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사회운동 일반
· ISBN : 9791195265299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19-06-30
책 소개
목차
서문 : 『한국협동조합운동 100년사』를 펴내며
총론: 시련 속에서도 꺾이지 않은 협동조합운동의 이상
1부. 일제하 협동조합운동의 사상과 실천 (1919~1945)
- <역사의 창1> 1919년, 한국협동조합운동사의 원년
- 소비조합의 출현과 협동조합론의 발
- 기독교계 협동조합운동의 역사와 이념
- 조선농민사의 농민공생조합운동
- 협동사회 실현을 위한 협동조합운동사의 도전기
- 일제하 노동·농민운동과 사회주의 협동조합
2부. 협동조합운동의 재출발, 시련과 극복(1945~70년대 초반)
- 해방 이후 협동조합운동의 부흥과 좌우대립
- 한국전쟁 후 다시 시작한 협동조합운동
- 신용협동조합의 초기 성장과 정부 개입에 의한 변화
- <역사의 창2> 신협인의 눈으로 본 초기 신협 활동
- 원주지역의 협동조합운동과 생명운동
- 무교회신앙과 협동조합 정신: 생명운동과 공동체 생산양식
- 일기자료에 나타난 1960~70년대 농민생활과 농협
부록 : 협동운동100년사
부록 : 한국 협동조합·공제조합 통사 목록
총론 :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협동조합운동에 새로운 조선의 꿈을 담은 실천에는 민족주의자들, 천도교, 기독교인들을 포함하여 사회각계각층이 참여했다. 이들의 운동은 소비조합, 또는 협동조합운동이라 불리었고 1920년대-30년대 전반에 걸쳐서 끊임없이 시도되던 것이다.
현재의 운동을 둘러싸고 제기되는 협동조합을 둘러싼 많은 이론과 실제는 우리의 현재 운동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그중의 적지 않은 부분은 과거 협동조합운동의 역사 속에서 이미 제기되거나, 실험되거나, 해결되거나, 또는 미해결된 부분이 있을 수 있다. 물론 그것이 세계 여러 나라의 역사적 경험 중에 하나일 수도 있고, 일제하 이래 우리 협동조합운동의 역사적 경험 중 하나일 수도 있다. 여기에 우리가 우리 협동조합운동의 역사를, 그를 둘러싸고 제기되었던 논의와 경험을 발굴하고, 반추하고, 축척하는 이유가 있다.
기록상 많은 편차가 있지만 운동사가 1920년대 후반기 조선에 협동조합을 건설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운동사 주도층은 사회주의 성향의 지역사회운동 세력과 비타협적 민족주의자 등과 폭넓게 연대했다. 민족주의·사회주의 양대 운동과 이념의 간극을 극복하고, 민족운동·사회운동의 작은 험로를 개척해나갔던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