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종과 메이지

고종과 메이지

(다큐멘터리 19세기 韓日의 정치)

안상윤 (지은이)
휴먼필드
13,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2개 9,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종과 메이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종과 메이지 (다큐멘터리 19세기 韓日의 정치)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95511082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9-09-25

책 소개

역사의 변곡점에서 고종과 메이지는 어떤 차이를 보였을까? SBS 홍콩 특파원, 베이징 특파원, 논설위원을 역임한 저자는 120년 전 조선과 일본의 정치를 비교하면서 지난 역사를 반면교사 삼아 근래 심각한 국면으로 치닫고 있는 한일 역사논쟁과 경제전쟁의 해법을 찾는다.

목차

서문

프롤로그
고종과 메이지
메이지의 탄생
고종 탄생
흥선대원군의 섭정
대원군의 쇄국
나가사키
흑선
요시다 쇼인
‘빈사의 사자’ 청 제국
메이지 시대의 개막
성리학의 조선과 양명학의 일본
메이지의 정치
이와쿠라 사절단
소에지마 다네오미
조선의 개항
젊은 그들
조선의 난맥상
임오군란
갑신정변
데카브리스트의 난과 이르쿠츠크
동학농민봉기
을미사변
아관파천
대한제국
대한제국의 해체
을사늑약
한일합병
에필로그

발문/
국난을 극복하는 희망의 빛_ 김광웅

부록/
― 사진/그림 목록
― 주요사건/인물 연표
― 참고문헌

저자소개

안상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4년 경남 밀양 출신이다. 중국어와 행정학을 전공했다. KBS와 SBS에서 32년 일했다. 다큐 PD, 홍콩·베이징 특파원, 〈뉴스추적〉 앵커, 스포츠국장, 논설위원 등을 역임했다. 중국학 교수를 거쳐 월간지 편집 고문으로 일하며 글 쓰는 일을 하고 있다. 스무 살 무렵부터 서울에서 살았다. 40여 년 세월이다. 걷고 먹고 마시고 듣는 걸 즐긴다. 2008년 스페인 국왕 문화훈장을 받았다. 저서 : 《고종과 메이지》, 《충청도는 왜 웃긴가?》 외
펼치기

책속에서



19세기는 전 세계에 걸쳐 변화의 바람이 거세게 불었던 시기였다. 이 시기는 두 단어로 규정된다. ‘산업화’와 ‘제국주의’가 그것이다. (중략) 청에 종속돼 있던 조선은 여전히 청에 대한 사대주의로 일관하며 나라 바깥의 사정에 무지한 채 국가 존망의 기로가 닥쳐오는 데도 내분만 일삼고 있었다. 일본은 19세기 중엽 미국에 개항 당한 후 짧게 혼란기를 거치며 빠른 속도로 산업화에 편승했다.
일본의 개항 이후 비슷한 상태에 있던 조선과 일본 양국은 불과 20년 만에 현격한 국력 차이를 보이게 된다. 그 20년 동안 조선과 일본 두 나라에는 어떤 정치가 있었을까? 그 차이는 고종과 메이지 천황의 리더십 그리고 한일 양국의 국민성 차이에서 비롯됐을 것이 자명하다.
19세기가 끝나갈 무렵인 1894년 3월 동서양 각국의 정보 수집과 막후협상이 비밀리에 이루어지던 국제도시 상하이에서 우리 역사의 한 시기를 일단락 짓는 일대 사건이 발생한다. 상하이의 미국 조계에 있던 한 여관에서 총성이 울려 퍼진 것이다.
1894년 3월 28일, 갑신정변의 주역 김옥균이 상하이 동화양행 여관에서 자객 홍종우가 쏜 세 발의 총을 맞고 절명한 사건이다. 그 총성은 개혁을 이루려 했던 한 풍운아의 종말뿐 아니라 조선의 붕괴를 알리는 신호탄이 된다.


19세기 한국과 일본의 정치 차이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일본 정치인들이 국익國益을 도모한 반면, 조선 위정자들은 사익私益을 추구했다는 점이다. 국익 도모는 노선이 다르더라도 서로 손을 잡을 여지를 남기지만, 사익 추구는 개인적 이해관계가 작용해 서로를 적대시하게 만든다.
이 차이가 한쪽은 부국강병에 이르게 하고, 다른 쪽은 멸망으로 내몰았다.
19세기 말 조선이 경험한 시간은 안개 속에서 바늘을 찾는 격이었다. 바깥 세계의 사정에 대한 정보도, 이해도 모두 부족했다. 아무도 국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지 못했다. 우물 안 개구리 신세였던 그때의 정치인들은 국가의 운명은 외면한 채 오직 권력 쟁탈에만 집중했다. 엉망인 내부를 개혁하지 않은 채 외세를 마구 끌어들여 멸망을 자초했다.
(중략)
정저지와(井底之蛙), 사면초가(四面楚歌), 속수무책(束手無策), 고립무원(孤立無援), 설상가상(雪上加霜)… 19세기 말 조선의 상황을 대변하던 표현들이어서 백 년 전과 지금이 놀랍도록 닮은 상황이라는 사실에 전율한다.
그때와 달리 지금은 바깥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나 이해가 차고 넘치지만, 여전히 한국호의 조타를 맡아 격랑을 피하고 헤쳐나가야 할 정치가 그때와 별반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게 문제이다. 한국 정치는 여전히 급변하는 외부 흐름을 무시한 채 안의 논리에만 집착하려 든다. 막을 수 있는 위기를 경시하다 막상 눈앞에 닥치면 감당을 못해 대국에 중재를 부탁하고 국제사회에 호소하는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정치의 힘으로 위기를 예방하고, 국난을 맞더라도 내부를 단결시키는 정치력을 발휘해 대처하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법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잘못을 시인하고 사과하는 자세가 선행돼야 한다.
(중략)
지금 국민은 19세기 말 조선 백성들과 다르다. 그때는 신민臣民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시민市民의 위치에 있다. 보편적 가치를 존중하며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할 줄 안다. 정치는 국민을 다루거나 그 위에 군림하려 들지 말고 솔직하게 다가가야 한다. 19세기 말 조선은 국왕을 위시한 권력층이 사리사욕을 채우느라 국가와 국민을 뒷전에 두면서 망국을 초래했다. 미사여구가 아니라 믿음이 가는 정책으로 국민의 마음을 얻는 것이 최선의 정치라는 게 조선이 우리에게 남긴 교훈이다. 국민이 지지하는 정부는 외세도 함부로 하지 못하는 법인 까닭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