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빈곤/불평등문제
· ISBN : 9791194442158
· 쪽수 : 509쪽
· 출판일 : 2025-03-31
책 소개
목차
서문
1부. 배제, 마모, 그리고 버텨내기
1장. 열심히 일하고 규칙을 지키면 우리를 괴롭히는 병으로부터 치유될 수 있을까?
2장. 스트레스와 인간의 생물학적 캔버스
3장. 스트레스 받는 유전자와 마모된 세포
4장. 위험에 빠진 산모와 영아
5장. 집단적으로 웨더링 견뎌내기
6장. 우리를 은밀하게 죽인다: 인종화된 사회적 정체성의 웨더링 효과
7장. 성공을 위해 애쓰다가 웨더링 당하기: 시스템에 맞서다가 노화되기
8장. 사회 정책과 흑인 가족생활에 대한 공격
2부. 앞으로 나아가는 길
9장. 생심리사회적으로 생각하기: 우리 주변의 은밀한 불평등에 대처하기
10장. 전체론적으로 생각하기: 부서, 구역, 결정요인별로 대응하는 관행에서 벗어나기
11장. 억압받는 이해관계자를 지워서는 안 된다: 우리 없이는 우리에 대해 아무것도 하지 말라
12장. 공공보건 과학과 정책을 재편해 노동연령 및 생식연령 성인의 필요를 더 잘 반영하기
13장. 우리 모두의 운명이 연결되어 있음을 깨닫기
감사의 말
미주
추천의 말
책속에서
그 진실이란, 인종화를 비롯한 문화적 탄압의 양식들을 지탱하는 이데올로기, 예컨대 인종차별주의, 계급주의, 성차별주의, 연령주의, 외국인혐오, 동성애혐오는 사람들의 건강에 실질적이고 측정가능한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웨더링을 당한 사람들은 특정 질병이나 건강 이상 상태로 진단받기 훨씬 전에 신체의 모든 시스템이 스트레스에 의해 마모된다.
살면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에 따라 비교적 젊은 사람들이 생물학적으로는 노인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