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근대개화기
· ISBN : 9791195082957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8-08-0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Ⅰ. 덕수궁 이야기
1. 역사
2. 정릉동 행궁
1) 석어당 이야기
2) 즉조당
3. 경운궁
1) 황제국 반포와 황제의 자존심
2) 대한제국 외교
가. 중명전의 을사늑약
나. 고종의 강제 퇴위
3) 고종의 근대적 개혁
가. 대한제국의 신문물
나. 외국인에 의한 근대문물 수용
다. 서양문물 수용 어려움
4) 대한제국의 국격
가. 전통 건축물
나. 서양 근대 건축물
5) 훼손된 궁궐
가. 정전 지역
나. 환구단 지역
다. 중명전 구역
라. 선원전 주변
마. 광명문 주변
4. 덕수궁
1) 대한문 일원
2) 중화전 일원
3) 함녕전과 덕홍전 일원
4) 정관헌 일원(대한제국 공사관 접견례)
5) 석어당과 즉조당 일원
6) 중명전 일원(을사늑약 전시관)
7) 석조전(대한제국 역사관)
8) 덕수궁의 조경적 특징
가. 석조전 정원
나. 화계의 조화
5. 경희궁 역사
1) 초기 경희궁
2) 현재 경희궁
6. 덕수궁 12경
⓵대한문과 수문장 교대의식 ⓶중호전 ⓷석어당과 즉조당 ⓸석조전 ⓹환구단
⓺정관헌 ⓻함녕전과 고종 ⓼경운지(연못)사계 ⓽중명전의 아픔 ⓾칠엽수(마로니에)
⑪덕수궁돌담길 ⑫덕수궁 전경(시청별관 13층에서 바라보는 정동 전망대)
덕수궁 연표
Ⅱ. 현판으로 배우는 경운궁 천자문
1. 대한문 지역
덕수궁, 경운궁, 대한문, 인화문, 금천교, 왕궁수문장 교대의식, 하마비, 서울광장
2. 중화전 일곽
중화문, 중화전, 품계석, 행각, 상하월대, 일월오봉도, 박석, 행각, 향로, 드므
국태평만년, 희성수만세, 서수가족, 중화전 주련(단오첩)
3. 함년엊 지역
함녕전, 함녕전 주련, 함살아궁이, 억흥전, 잡상, 오지창, 창신문, 유현문, 용덕문, 설류문
합가 글자와 글뚝 글자
4. 즉조당과 석어당 일곽
즉조당, 즉조당 주련, 준명당, 준명당 주련, 석어당, 석어당 주련, 정관헌
5. 석조전 지역
석조전, 대한제국 역사관, 애국가, 석조전시관, 국립현대미술관, 야부일구, 칠엽수, 돈덕전
6. 광명문 지역
광명문, 자격루, 흥천사범종, 신기전기화차, 운교, 관람로, 관람객, 화장실, 휴게의자
7. 중명전 일곽
중명전 수옥헌, 을사늑약, 을사오적, 시일야방성대곡, 만국평화회의특사, 한일합방,
문화유산 국민신탁
8. 환구단 지역
환구단, 천제단, 석고, 황궁구, 기념비전, 만세문, 철도호텔, 전주이씨 대동종약원
9. 경희궁 지역
경희궁, 홍화문, 숭정문, 증정전, 자정문, 자정전, 태녕전, 서암, 용비천, 영렬천,
홍교, 서울역ㅅ박물관, 금천교
10. 대한제국 근대국가
광무연호, 대한제국, 대한의원, 장충단, 을미사변, 임오군란, 갑신정변, 애국대사관,
협문, 양이재, 상공회성당, 명동성당, 대한볼교총본산조계사, 우정총국, 세종대로,
미국대사관저, 아관파천, 탑골공원, 정동제일교회, 배재학당, 이화여자고등학교,
우표박물관, 한국은행본관, 화폐금융박물관, 와룡묘, 무관학교, 상수도, 번사창,
전기, 전차, 전신, 한복, 군악대, 기차, 태극기, 대한매일신보, 만국박람회
11. 정동 지역
서울시의회건물(제헌의회건물), 정동극장, 서울시청, 시청역, 서울시청도서관,
서울시립미술관, 평리원, 예원학교, 덕수초등학교, 경교장, 동아일보, 경향신문,
매일경제, 한국일보, 중앙일보, 서울신문, 문화일보, 조선일보사, 한국경제,
관광한화손해보험, 북창동 광특구, 서울시교육청, 기상청서울관측소, 상북삼성병원,
경찰박물관, 신아일보별관, 대한항공, 구세군사관학교, 재능교육, 종로구청과 중구청,
농업박물관, 적십자간호대학, 신세계백화점, 서울남대문 경찰서, 서소문파출소,
대한일보 빌딩.
12. 한성도성 지역
한성도성(한양성곽), 숭례문, 남대문시장, 흥인지문, 광통교, 동대문시장, 숙정문,
돈의문, 독립문, 서대문형무소, 광희문, 청계천, 오간수문터, 수표교, 혜확문, 창의문,
소의문, 내사산, 백악산, 인왕산, 타락산, 목멱산, 보신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