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91195152988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22-11-01
책 소개
목차
1.프롤로그
스토리텔링과 일상
스토리텔링의 다른 말들_광고카피와 브랜드
스토리와 스토리텔링
스토리텔링, 나와 세상의 재발견
위대한 스토리텔링의 세 가지 속성
2. 스토리텔링 매뉴얼 만들기
스토리텔링을 향한 첫 도전
탐색 끝에 발견하게 된 '스토리텔링'의 3요소
스토리텔링은 '정체성 찾기finding identity'다
스토리텔링은 가치창출value developing이다
스토리텔링은 전달의 마술magic of telling이다
3. 스토리텔링을 위한 지피지기
지피지기, 스토리텔링의 출발점, 샘플링
지피지기, 나를 발견하는 100개의 물음표
4. 스토리텔링 매뉴얼, 12섹터 분석법
12섹터분석법이란?
12섹터 이해하기1, 정체성 찾기 Finding identity
첫 번째 상자, 프로필 Profile
두 번째 상자, 배경 Background
세 번째 상자, 평가/사료 Records
네 번째 상자, 현재상태 Now
12섹터 이해하기2, 가치재발견Value Developing
다섯 번째 상자, 진정성 Authenticity
여섯 번째 상자, 독보성 Unique
일곱 번째 상자, 시의성 Timeliness
여덟 번째 상자, 수요성 Demand
12섹터 이해하기3 전달력 Telling Potential
아홉 번째 상자, 캐릭터파워 Character power
열 번째 상자, 관점전환 Changing frame
열한 번째 상자, 연결성 Hook & link
열두 번째 상자,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
5. 스토리텔링 실전
실전1, 일연과 삼국유사에 관한 스토리텔링 만들기
실전2, 가치재발견이 필요한 길 위에 스토리 입히기
6. 매력적인 '개인 글쓰기'를 위한 12키워드매뉴얼
실전. 사회 진출을 앞둔 청년의 자기소개서 쓰기
자기소개서를 위한 키워드 찾기
요구하는 인재상에 맞는 자기소개서 쓰기
7. 좋은 스토리텔링을 위한 몇 가지 습관
95%는 듣고 5%는 쓰는 사람, 그가 작가다
문화의 장벽을 넘나드는 크로스컬처리스트가 되라
나만의 콘텐츠 창고를 만들어라
누구보다 먼저, 현장을 점령하라
키맨을 찾아라. 그리고 그와 친구가 되라
책속에서
그런데 2000년대에 들면서 대형 건설사들이 아파트에 스토리텔링을 접목시켰습니다. 이와 함께 래미안(삼성건설), 푸르지오(대우), 힐스테이트(현대), 자이(LG), 더샵(포스코), 이편한세상(대림), 롯데캐슬(롯데) 등의 브랜드 아파트가 등장했고, 이와 함께 광고도 변했습니다. 이전과 같은 ‘아파트 자체를 알리는 광고’가 아닌 ‘사람과 삶, 가족의 소중함’을 주제로 한 스토리텔링이 등장했습니다. 스토리텔링을 만난 아파트는 브랜드별로 차별화된 고객층을 탄생시켰고, 아파트도 평생 살만한 ‘인생주택’으로 인식되면서 한국의 주거문화에 새로운 전기를 만들었습니다. 건설사나 아파트라는 상품이 달라진 것이 아닙니다. 달라진 스토리텔링이 만들어낸 결과입니다. <스토리텔링의 다른 말들_광고카피와 브랜드> 중에서
많은 사람들이 좋은 스토리텔링을 하기 원합니다. 같은 말이라도 적절한 말과 표현으로 어려움에 빠진 가족과 친구를 위로할 수 있고, 어려워진 관계를 다시 회복할 수 있기를 원합니다. 더 나아가 내 자신의 잠재력을 면접관에게 잘 전달하고 싶고, 내가 만든 상품의 가치를 전할 수 있는 울림이 이야기를 만들고 싶어합니다. 그런데 어떻게 하면 좋은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는지를 잘 모릅니다. 심지어 아주 괜찮은 스토리텔링을 하는 사람조차도 자신이 어떻게 그런 스토리텔링을 하는 것인지를 모르는 경우도 종종 봅니다. 즉, 좋은 스토리텔링을 체계적으로 잘 알고 활용하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다는 사실입니다. <스토리텔링의 다른 말들_광고카피와 브랜드> 중에서
스토리텔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먼저 그 대상물의 정체성을 파악하는 일입니다. 그런데 이 정체성은 이후의 모든 스토리텔링의 근간과도 같아서 스토리텔링의 모든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래서 스토리텔링을 다른 말로 정의하라고 하면 ‘정체성 찾기finding identity’라고 말하곤 합니다. 가장 먼저, 정확하게 내가 다루고자 하는 대상의 소재의 정체성을 파악해야 합니다. 정체성이란 어떤 사람. 혹은 사물의 변하지 않는 본질, 속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흔히 범하는 실수 중에 본질이 아닌 것을 본질로 여기는 것입니다. <스토리텔링은 ‘정체성 찾기‘이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