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왜관수도원으로 돌아온 겸재정선화첩

왜관수도원으로 돌아온 겸재정선화첩

박은순, 안휘준, 유준영, 조인수, 선지훈, 케이 E. 블랙, 에카르트 데게, 박정애 (지은이)
사회평론아카데미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왜관수도원으로 돌아온 겸재정선화첩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왜관수도원으로 돌아온 겸재정선화첩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한국미술
· ISBN : 9791195109067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13-11-20

책 소개

돌아온 문화재 총서 시리즈 1권. 「겸재정선화첩」은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를 창출한 겸재 정선(1676∼1759)이 비단에 그린 총 21점의 그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겸재정선화첩」의 21점 작품 모두를 공개하고, 관련 자료 및 연구를 집대성하였다.

목차

발간사

작품해설
논고 안휘준 돌아온 문화재 어떻게 할 것인가-왜관수도원 소장 《겸재정선화첩》을 중심으로
유준영 《겸재정선화첩》의 발견과 노르베르트 베버의 미의식
선지훈 《겸재정선화첩》의 귀환 여정-사랑과 존경과 신뢰가 담긴 이야기
박은순 왜관수도원 소장 《겸재정선화첩》에 대한 고찰-산수화를 중심으로
조인수 돌아온 보물, 돌아보는 성현-왜관수도원 소장 《겸재정선화첩》의 고사인물화
케이 E. 블랙.에카르트 데게 상트 오틸리엔수도원 소장 정선의 진경산수화

부록
관서, 도인, 화제
《겸재정선화첩》 귀환 연보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박은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덕성여자대학교 미술사전공 명예교수.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미술사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덕성여대 박물관장과 차미리사교양대학장 역임.   미국 스토니부룩 소재 뉴욕 주립대학교 강사 및 연구원, 일본 동경대학교 동양문화연구소 외국인연구원, 세조(成城)대학교 대학원 초빙교수, 사단법인 온지학회 회장, 한국고지도연구학회 회장, 한국미술사학회 총무이사, 역사학회 평의회 이사,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 동산분과 문화재위원회 위원, 서울시 문화재위원회 위원, 인천시 문화재위원회 위원, 문화재청 자체평가위원회 평가위원, 교육과학부 인문사회학술 정책위원회 위원, 서울시 지방보조금심의위원회 위원, 국립여성사박물관 자문위원, 인천 아트플랫폼 운영위원회 위원, 인천문화재단 우현상 운영위원회 위원,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집위원, 국토정보지리원 지도박물관 유물구입자문위원회 위원, 국회도서관 유물구입 평가위원 등.   저서로는 『金剛山圖 연구』, 『조선후기 선비그림의 선구자 공재 윤두서』, 『조선후기의 선비그림 儒畵』, 『이렇게 아름다운 우리 그림』, 『정선:진경산수화를 완성한 화가』, 『금강산 일만 이천봉』 등이 있고, 공저로는 『그림에게 물은 사대부의 생활과 풍류』, 『한국지도학발달사』, 『왜관으로 돌아온 겸재정선화첩』, 『표암 강세황: 조선후기 문인화가의 표상』, 『조선시대 회화의 교류와 소통』 외 다수 있음.
펼치기
안휘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고고인류학과(문학사) 미국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문학석사, 철학박사)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수학 전(前)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박물관장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박물관장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초대 예술연구실장 명지대학교 인문대학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문화재청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초대 이사장 한국대학박물관협회 회장 한국미술사교육학회 대표 한국미술사학회 회장 문화체육부 학예사운영위원회 위원장 국립중앙박물관 운영자문위원회 위원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위원장 문화체육관광부 영정·동상심의위원회 위원장 상훈 우현상, 동원학술대상, 한국미술저작상, 간행물윤리상(저작 부문), 위암 장지연상(한국학 부문), 보관문화훈장, 대한민국문화유산상(학술 부문), 옥조근정훈장, 안견미술문화대상, 세종문화상(학술 부문), 용재학술상, 효령상(문화 부문), 대한민국학술원상(인문학 부문) 주요 저서 『한국회화사』(일지사, 1980), 『한국회화의 전통』(문예출판사, 1988), 『옛 궁궐그림』(대원사, 1997), 『한국회화의 이해』(시공사, 2000), 『한국회화사 연구』(시공사, 2000), 『한국의 미술과 문화』(시공사, 2000), 『한국미술의 역사』(시공사, 2003)(공저), 『고구려 회화』(효형출판, 2007), 『미술사로 본 한국의 현대미술』(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한국미술의 美』(효형출판, 2008)(공저), 『개정신판 안견과 몽유도원도』(사회평론, 2009),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학고재, 2009)(공편), 『청출어람의 한국미술』(사회평론, 2010), 『한국 그림의 전통』(사회평론, 2012), 『한국 미술사 연구』(사회평론, 2012), 『한국 고분벽화 연구』(사회평론, 2013), 『조선시대 산수화 특강』(사회평론, 2015), 『한국의 해외문화재』(사회평론, 2016), 『한국 회화의 4대가』(사회평론, 2019), 『한국의 미술문화와 전시』(사회평론, 2022), 『나의 한국 미술사 연구』(사회평론, 2022) 등
펼치기
유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5년에 태어나 쾰른대학 철학부 미술사학과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전남대 미술교육과 부교수(1977-198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예술연구실 및 한국학대학원 부연구원(1980-1984), 문화재전문위원(1977-1997), 이화여대 조형예술대학 교수(1984-2001)를 역임했다. 주요 논문으로 '조선시대 산수화가 정선 연구(CHONG SON, ein Koreanischer Landschaftsmaler aus der Yi-Dynastie)'(1976), '구곡도의 발생과 기능에 대하여'(1981), '조형예술과 성리학 - 화음동정사에 나타난 구조와 사상적 계보'(1984), '화가 정선의 경학과 사회적 분신'(1991), '20세기초 노베르트 베버(Nobert Weber)의 한국미술품 수집과 비평'(1996), '정선의 '사공도시품첩'연구'(이종호와 공동집필, 2001) 등이 있다.
펼치기
조인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미술이론과 교수이다. 미국 캔자스대학교에서 중국 신선도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호암미술관 학예연구실장, 서울대학교박물관 특별연구원, 미국 남캘리포니아대학(USC) 미술사학과 교수를 지냈다. 시각문화, 물질문화 연구의 관점에서 초상화, 인물화를 연구하며, 20세기 수묵채색화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인다.
펼치기
선지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왜관수도원 신부
펼치기
케이 E. 블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케이 블랙(1928~2020)은 미국인으로 1973년 처음 한국을 방문했을 때 한국미술에 매료되어 40대에 덴버대학에서 다시 한국미술사 공부를 시작하여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 뒤 책거리를 비롯한 한국미술 연구에 몰두하여 와그너와 함께 “책거리 그림”(1993)과 “궁중 스타일 책거리”(1998) 등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또한 에카르트 데게와 함께 발표한 “상트 오틸리엔수도원 소장 정선의 진경산수화”(1999/2000)에서는 이 그림에 그려진 금강산의 시점에 대해 창의적인 해석을 제시한 바 있다. Kay E. Black (1928-2020) received a master’s degree at the University of Denver. Her publications include such articles on ch’aekkŏri as “Ch’aekkŏri Paintings: A Korean Jigsaw Puzzle”(1993) and “Court Style Ch’aekkŏri”(1998), both coauthored with Edward W. Wagner. She also published “St. Ottilien’s Six ‘True View Landscapes’ by Chŏng Sŏn” with Eckarte Dege, which presents an inspring, new interpretation of the viewing spot of Diamond Mountain in the painting.
펼치기
에카르트 데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독일 킬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펼치기
박정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강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