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기획/보고 > 기획
· ISBN : 9791195336104
· 쪽수 : 246쪽
· 출판일 : 2014-08-20
책 소개
목차
제1장.
기획 역량
1. 기획 역량의 의미
세부기획역량
2. 기획 과정
제2장.
공통 역량
1. 삼각형 조직의 구조 이해
계선제 조직의 구조
넓은 시야, 깊은 이해
2. 자기 사고의 행태 이해
생각나무
Thinking Mr.
3. 비판적 사고와 유연한 사고 습관
토톨러지(Tautology)
접근방법의 차이1 : 관점의 차이
접근방법의 차이2 : Macro & Micro
4. 컨셉의 설정
광고 컨셉의 특성
기획 컨셉의 기능
컨셉 만들기
제3장.
생각 역량
1. 기분 전환을 위한 명상
중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은 것을 구분하는 습관
무(無)
직관(Intuition)
2. 체계화된 사고 기법
트리즈(TRIZ)
SWOT 분석
PEST 분석
3. 아키텍처(Architecture) 하는 발상
데이터 아키텍처(Data Architecture)
행정설계(Administration Architecture)
제4장.
분석 역량
1. 분석의 이해
분석과 데이터
분석의 3요소
분석의 필요성
2. 분석과정의 이해
기획목적이 있는 경우의 분석과정
기획목적이 없는 경우의 분석과정
데이터의 클리닝 과정(유의사항)
데이터의 정리 과정(기획성)
분석 결과에 의미 부여하기
3. 빅데이터의 이해
빅데이터란?
빅데이터에의 접근방법
빅데이터의 활용
4. 고급분석과 시각적 분석
무슨 일이 발생할 것인가?
무엇이 발생 가능성이 높은가?
상황을 변화시키고자 우리가 대응을 취한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 것인가?
데이터 마이닝이란?
상관성 분석
제5장.
보고서 작성 역량
1. 기획 목적의 이해
설득 대상으로서의 독자를 중심으로
기획 목적으로서의 내용을 중심으로
2. 보고서의 작성 기술
보고서의 특징
보고서 작성 시 유의할 점
내용 요약의 기술
제목을 만드는 기술
3. 표와 도해의 이해
표 작업 시 고려해야할 사항
도해 작업 시 고려해야할 사항
도해작업의 예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2장. 공통 역량’에서 발췌
지피(知彼)
내가 한 기획이 기획 의도에 부합하도록 설득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기획물을 보는 독자 또한 그 의도를 인정해 주어야 한다. 다른 사람의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내가 한 기획이 기획의 목적과 내용, 기대효과 및 형식 등 모든 면에서 다른 사람의 관심을 끌만한 것이어야 한다.
본문에서는 지피(知彼)와 관련된 내용을 아래의 장에서 설명하고 있다.
제1장. 1.삼각형 조직의 구조 이해(pp.33.- 39.)
제5장. 1.기획목적의 이해(pp.183.- 196.)
지기(知己)
기획을 하다보면 이것이 정말 최선인지 그리고 나만의 참신한 생각인지 등에 대하여 의문을 가질 때가 있다. 다른 사람으로부터 내가 한 기획이 참신하고 효과적인 것이라 인정받기 위해서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기에 앞서 기획 자체가 그러해야 한다.
본문에서는 지기(知己)와 관련된 내용을 아래의 장에서 설명하고 있다.
제1장. 2.자기사고의 행태 이해(pp.40.- 47.)
제3장. 1.기분 전환을 위한 명상(pp.75.- 81.)
‘제3장. 생각 역량’에서 발췌
[중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은 것을 구분하는 습관]
우리나라 직장에서는 소위 ‘회식문화’도 중요한 업무 중 하나이다. 직장 회식 중 있었던 일화 한 편을 소개한다.
필자가 부서의 H팀장과 함께 J국장을 모시고 식당에서 저녁식사를 하던 어느날, J국장이 화장실을 가기 위해서 슬리퍼를 신고 있을 때였다. J국장이 슬리퍼를 짝짝이로 신고 있는 모습을 본 H팀장은 “국장님, 슬리퍼를 짝짝이로 신으셨습니다.”라고 말했다. 이 말을 들은 J국장은 “H팀장, 그건 하나도 중요하지 않아!”라고 말하고는 슬리퍼를 짝짝이로 신은 채 그대로 걸어 나갔다.
기획의 과정에서는 J국장과 같은 마인드가 필요하다. 중요한 것을 챙길 줄 아는 기획자가 쓴 기획 결과물은 주제와 내용이 굵직하게 전개된다. 반면, 중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은 것을 구분하지 않은 기획자가 쓴 기획 결과물은 내용이 복잡하여 독자가 핵심을 찾는 데 어려움을 느끼곤 한다.
‘제4장. 분석 역량’에서 발췌
설득력 있는 기획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에 유의해야 한다.
첫째, 내용과 구성이 기획 목적에 부합하여야 한다([제5장. 1.기획 목적의 이해] 참고).
둘째, 컨셉이 한 줄기를 이루어 기획 전반에 걸쳐 일관성 있게 반영되어 있어야 한다([제2장. 4.컨셉의 이해] 참고).
셋째, 정확하고 의미 있는 분석 자료가 함께 제시되어 있어야 한다([제4장. 1.빅데이터의 이해], [제4장. 4.고급분석과 시각적 분석] 참고).
그리고 이러한 분석 자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경영목적에 적합해야 한다. ‘적합성’이란 용어는 상당히 추상적인 것이지만, 이러한 추상적인 용어를 구체적인 용어로 풀이해 주는 것이 바로 분석이다. 따라서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된 자료가 포함되어 있는 기획은 기업의 경영목적 뿐만 아니라 기획 그 자체를 수치와 함께 명확하게 제시해줄 수 있다.
둘째, 투입되는 비용이 적절하고 효율적이어야 한다. ‘적절성과 효율성’이란 용어 또한 ‘적합성’과 마찬가지로 추상적인 것이지만, 기획에서 이 용어를 구체화시켜 주는 것 또한 분석이어야 한다. 비용의 투입 대비 산출 효과가 목표 달성도와 함께 수치로 명확하게 드러나도록 분석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