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전, 당신의 행동을 바꾼다

고전, 당신의 행동을 바꾼다

황종택 (지은이)
선호미디어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12,6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260원
13,8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3,88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전, 당신의 행동을 바꾼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전, 당신의 행동을 바꾼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95338788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7-08-28

책 소개

동양정신 5천 년의 결정체인 고전을 시대정신에 맞게 해석한 책이다. 어려운 동양고전을 다 읽지 않아도 그 전체 내용과 핵심 사상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이하고, 여러 고전에 나오는 주요 구절들을 제시해 그 책의 정수(精髓)를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목차

머리말 5

제1편 홀로 있을 때도 몸가짐을 삼가야
인빈지단(人貧智短 : 사람이 가난하면 지혜가 얕아진다) 18
개천지신(皆天之臣 : 어린이나 어른, 귀한 이나 천한 이 모두 같은 백성이다) 20
역자교지(易子敎之 : 자식은 서로 바꾸어 가르쳐야 한다) 22
원교근공(遠交近攻 : 먼 나라와 화친하고 가까운 나라를 공격한다) 24
수본치말(守本治末 : 근본을 지켜 말단을 다스린다) 26
소해제지(所害除之 : 백성에게 해를 끼치는 일은 없애야 한다) 28
난 인(難忍 : 참기란 참으로 어렵다) 30
신기독야(愼其獨也 : 홀로 있을 때에도 몸가짐을 삼가야 한다) 32
망우물(忘憂物 : 근심걱정을 잊게 하는 물건, 즉 술이다) 34
군재합구(群材合構 : 고대광실도 크고 작은 많은 목재가 모여야 세울 수 있듯
사람은 서로 도와야 살 수 있다) 36
검무후생(儉武厚生 : 무력을 삼가고 생명을 보호해야 한다) 38
천장지제궤자의혈(千丈之堤潰自蟻穴 : 천길 둑도 개미구멍으로 인해 무너진다) 40
해의유다죄익후(害義逾多罪益厚 : 정의를 해침이 심할수록 벌은 더욱 무거워진다) 42
소극침주(小隙沈舟 : 좁은 틈새가 배를 침몰시키듯 작은 일에도 성실히 임해야 한다) 44
초현탁정(招賢託政 : 현인을 초빙해 나랏일을 맡기라) 26
국궁진력(鞠躬盡力 : 조국을 사랑하는 마음에서 몸을 굽히고, 최선을 다한다) 48
군이부당(群而不黨 : 사회활동을 하지만 패거리를 짓지 않는다) 50
방기수진(放機守眞 : 음흉한 술책을 버리고 진심을 지녀야 한다) 52
안향영국유창름(安鄕寧國由倉廩 : 지방과 나라가 편안함은 먹고 사는 데서 비롯된다) 54
여기연달불약박로(與其練達不若朴魯 : 능수능란함보다 소박하고 진지해야 한다) 56
문과식비(文過飾非 : 잘못을 뉘우치지 않고 일부러 꾸미며 속이는 행위) 58
개관사정(蓋棺事定 : 관 뚜껑을 덮고서야 모든 일이 결정되듯 마지막까지 정성껏
살아야 한다) 60
아즉물범(我則勿犯 : (뇌물수수 등)나만은 잘못을 범하지 말아야 한다고 다짐한다) 62
부득기심즉거지(不得其心則去之 : 민심을 얻지 못하면 버림을 받게 된다) 64
내성외왕(內聖外王 : 개인적으론 성인, 대외적으로는 어진 지도자가 되어 천하를
태평하게 한다) 66
군말민본(君末民本 : 지도자는 지엽이고 백성이 근본이다) 68
도부재번(道不在煩 : 건강은 몸 마음을 번거롭지 않게 하는 데 있다) 70
심격천산(心隔千山 : (진실성 없는 대화는) 마음에 천 개의 산이 사이에 있는
것과 같다) 72
지신불가경(持身不可輕 : 몸가짐을 가볍게 하지 말라) 74
준도전생(遵道全生 : 법도를 지켜 생명을 온전히 해야 한다) 76
욕지미래선찰이연(欲知未來先察已然 : 미래를 알고 싶다면 먼저 지난 일을
되돌아보라) 78

군자지원기자(君子之遠其子 : 군자는 자녀를 사랑하되 너무 끼고 돌지 말고 멀리
해야 한다) 80
현법수덕(懸法垂德 : 법을 공포해 만민이 알게 하되 덕을 베풀어야 한다) 82
목본수원(木本水源 : 자식은 나무 밑둥과 물의 근원 같은 부모를 모셔야 한다) 84
순지분분(鶉之奔奔 : 메추라기도 짝은 안 바꾸는데 인간은 그렇지 않다) 86
염자대고(廉者大賈 : 청렴은 천하의 큰 장사다) 88
불여방신심(不如放身心 : 몸․마음을 그대로 자연의 조화에 맡긴다) 90

제2편 지나간 일은 현재를 알게 해 준다
둔필승총(鈍筆勝聰 : 둔한 기록이 총명한 머리보다 낫다) 94
업정어근(業精於勤 : 학업은 부지런히 분발하는 데서 정밀해진다) 96
골육우한어외인(骨肉尤狠於外人 : 골육 간 싸움이 타인 간 싸움보다 더욱
사납다) 98
매독환주(買櫝環珠 : 상자를 팔고 진주는 돌려받는다는 내용으로 본말이
바뀌었다) 100
오색영인목맹(五色令人目盲 : 다섯 가지 색깔은 사람의 눈을 멀게 한다) 102
노즉색쇠(老則色衰 : 몸은 질병이 머물고 끝내는 쇠해 없어진다) 104
유견학자현달(惟見學者顯達 : 오로지 배운 사람만이 훌륭해지는 것을 보았다) 106
지치근호용(知恥近乎勇 : 부끄러움을 안다는 것은 용기에 가깝다) 108
범인불가역상(凡人不可逆相 : 무릇 사람은 앞으로 닥쳐올 운세를 미리 내다볼
수 없다) 110
언지자행지역야(言之者 行之役也 : 말이란 실천하기 위한 것이다) 112
거사이자위자중거지(擧事以自爲者衆去之 : 자신을 위해 일하는 이는 대중이 그를
버린다) 114
동도합덕(同道合德 : 같은 뜻으로 덕을 합하라) 116
배후지언기족심신(背後之言 豈足深信 : 등 뒤에서 하는 말을 어찌 믿을 수
있겠는가) 118
애별리고(愛別離苦 :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져야 하는 아픔) 120
득즉고가실즉휴(得則高歌失則休 : 뜻대로 풀리면 노래하고 안 되면 쉬어간다) 122
근상서지교(謹庠序之敎 : 학교교육을 신중하게 실시해야 한다) 124
관 본(觀本 : 근본을 잘 살펴야 한다) 126
의작덕리(義爵德吏 : 정의롭게 벼슬을 해야 덕 있는 관리가 된다) 128
암간명정(暗間明情 : 몸을 숨긴 첩자가 정보를 밝히니 경계해야 한다) 130
고립무원(孤立無援 : 외롭게 홀로 남은 데다 안팎으로 돕는 이가 없다) 132
염강오쟁(厭强惡爭 : 강함을 싫어하고 싸움을 미워한다) 134
정명평형(正名平衡 : 명분이 바로 서면 정치가 균형 있게 화합한다) 136
망고향(望故鄕  : 고향을 그리워한다) 138
인이무신부지기가(人而無信不知其可 : 사람에게 신의가 없다면 미래 가능성이 없다) 140
왕자소이지금(往者所以知今 : 지나간 일은 현재를 알게 한다) 142
전용기야(戰勇氣也 : 전쟁은 용기로 싸우는 것이다) 144
광명개천(光明開天 : 인간의식을 밝혀주는 지혜의 빛) 146
불출가성교어국(不出家成敎於國 : 집 밖에 나가지 않고 가족에게서 배운 침만으로도
나라를 이룬다) 148
이택상주(麗澤相注 : 두 개의 연못이 맞닿아 서로 물을 대는 형국이라는 내용으로
유기적 협력 관계를 뜻한다) 150
물필유합(物必有合 : 만물은 반드시 서로 짝을 지어야 한다) 152
인순고식(因循姑息 : 변화에 부응하지 못하고 과거 하던 대로 답습한다) 154
양성연명(養性延命 : 마음과 성품을 닦아 건강하게 오래 산다) 156
막급어양민(莫急於養民 : 백성을 부양하는 것보다 더 급한 일이 없다) 158
지반각정(知反覺正 : 반대편을 알고 진리를 깨닫는다) 160
사시무사행(四時無私行 : 사계절은 사사로움 없이 쉬지 않고 운행한다) 162

제3편 사슴을 쫓는 자 산을 보지 못한다
국역유염(國亦有染  : 나라를 다스리는 일 또한 실을 물들이는 바와 같다) 166
견위수명(見危授命  : 나라의 위태로움을 보거든 목숨을 바치라) 168
지의고이신의하(志宜高而身宜下 : 뜻은 높되 마음은 낮추라) 170
유추색만공산(留秋色滿空山 : 온 산에 가을빛만 짙게 남았다) 172
불이사진인(不以辭盡人 : 말만 듣고 사람을 판단하지 않는다) 174
불경이부(不更二夫 : 열녀는 두 남편을 맞지 않는다) 176
공의진보(公義眞寶 : 공공의 정의가 참된 보배다) 178
탕평인사(蕩平人事 : 치우치거나 패거리를 짓지 않으면 통치의 길은 널찍하고
편하다) 180
당위최선[當爲最善 : 최선을 다한다) 182
과유불급(過猶不及 : 지나침은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다) 184
도광양회(韜光養晦 : 빛을 감추고 어둠 속에서 조용히 힘을 키운다) 186
끽긴시요지방하(喫緊時要知放下 : 긴장될 때는 풀어버릴 줄도 알아야 한다) 188
후목불가조야(朽木不可彫也 : 썩은 나무로는 조각을 할 수 없다) 190
양형설법(量衡設法 : (시대에 맞는) 균형을 헤아려 법을 만들어야 한다) 192
감화만민(感和萬民 : 온 국민이 모두 화목하다) 194
신행희언(慎行希言 : 행동은 신중히 하고 말은 적게 한다) 196
사불여학(思不如學 : 생각은 배우는 것만 같지 못하다) 198
명륜면한(明倫免寒 : 정치는 경로효친 등 인륜을 밝히고 가난을 면하게 하는 데 있다) 200
견선여갈(見善如渴 : 선한 일을 보면 목마른 것 같이 하라) 202
아휴인시화(我虧人是禍 : 내가 남을 해롭게 하는 것이 화가 된다) 204
부재편호(富在編戶 : 부는 백성의 집에 있어야 한다) 206
당랑재후(螳螂在後 : 사마귀 뒤에 또 다른 포식자가 있기에 눈앞의 이익만 좆지
말라) 208
왕도·패도(王道 覇道 : 인의로 다스리는 왕도정치와 무력으로 통제하는 패도정치) 210
정자정야(政者正也 : 정치는 공정해야 한다) 212
낙행선의(樂行善意 : 선한 뜻 행하기를 즐겨하라) 214
검약무화(儉約無華 : 검소하고 절약해 사치함이 없다) 216
축녹자불견산(逐鹿者不見山 : 사슴을 쫓는 자 산을 보지 못한다) 218
만세승조천(晩歲勝早天 : 나이 들고 늙어감은 요절보다 낫다) 220
물망초심(勿忘初心 : 시작할 때의 마음가짐을 끝내 잃지 말라) 222
객기미융종위잉기(客氣未融 終爲剩技 : 객기를 융화시키지 못하면 끝내 부질없는
재주만 부릴 뿐) 224
인자재발신(仁者財發身 : 어진 이는 재물로써 몸을 일으킨다) 226
적막현심원(寂寞見心源 : 힘들고 외로울 때 마음의 근원, 곧 자신을 알 수 있다) 228
승이승자(勝易勝者 : 이기기 쉬운 상태에서 승리를 거둔다) 230
해로동혈(偕老同穴 : 평생 생사를 같이 하는 부부) 232
여유사덕(女有四德 : 여성이 지닌 네 가지의 아름다운 덕) 234
여민해락(與民偕樂 : 백성과 함께 하는 즐거움이 진정한 즐거움) 236
혜이불비(惠而不費 : 백성에게 은혜롭고 낭비하지 않는 정책) 238
염 선(念善 : 한결같이 선한 일을 생각하라) 240
필잡이해(必雜利害 : 이롭고 해로움을 동시에 생각하는 게 지혜로운 행동) 242
사해형제(四海兄第 : 온 세상 사람들 모두가 형제다) 244
십년성저사(十年成底事 : 객지 생활 10여년 간 이룬 게 없다) 246

제4편 하늘의 도는 오만한 자를 일그러지게 한다
정론직필(正論直筆 : 정당하고 이치에 합당한 의견을 무엇에도 영향받지 않고
사실을 그대로 적는다) 250
십오야망월(十五夜望月 : 보름날 밤 달을 본다) 252
조운모락화(朝雲暮落花 : 교활하면 아침에 피는 구름이나 저녁에 지는 꽃처럼
종말이 허무하다) 254
개양민지관(皆養民之官 : 천하의 관리들은 모두 백성을 부양하는 관리) 256
막현호은(莫見乎隱 : 숨어서 저지르는 악행보다 더 잘 드러나는 게 없다) 258
악기음선기양(惡忌陰 善忌陽 : 악은 음지를 꺼리고 선은 양지를 꺼린다) 260
우보칠백리내지(又步七百里乃至: 걷고 또 걸어서 7백리에 이르렀다) 262
사의광시(思義廣施 : 패거리를 짓지 말고 은혜와 정의를 넓게 베풀라) 264
복불가재구(福不可再求 : 복은 다시 구할 수 없으니 좋은 기회를 살리라) 266
천도휴영(天道虧盈 : 하늘의 도는 오만한 자를 일그러지게 한다) 268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 : 농사는 하늘 아래 가장 근본적인 일) 270
감세경형완노산(減稅輕刑緩勞酸 : 백성의 세금을 줄여주고 형벌을 감하며
노고를 풀어 주어야 한다) 272
세이즉사이(世異則事異 : 세상이 변하면 만사가 달라져야 한다) 274
요덕불관병(耀德不觀兵 : 덕을 발휘할 뿐 무기를 자랑하지 않는다) 276
불여구정(不如求錠 : 어찌하여 빛을 찾지 않는고) 278
무항산무항심(無恒産無恒心 : 재산이 없으면 바른 마음을 갖기 어렵다) 280
유덕차유인(有德此有人 : 덕이 있으면 사람이 모이게 된다) 282
영과이후진(盈科而後進 : 물은 흙구덩이를 다 채우고 앞으로 나아간다) 284
일반경치종신지감(一飯竟致終身之感 : 한 사발의 밥일지언정 평생토록 고맙게
여겨진다) 286
박덕허심(朴德虛心 : 소박한 덕을 지니고 마음을 비운다) 288
벌폭주사보국민(伐暴誅邪保國民 : 폭도를 토벌하고 사악한 자를 처단함은
백성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290
주사수장정(做事守章程 : 일을 함에 규정만을 고집한다) 292
선론기이의(先論其理義 : 일을 하기 전에 이치와 의에 합당한지 살핀다) 294
이국요도 공평정직(理國要道公平正直 : 나라 다스리는 데 가장 중요한 원칙은
공평과 정직) 296
식불가불무(食不可不務 : 먹을거리 생산에 힘쓰지 않을 수 없다) 298
일영연편성시조(一營戀便成市朝 : 자연에 인위적인 시설을 설치하면 시장판이
되고 만다) 300
천인일(天人一 : 하늘과 사람은 하나라고 할 정도로 인간의 생명은 고귀하다) 302
욕위대자당위인역(欲爲大者當爲人役 : 크고자 하거든 남을 섬기라) 304
지락막여독서(至樂莫如讀書 : 최고의 즐거움은 독서에 있다) 306
사기호소홀(事起乎所忽 : 큰 사건은 소홀히 하는 데서 일어난다) 308
유불위이후가이유위(有不爲而後可以有爲 : 하지 않는 일이 있어야 정작 하는
일에서 큰 성공을 거둘 수 있다) 310
의관지도(衣冠之盜 : 비리를 저지르는 벼슬아치) 312
물살물행장(勿殺勿行杖 : 사람을 때리거나 죽이지 말라) 314
위정불난(爲政不難 : 정치를 하는 게 어렵지 않다) 316
임현물이(任賢勿貳 : 인재에게 일을 맡겼으면 두 마음을 갖지 말고 밀어주라) 318
봉법국강(奉法國强 : 법을 받들면 나라가 강해진다) 320
석간함장(席間函丈 : 스승과 한 키 정도 떨어져 앉아야 한다) 322
명공사지분(明公私之分 : 지도자는 공과 사의 구분을 분명히 해야 한다) 324
환갑집병(擐甲執兵 : 갑옷을 입고 무기를 들어 전투에 나선다) 326
민무이국(民無異國 : 개방된 사회에선 나라 구분이 없다) 328
민고민지(民膏民脂 : 관리들이 누리는 봉록은 백성들의 피와 땀) 330
소자강관(小子狂簡 : 젊은이들의 포부는 원대하지만 실천하는 데 소홀하고
거칠다) 332

저자소개

황종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전북 임실에서 출생, 향교에서 한학을 공부했다. 전북대학교 국문학과와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을 졸업했다. ● 육군 중위(ROTC 17기)로 전역한 뒤 알리안츠생명(옛 제일생명) 본사 교육부, 중·고등학교 국어교사를 거쳐 언론계에 입문해 세계일보 편집부국장, 논설주간 등을 역임했으며,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전문위원으로 활동했다. ● 현재 삼정디어그룹 ‘일간투데이’ 주필, 녹명문화연구원 대표로 있다. ● 이메일: resembletree@naver.com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