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나라직업사전 : 근대 2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근대개화기
· ISBN : 9791194326007
· 쪽수 : 221쪽
· 출판일 : 2024-10-20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근대개화기
· ISBN : 9791194326007
· 쪽수 : 221쪽
· 출판일 : 2024-10-20
책 소개
우리나라 역사 속에는 다양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모두 '직업'이 있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나라에는 언제부터 직업이 있었을까? 기록에 따르면 '직업'은 상고시대부터 존재했다. 신분이 구분되고, 신분 내에 역할이 나뉘면서 자신의 위치를 상징화할 명칭이 필요했다.
목차
1. 일제강점기 시초
2. 일제강점기
3. 조선총독부
4. 조선총독부 기관 1
5. 조선총독부 기관 2
6. 대한민국 임시정부
7. 독립운동단체
8.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일본은 1905년 11월 22일 한국에 통감부 및 이사청理事廳을 설치하는 건을 공포하여 한성에 통감부를 설치하고 이사청을 한성, 인천, 부산, 원산, 진남포鎭南浦, 목포木浦, 마산馬山 등지에 설치하여 한국을 통제할 기반을 세웠다. 통감부 직원은 친임관親任官 통감統監 1명과 친임관 부통감副統監 1명, 칙임관 총무장관總務長官 1명, 칙임관 또는 판임관 농상공무총장農商工務總長 1명, 칙임관 경무총장警務總長 전임 1명, 주임관 비서관 전임 1명, 서기관 전임 7명, 경시警視 전임 2명, 기사 전임 5명, 통역관 전임 10명, 판임관 경부警部 전임 45명, 기수 전임 45명, 통역생通譯生 전임 45명이 있다.
-「일제강점기 시초」 중에서
총독관방總督官房은 조선총독을 보좌하기 위해 설치된 기관으로 오늘날 대통령, 국무총리 비서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총독관방은 조선총독부가 설치된 1910년 9월에 설립되었고 1945년 8월에 폐지되었다. 1910년 총독관방이 설치되었을 때 부서로 비서과와 무관실武官室이 생겼고, 1912년에 참사관실參事官室, 총무국, 외사국, 토목국土木局이 신설되었으며 1918년에 철도국이 추가되었다.
-「일제강점기」 중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