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97505850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1-08-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5
제1편 인품이 훌륭한 사람의 향기는 만리까지 간다
잠비신(潛悲辛) : 남몰래 슬픈 눈물을 삼킨다 18
제선봉행(諸善奉行) : 모든 착한 일을 받들어 행하라 20
수덕지본(樹德之本) : 기쁘게 배픎은 덕을 심는 근본 22
오조사정(烏鳥私情) : 까마귀가 길러 준 은혜를 갚는다 24
인향만리(人香萬里) : 인품이 훌륭한 사람의 향기는 만 리까지 간다 26
자솔이정(子帥以正) : 그대부터 올곧게 본을 보이라 28
견소왈명(見小曰明) : 작은 것의 의미를 볼 줄 알면 밝아진다 30
사증자다구(士憎玆多口) : 올곧게 사는 이가 더 많은 비난을 받는다 32
천공인기대지(天工人其代之) : 직업은 하늘의 일을 사람이 대신 하는 것이다 34
심근방간(審近防姦) : 가까운 이들을 살펴서 간사한 짓을 못하게 한다 36
정도무우(正道無憂) : 바른길로 가면 근심이 없다’는 뜻 38
풍화일장로(風花日將老) : 꽃잎은 하염없이 바람에 지고. 40
시오설 상재부(視吾舌 尙在否) : 내 혀를 보시오. 아직 있소? 42
상경여빈(相敬如賓) : 부부라도 손님 모시듯 서로 예의를 갖춰 공경해야한다 44
공 복(公僕) : 국가나 사회의 심부름꾼 46
동주공(同舟共濟) : 같은 배를 타고 함께 강을 건너는 상생정신 48
무총우화보(無總于貨寶) : 재물 모으기에 급급하지 말라 50
상하구부(上下俱富) : 위아래 구분 없이 백성을 고루 잘 살게 한다 52
인지성수(人之性壽) : 사람의 생명은 본래 아주 길다 54
유방백세(流芳百世) : 의로운 삶을 산 이들의 꽃다운 이름은 후세에 길이
전해진다………… 56
일인양지십인발지(一人養之 十人拔之) : 나무를 한 사람이 기르고 열 사람이
뽑는다…………………………………………………………………………………… 58
천복지지(天福地祉) : 정치는 (하늘과 땅의 복을 모아) 불쌍한 백성을 보살펴
주는 데 있다 ……………………………… …………………………………………60
민유방본(民惟邦本) : 백성이 오직 나라의 근본 62
거심택 인필췌(車甚澤 人必悴) : 수레가 화려하니 사람들이 힘들었을 것이다 64
사 형(四刑) : 잘못한 공직자를 징계하는 네 가지 벌 66
필자품어가장(必咨稟於家長) : 반드시 집안 어른께 여쭤 보아야 한다 68
과이능개(過而能改) : 허물을 인정하고 고친다………………………………………70
불의독임(不宜獨任) : 혼자만 차지해선 안 된다 72
막경소악(莫輕小惡) : 작은 악이라도 가볍게 여기지 말아야 한다 74
불상위(不相違) : 백성의 뜻에 반하지 않아야 한다 76
원기재명(怨豈在明) : 원한을 품는 곳에 어찌 밝은 곳이 있겠는가 78
간담상조(肝膽相照) : 간과 쓸개를 서로 보여줄 정도로 가까운 사이를 말함………80
사인소소(使人昭昭) : 지혜로운 이는 사람들을 밝게 해 준다 …82
승하요야(繩下撓也) : 먹줄은 나무가 휘었다고 구부려 사용하지 않는다 84
오곡번식(五穀蕃植) : 오곡이 풍성하게 자라난다 86
인지면부지심(知人知面不知心) : 사람을 아는 데 얼굴은 알아도 마음은 알 수
없다 ……………………………………………………………………………………88
모설무공(謀渫無功) : 계획하는 일이 새어나가면 공적을 이룰 수 없다 90
군령유소불수(君令有所不受) : 임금의 명령도 따르지 않을 수 있다 92
선리강 후리약(先理强 後理弱) : 법은 먼저 강한 자부터 다스려야 한다 94
제2편 때를 알고 대세를 식별할 수 있는 지헤를 가져야 발전해
생명외경(生命畏敬) : 뭇 생명의 존귀함을 소중히 여기는 정신 98
작사모시(作事謀始) : 준비를 철저히 하고 일을 시작한다 100
반청지위총(反聽之謂聰) : 마음에 들지 않는 말을 듣는 게 귀 밝은 것 102
민이후 유부부(人民而後 有夫婦) : 사람이 있은 후에 부부가 있다 104
거총사위(居寵思危) : 높은 지위에 있을 때 위태로움을 생각하라 106
안민익국(安民益國) : 백성이 편안해야 나라에 이롭다 108
습정투한(習靜偸閒) : 고요함을 익히고 한가로움을 찾는다 110
참 회(懺悔) : 잘못에 대해 깨닫고 깊이 뉘우친다 112
무자기야(無自欺也) : 신뢰는 자기 스스로를 속이지 않는 데서 시작된다 114
물이귀기이천인(勿以貴己而賤人) : 나를 귀하게 여김으로써 남을 천하게
여기지 말라 ……………………………………………………………………………116
부민위본(富民爲本) : 백성을 부유하게 함을 근본으로 삼아야 한다 118
지시식세(知時識勢) : 때를 알고 대세를 식별하는 지혜로써 변화를 이끌어야
발전한다 ………………………………………………………………………………120
국장망 필다제(國將亡 必多制) : 나라가 망하려고 하면 법과 제도가 많아진다 122
등화가친(燈火可親) : 등불을 가까이 할 수 있다 124
척탕천고수(滌蕩千古愁) : 만고의 근심을 씻는다 126
기기취처 필송지자(豈其取妻 必宋之子) : 어찌 아내 얻기를 송나라 지씨만을
고집하겠느냐 …………………………………………………………………………128
소자광간(小子狂簡) : 젊은이들의 포부는 원대하지만 실천하는데 소홀하고
거칠다 …………………………………………………………………………………130
처사불가유심(處事不可有心) : 일처리에 사사로운 마음을 지녀선 안 된다 132
사해동포(四海同胞) : 세계인은 한 가족 134
귀이천위본(貴以賤爲本) : 부귀를 누리는 이들은 어렵게 사는 사람들을 근본으로
삼아야 한다 …………………………………………………………………………136
삼복백규(三復白圭) : 말을 함부로 하지 말고 신중하게 하라 138
종악여붕(從惡如崩) : 악한 것을 따르기는 산이 무너지듯 순식간이다 140
양민지관(養民之官) : 관리는 백성을 부양하는 데 힘써야 한다 142
인사필여천지상참(人事必與天地相參) : 인간사는 반드시 천지 운행법칙과
합치된 후에 성공한다 …………………………………………………………………………144
독서학고(讀書學古) : 책을 읽고 옛 지혜를 배운다 146
초윤장산(礎潤張傘) : 주춧돌이 젖어 있으면 우산 펼칠 것을 생각하라 148
범사유인정(凡事留人情) : 모든 일에 인정을 남겨 두라 150
불가이구업취쾌(不可以口業取快) : 말로 한때의 쾌감을 얻으려 해서는 안 된다 152
불의부귀여부운(不義富貴 如浮雲) : 옳지 않은 방법으로 얻은 부귀는 뜬구름과
같다 …………………………………………………………………………………154
관시찰대순추이(觀時察代順推移) : 시대를 살펴 변화에 따라야 한다 156
양민위선(養民爲先) : 늘 백성을 돕는 생각을 해야 한다 158
감세경형완로산(減稅輕刑緩勞酸) : 세금을 줄여주고 형벌을 감해 백성의 노고를
풀어줘야 한다 160
유차무별(有差無別) : 사람 간 차이는 있으나 차별은 하지 말아야 한다 162
불제 취궐재(弗濟 臭闕載) : 제때 건너지 않으면 배에 실린 물건은 썩고 만다
……………………………………………………………………………………………164
익자삼우(益者三友) : 유익함이 되는 세 친구 166
인생도처지하사(人生到處知何似) : 정처 없이 떠도는 인생은 무엇과 같을까 168
양곡최우선(養穀最于先) : 사를 최우선으로 삼아야 한다 170
새하곡(塞下曲) : 변경의 노래 172
거지무권(居之無倦) : 자리에 있거든 게을리 하지 말라 174
제3편 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에서부터 출발해야
원친불여근린(遠親不如近隣) : 먼 친척보다 이웃이 더 좋다………………………178
시민여상(視民如傷) : 백성 보살피기를 아픈 사람 돌보듯 하라……………………180
부재기위 불모기정(不在其位 不謀其政) : 그 위치에 있지 않으면 그 일을 꾀하지
말라………………………………………………………………………………………182
사인여천(事人如天) : 사람을 하늘처럼 섬기라 ………………………………………184
거해묘자(去害苗者) : 잡초를 뽑아야 한다는 내용으로, 국정에 해를 끼치는 이들을
축출해야 한다……………………………………………………………………………186
항수정견(恒守正見) : 언제나 바른 견해를 지니라……………………………………188
일두시백편(一斗詩百篇) : 술 한 말에 시 백 편을 짓는다……………………………190
태산불양토양(泰山不辭土壤) : 태산은 작은 흙덩어리라도 포용하기에 큰 산이
돼 있다…………………………………………………………………………………192
덕본재말(德本財末) : 덕을 쌓으면 재물은 있게 마련이다 …………………………194
의지여비(義之與比) : 오로지 정의와 함께 살아갈 뿐이다…………………………196
신권왜곡색민정(臣權歪曲塞民情) : 신하가 권세를 부리면 백성의 사정을 알 수
없다 ……………………………………………………………………………………198
인능홍도(人能弘道) : 사람은 능히 도를 넓힐 수 있다 ………………………………200
지 현(知賢) : 나라를 다스리는 어려움은 현명한 사람을 알아보는 데 있다 ………202
파부침주(破釜沈舟) : 솥을 깨뜨리고 배를 ……………………………………………204
간난현기(艱難顯氣) : 고난을 극복한 사람은 더 큰 기개를 보인다………………206
상실기도(上失其道) : 지도층이 올곧지 않아 범죄 발생 등 세상이 흉흉하다 208
위학일익 위도일손(爲學日益 爲道日損) : 배움은 채우는 것이고, 도는 비우는
것이다 210
이청득심(以聽得心) : 경청하면 상대의 마음을 얻을 수 있다………… …………212
수처작주(隨處作主) : 있는 곳에 따라서 주인이 되라 ……………………………214
정본청원(正本淸源) : 근본을 바로 하고 근원을 맑게 한다 ………………………216
가 서(家書) : 고향에서 온 편지 ………………………………………………………218
타아즉타천(打兒卽打天) : 아이를 때리는 것은 곧 하늘을 때리는 것……………120
등고자비(登高自卑) : 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222
붕종이사(朋從爾思) : 자주 왕래하면 벗이 네 뜻을 좇으리라 224
음원치위종(淫怨痴爲種) : 색욕은 모든 존재를 망가뜨린다 226
화생어구(禍生於口) : 모든 재앙은 입에서 나온다 228
대덕필득기위(大德必得其位) : 큰 덕을 베풀면 반드시 지위를 얻는 등
성공한다……………………………………………………………………………… 230
처사불가유심(處事不可有心) : 일처리에 사사로운 마음을 지녀선 안 된다 232
청정적빈(淸淨赤貧) : 깨끗하고 가난한 삶을 살라 234
제석비(除夕悲) : 섣달그믐의 슬픔 236
노겸근칙(勞謙謹勅) : 중용에 가까워지려면 부지런하고 겸손하며 삼가고
경계해야 한다 …………………………………………………………………………238
부앙무괴(俯仰無愧) : 하늘을 우러러보나 땅을 굽어보나 부끄러움이 없다 240
징분여구화(懲忿如救火) : 분함을 억누름은 불을 끄듯 하라 242
각의교혁(刻意矯革) : 굳은 의지로써 고치려고 노력한다 244
불출가이성교어국(不出家而成敎於國) : 가정에서의 가르침만으로도 나라를
이룬다 …………………………………………………………………………………246
송백후조(松柏後凋) : 소나무와 잣나무는 나중에 시든다 248
제4편 현자를 존경하고 대중을 품을 수 있어야
공의행즉치(公義行則治) : 공의가 행해지면 나라는 강대해진다 252
필선부민(必先富民) : 반드시 먼저 백성을 잘살게 해야 한다 254
이령지혼(利令智昏) : 이익에 눈이 멀면 지혜를 어둡게 한다 256
자수대죄(自受大罪) : 악행이 무르익으면 죄과를 받아 재앙을 당하게 된다 258
하필왈리(何必曰利) : 하필 이익만을 따지느냐 260
인무원려 난성대업(人無遠慮 難成大業) : 멀리 보고 깊은 사려가 없으면 큰일을
이루지 못한다 262
무법의무유(無法儀無有) : 법도가 없으면 그 일을 이룰 수 있는 사람도 존재하지
않는다 …………………………………………………………………………………264
연무마모(鍊武磨矛) : 잘 훈련된 장병이 무기를 준비한다 266
부물지부제(夫物之不齊) : 천지에 같은 것이 없다 268
산거흉차청쇄(山居胸次淸洒) : 숲속에 살면 가슴 속이 맑고 시원해진다 270
귀호염리(貴乎廉吏) : 청렴한 공직자를 소중히 여긴다 272
화고종신(化故從新) : 옛것을 새롭게 만들어 나가야 한다 274
남원북철(南轅北轍) : 수레의 끌채는 남을 향하고 바퀴는 북으로 간다 276
능근취비(能近取譬) : 자신과 가까운 데서 터득해 이웃까지 인도한다 278
인우살적(引友殺敵) : 우군을 끌어들여 적을 친다는 내용으로 자기 칼에 피를 안
묻힌다 ………………………………………………………………………………280
수류불부(水流不腐) : 흐르는 물은 썩지 않는다 282
부귀불능음(富貴不能淫) : 부자가 되고 귀한 자리에 올라도 도덕성이 …………284
온공자허(溫恭自虛) : 제자는 스승의 가르침을 온순 공손하며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 ……………………………………………………………………………………286
감명즉진구부지(鑑明則塵垢不止) : 거울이 맑으면 먼지가 끼지 않는다 288
영부월정간(迎斧鉞正諫) : 도끼로 맞더라도 직언을 하라 290
문가멸의(聞可滅意) : 듣고 나면 마음이 고요해지는 유익한 말 한 마디 292
이치대란(以治待亂) : 정비 잘 된 군대로 혼란한 군대를 기다린다 294
혈구지도(絜矩之道) : 내 처지를 생각해서 남의 입장을 헤아린다 296
만사종관(萬事從寬) : 모든 일에 너그러움이 따라야 한다 298
용빙하(用馮河) : 맨발로 걸어서 강을 건넌다 300
문행충신(文行忠信) : 공자가 가르친 네 가지(학문, 실천, 충심, 신의) 302
숭귀배천(崇鬼拜天) : 신과 하늘을 숭배해야 한다 304
공고지절(公庫之節) : 공적인 물건과 돈을 절약한다 306
호모부가(毫毛斧柯) : 나무를 어릴 때 베지 않으면 도끼를 사용해야 한다 308
존현용중(尊賢容衆) : 현자를 존경하기도 하지만 대중도 넓게 포용한다 310
발분망식(發憤忘食) : 학문 등 일을 이루려고 끼니조차 잊고 노력한다 312
사이후이(死而後已) : 죽은 뒤에야 그만둔다 314
비례불리(非禮弗履) : 예의가 아니면 행하지 말라 316
감우시강(甘雨時降) : 단비가 때에 맞게 내린다 318
거안사위(居安思危) : 평안할 때에 위태로움을 생각하고 대비한다 320
당위최선(當爲最善) : 최선을 다한다 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