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 ISBN : 9791170870807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23-12-1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장 서론
2장 금전적 경쟁
3장 과시적 여가
4장 과시적 소비
5장 생활의 금전적 표준
6장 취향의 금전적 규범
7장 금전 문화를 표현하는 복장
8장 산업적 활동의 면제와 보수주의
9장 고대적 특성의 보존
10장 근대에 살아남은 용맹의 유산
11장 행운을 믿는 마음
12장 종교 의례의 준수
13장 시샘을 유발하지 않는 관심의 부활
14장 고등교육과 금전 문화의 표현
옮긴이 해제
옮긴이의 글
도움받은 문헌
소스타인 베블런 연보
찾아보기
책속에서
발전 단계가 낮은 사회의 관습과 문화적 특색이 보여주는 증거에 따르면, 유한계급 제도는 원시적인 미개 단계에서 야만 단계로 점차 이행하는 과정에서, 좀 더 정확히는 평화로운 생활 습관에서 항상 호전적인 생활 습관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출현했다. 유한계급 제도가 일관된 형태로 출현하려면 두 가지 조건이 필수적이다. (1) 공동체에 약탈적 생활 습관(전쟁이나 큰 사냥감의 사냥 또는 양자 모두)이 존재해야 한다. 말하자면 최초의 유한계급을 구성하는 남성은 폭력과 계략을 통해 위해를 가하는 행위에 익숙해져야 한다. (2) 생필품을 충분히 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공동체 구성원의 상당수가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노동에서 면제되어야 한다. 유한계급 제도는 가치 있는 활동과 가치 없는 활동을 구별하던 앞선 단계의 차별에 따른 결과물이다. 이러한 오래된 구별에 의하면 공훈(功勳, exploit)으로 분류될 수 있는 일은 가치 있는 활동이 되고, 공훈의 요소가 전혀 없는 일상적이고 필수적인 일은 가치 없는 활동이 된다.
- 〈1장 서론〉
축적의 목적은 재력의 측면에서 공동체의 다른 구성원에 비해 높은 지위를 차지하는 데 있다. 금전적 비교에서 뒤처지면, 정상적이고 평균적인 개인도 자신의 불운을 탓하며 만성적인 불만 속에서 살아갈 것이다. 만약 이 사람의 재산이 그가 살아가는 사회나 그가 속한 계급의 정상적인 표준에 도달하면, 그때부터는 자신과 평균적 표준의 재산 격차를 계속해서 벌리려는 끊임없는 긴장에 시달린다. 이렇게 서열을 매기고 시샘을 유발하는 비교는 이를 행하는 개인에게도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그는 금전적 명성을 얻으려는 투쟁에서 자신이 경쟁자들보다 계속해서 우위에 있다고 흔쾌하게 평가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 〈2장 금전적 경쟁〉
예법에 관한 지식과 습관은 오랫동안 시간을 들여야만 얻을 수 있다. 세련된 취향과 예절, 생활 습관은 상층계급의 일원임을 입증하는 유용한 증거다. 왜냐하면 훌륭한 예의범절을 익히려면 시간과 몰입과 돈이 필요하고, 따라서 시간과 에너지를 일에 빼앗기는 사람은 이를 누릴 수 없기 때문이다. 훌륭한 예법에 관한 지식은 행실이 좋은 사람의 사적인 생활 중 관중에게 노출되지 않는 시간도 금전적 이득이 없는 교양을 획득하려고 가치 있게 지출되었음을 한눈에 보여주는 증거다. 결국 예절의 가치는 여가 생활을 보여주는 증거라는 데 있다. 뒤집어 말하자면 여가는 금전적 명성을 얻는 관습적인 수단이므로, 금전적 품위를 조금이라도 갈망하는 사람이라면 예의범절에도 어느 정도는 정통해야 한다.
- 〈3장 과시적 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