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주역
· ISBN : 9791195231928
· 쪽수 : 279쪽
· 출판일 : 2014-05-15
책 소개
목차
챕터 1. 명리학(命理學)과 자미두수(紫微斗數) 개괄
1. 역학비즈니스 패러다임의 변화
2. 역학 프로그램 개괄
3. 명리학(命理學), 자미두수(紫微斗數)의 시대적 배경
챕터2. 명리(命理)의 격(格)과 자미두수(紫微斗數)의 성격(性格)
1. 에피소드
2. 명리(命理)의 격(格)
3. 자미두수(紫微斗數)의 성격(性格)
4. 사례적용분석
-미국 대통령 버락오바마
5. 명리학(命理學)의 격(格) 분석
6. 자미두수(紫微斗數)의 성격(性格) 분석
챕터 3. 사화론(四化論)
1. 사화론(四化論)
1) 사화론(四化論)이란
(1) 사화(四化)의 정의
(2) 포국학의 정수로서의 사화의 지위
(3) 명신주(命身主) 타동을 위한 기준 값
(4) 천간(天干) 사화(四化)값 설정 방법론
2) 사화론(四化論)의 시대적 배경
3) 사화론(四化論)에 관한 학설대립
-사화배열 기본공식
4) 사화(四化)의 작용원리
(1) 응집(凝集)의 원리
(2) 발산(發散)의 원리
2. 선천사화론(先天四化論)
-개괄 및 비교표
1) 명리학의 영향
2) 주역의 영향
3) 불교의 영향
4) 선천사화(先天四化) 별 불교의 영향
5) 사화(四化)의 조합
-인과매개론(因果媒介論)과 육효정위원리(六爻定位原理)
챕터 4. 용신론(用神論)과 명신주론(命身主論)
1. 명리학의 용신(用神)과 자미두수의 명신주(命身主) 개괄
2. 명리학의 용신론(用神論)
1) 용신의 정의,
2) 용신의 추출
3) 용신전쟁의 쟁점
4) 용신전쟁 격화의 배경
3. 자미두수(紫微斗數) 명신주론(命身主論)
1) 명신주론(命身主論)
(1) 명주(命主)
(2) 신주(身主)
(3) 명신주(命身主) 포국의 목적
2) 명신주(命身主) 타동의 원리:
(1) 타동의 대상인 명신주(命身主) 확정의 문제
(2) 명신주(命身主) 타동론
챕터 5. 용신론(用神論)과 명신주론(命身主論)의 적용
1. 명리학의 용신(用神)분석
-버락오바마 대통령 사주명식,
1) 조후용신(調候用神)분석
2) 억부용신(抑扶用神)분석
2. 명리에 의한 대운(大運) 분석
1) 대운납음오행설(大運納音五行說)과 용신(用神)
2) 천간지지일체적용설(天干地支一體適用說)과 용신(用神)
(1) 1대운
(2) 2대운
(3) 3대운
(4) 4대운
(5) 5대운
(6) 6대운
(7) 7대운
3) 용신(用神)과 대운(大運) 결론
3. 자미두수의 명신주(命身主) 포국
1) 명신주의 확정
2) 포국 사화 및 녹존(祿存)
4. 대한(大限) 별 명신주(命身主) 분석
1) 1대한
2) 2대한
3) 3대한
4) 4대한
5) 5대한
6) 6대한
7) 7대한
챕터 6 결합론(結合論)으로서의 용신론(用神論)과 명신주론(命身主論)
1. 사람간의 결합원칙으로서의 용신론(用神論)
1) 제왕학의 채용론(採用論)인 용신득령비교설
2) 채용론(採用論)과 직분(職分)
3) 남녀간의 결합이론으로서의 용신론(用神論)
(1) 용신생부설(用神生扶說)
(2) 용신비교설(用神比較說)
(3) 소결
(4) 용신과 관계없는 학설
2. 사람간의 결합원칙으로서의 명신주론(命身主論)
1) 선천사화대입설
2) 대한사화대입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