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서양문화읽기
· ISBN : 9791195677146
· 쪽수 : 536쪽
· 출판일 : 2016-10-21
책 소개
목차
저자의 말
Chapter 1 로마네스크 : 헬레니즘을 기둥으로 로마라는 지붕을 얹다
잠들어 있는 아이 ∷혼돈의 시대
청색의 눈 ∷야만인들의 문명화
정체된 시대 ∷로마네스크, 그 이름의 의미
석공의 오래된 책 ∷그리스-로마 건축에 대해
시간을 이겨낸 역사 ∷또 다른 영향들, 비잔틴 양식
비잔틴과 게르만 ∷로마네스크의 완성
제국의 최후 ∷왕국의 분열
종소리의 의미 ∷이 시대의 미술
Chapter 2 고딕 : 빛과 탑으로 성스러움을 높이다
성스러운 전쟁 ∷동방으로의 원정, 십자군 전쟁
진군의 이유 ∷두 문화의 충돌
먼지 덮인 상자 ∷이슬람 문화
신자의 회의 ∷신앙과 이성
기억 속의 도시 ∷파리로 돌아가는 길
예배당을 비추는 빛 ∷빛의 발견
새로운 실험 ∷고딕 양식의 시작
사신 가고일 ∷가고일의 비밀
가장 큰 기둥 ∷석공과 대성당의 시대
마을을 휩쓸고 간 병 ∷검게 핀 꽃, 흑사병
떠나는 자와 남는 자 ∷이 시대의 미술
Chapter 3 르네상스 : 예술가와 인본주의로 도시를 빚다
전조 ∷변화의 발단
유구의 존재 ∷연속과 단절
열흘간의 이야기 ∷고전의 회복
이탈리아의 보카치오 ∷도시의 시대
두오모의 선동가 ∷인간의 가치
이 시대의 미학 ∷아름다움에 대하여
진짜 영웅의 제자 ∷르네상스의 시작, 피렌체
죽은 자들의 도시 ∷르네상스 황금기, 로마
베네치아의 청년 ∷르네상스의 확산, 베네치아
양식의 지루함 ∷찾아온 매너리즘
독일에서 온 예술가 ∷알프스 너머의 르네상스
집으로 돌아가는 길 ∷이 시대의 미술
Chapter 4 바로크 : 욕망이 화려하게 수를 놓다
장작 위의 여인 ∷마녀사냥
대주교의 심판 ∷가톨릭과 신교
연회의 초상화 ∷절대 권력의 시대
어린 수사들 ∷욕망의 건축
바로크의 두 예술가 ∷로마의 바로크
어린 수사의 질문 ∷바로크의 확산
보내야 할 편지 ∷이 시대의 미술
Chapter 5 신고전주의와 반동들 : 혁명의 불꽃이 전 세계로 튀다
항구의 아침 ∷세계로, 세계로
바닷길을 오갔던 사람 ∷주도권 싸움과 시민
폭풍 후의 대화 ∷산업혁명
고상한 취미 ∷양식 전쟁
초상화의 주인공 ∷취향의 발견
돌아온 런던 ∷이 시대의 미술
Chapter 6 새로운 양식들 : 사람이 예술 중심에 오게 된다면
늙은 교수의 고집 ∷진화하는 시대
화구통 속의 그림들 ∷가치의 충돌
노을 진 도시 ∷도시의 인상
대비되는 두 사진 ∷시카고와 바르셀로나
승자 없는 전쟁 ∷두 번의 전쟁과 선언들
마지막 수업 ∷보편성의 발견
다원성의 시대 ∷이 시대의 미술
지도에 담긴 마지막 이야기
교회로 돌아온 클라우스
쉬제의 일기
모임을 마친 줄리오
주교 프란치스코의 편지
워렌의 초상화
러셀에게 온 과제물
그들의 마지막 이야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숨 쉬는 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렸다.
로마네스크는 두 개의 단어를 조합한 말이다. 로마 Roma는 ‘로마제국’을 의미하고 네스크 Nesque는 ‘풍’을 뜻한다. 즉 로마풍 건축양식인 것이다. 쉽게 말해 로마네스크 양식의 건물은 로마 건축물과 유사하다. 그러면 누가 이러한 이름을 붙였을까? 실제로 당대에는 로마네스크라는 말이 존재하지 않았다. 로마네스크라는 말은 19세기 미술 비평가들이 명명한 것이다. 이 비평가들은 10~12세기에 나름의 형식적 완성을 갖춘 건축양식이 있었다는 것을 발견하고, 그 형식의 바탕에 로마의 건축양식이 있다는 것을 반영해 로마네스크라는 이름을 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