·통합과 신읍치의 입지경향> 등 고려와 조선 시대의 지방 고을 및 역사지리와 관련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함께 지은 책으로 《고려의 황도 개경》, 《개경의 생활사》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정요근의 다른 책 >

책속에서

‘평양이남’은 신라에 귀속될 영토의 지리적 범위를 나타내고, ‘백제토지’는 이 지역이 신라로 귀속되는 이유 또는 속성을 나타낸다.


7세기 삼한일통 의식을 뒷받침하던 자료들은 모두 후대의 것으로 파악된다.


7세기 전·중반에 신라인과 당나라 사람들이 임진강 이북이 고구려의 영토였다고 인지하고 있었던 현실을 전제한다면, ‘평양이남 백제토지’를 ‘평양 이남의 백제 토지’라고 해석하기보다는 평양 이남의 고구려 영토와 백제 토지를 모두 망라한다고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볼 수밖에 없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