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4442066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24-12-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디자인, 건축, 도시는 어떻게 일상을 만드는가
1. 사람과 사람
휘게, “내가 일하며 돈을 버는 이유”
덴마크어 중 가장 유명한 단어 | 삶에 뿌리내린 특별한 감성
어둠을 표현하는 방식
공간의 분위기를 만드는 조명, PH램프 | 빛을 연구하다
숟가락부터 건물까지
데니시 모던 | 건축과 디자인 그리고 예술 | 전통과 모더니즘 사이에서 | 건축가보다는 가구 디자이너로 기억되는 | 핀 율의 집
길게 늘어선 건물들의 사잇길
로우하우스, 렝에, 레케후스 | 도시의 역사와 시간을 간직한 뉘보더 | 매력적인 사잇길, 카토펠레케르네
코펜하겐 하버, 공동의 거실
상인들의 항구 | 산업시설에서 시민을 위한 항구로 | 칼브볼 웨이브, 자유로운 행위가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2. 사람과 집단
집단주의 또는 상생주의
상실의 시대와 얀테의 법칙 | 동전의 양면 같은 집단주의와 상생주의
두 개의 의자
한스 웨그너와 아르네 야콥센 | 더 체어 vs. 앤트 체어 | 디자이너와 장인의 협업
공동체 주거를 실험하다
가사 노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동주택 | 공동체 삶과 독립적 일상의 균형 | 공동체 주거는 출생률을 높일 수 있을까
역사가 남긴 상상의 흔적들
양조공장 입구에 코끼리가 있는 이유는? | 티볼리 공원, 오리엔탈리즘과 근대화가 혼재된
자율 도시 크리스티아니아
루저들의 파라다이스 | 자연발생적인 공동체 | 현재진행형 코뮌, 지속가능한 크리스티아니아
3. 사람과 이념
조합, 사회를 지지하는 뼈대
농민들 협동조합을 만들다 | 조합, 문화이자 사회 시스템이자 일상의 배경
사람들의 의자, 모두를 위한 가구
소비자협동조합의 탄생 | 사람들의 의자, 모두를 위한 가구
공공주택을 대신하는 사회주택
저렴하면서 실험적인 사회주택 | ‘사회주택 플러스’ 모델 | 파룸 센터, 근대 건축과 전원적 삶의 결합 | 서머뤼스트, 지역 커뮤니티의 유산
작은 땅이 주는 위로
도시생활로부터의 해방감 | 시민농장의 의미와 가치
익명적이면서도 소속되고 연결되어 있다는
협동조합주택, 주거 안정과 색다른 소유 개념 | 베스터브로, 조합원들의 도시 | 익명적이면서도 소속되고 연결되어 있다는
4. 사람과 도시
자동차에 불친절한 도시
자동차를 소유하기 어려운 조건 | 스트로을, 차가 없는 거리 | 지하에서 지상으로
자전거 중심 도시
자전거, 빠르고 효율적인 교통수단 | 자전거 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 릴레 랑헤브로, 새로운 도시 공간을 만드는 다리
공간적 사치 또는 건축의 잠재력
발코니, 주택의 안과 밖 사이 | 건물 외관부터 이웃과의 소통까지
중정 도시
중정, 공동의 작은 공원 | 시대정신과 그 한계까지 간직한 공동주택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의 공간
인구 집중과 도시 팽창 | 핑거플랜, 도시계획의 방향
에필로그―조금은 덜 익명적인 관계도시
참고한 책들
저자소개
책속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