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진경산수의 고향 청하읍성

진경산수의 고향 청하읍성

박창원, 이재원, 김상백 (지은이)
나루(도서출판)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19,800원 -10% 0원
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6,94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진경산수의 고향 청하읍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진경산수의 고향 청하읍성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95689897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1-05-18

책 소개

그 옛날 겸재 정선이 현감으로 있었던 청하읍성과 그 주변 자연경관에 관한 이야기다. 총 4장과 부록으로 구성된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겸재 정선의 그림 속에서, 그리고 당대의 시인묵객들의 시구에서 당시의 청하읍성과 그 마을 주민, 그리고 주위를 둘러싼 주변경관이 얼마나 조화롭고 아름다웠는지를 알게 된다.

목차

책 머리에
자료로 보는 청하읍성

Ⅰ. 청하, 읍성이 있었네
1. 청하의 연혁과 명칭 유래
2. 청하읍성 개요 및 현황
3. 청하읍성 관련 지명
4. 청하읍성을 거쳐 간 역대 청하현감

Ⅱ. 청하, 진경산수의 발현지 되다
1. 진경산수의 고향, 청하
2. 청하현감 정선
3. 청하읍성에서 그린 정선의 청하 그림

Ⅲ. 청하읍성, 시인묵객들이 사랑하다
1. 해월루(海月樓) 관련 시문
2. 육청헌(六淸軒) 관련 시문
3. 그 외 다른 건물 관련 시

Ⅳ. 청하읍성, 인문자원이 관광자원이다
1. 청하읍성 주변의 인문자원
2. 실현가능한 청하읍성 주변 관광 자원화
3. 청하읍성 복원을 통한 어촌인문 활성화 방안 세미나

부록
청하읍성 관련 문헌자료
청하읍성 주변의 선정비

저자소개

이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 교수, 포항지역학연구회 대표. 의사, 칼럼니스트, 방송인 등 다양한 활동으로 포항의 숨은 가치를 찾아내 동시대를 살아가는 지역민과 나누는 일에 즐거움을 느낀다. 주요 저서로 《포항의 문화유산》 등이 있다.
펼치기
박창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7년 경북 고령에서 태어나 영남대 국어국문학과와 한국교원대대학원 국어교육학과를 졸업했다. 1982년부터 포항시 청하중학교에서 국어교사로 근무하였고, 교직에 몸담은 30여 년간 포항지역의 민속에 대한 연구를 해왔다. 한동대, 포항대, 선린대에서 강의를 했고, 현재 청하중학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고령 지방의 언어』, 『포항지역 구전민요』, 『인문학의 공간 내연산과 보경사』(공저), 『소리로 듣는 포항의 민요』, 『향기 있는 사람』(수필집)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하면에서 태어나 청하초등학교와 청하중학교를 다녔다. 현재 경북생명의숲 상임대표와 청하중학교 관송교육재단 감사로 활동 중이다. 조상들의 멋과 풍류가 녹아있는 아름다운 청하를 알리고자 집필에 참여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청하는 ‘진경산수眞景山水’라는 우리고유의 그림 양식이 완성된 곳이다. 진경산수화란 조선시대에 중국의 화풍에서 벗어나 우리 산천의 멋과 아름다움을 직접 사생하여, 현실을 통한 주자학적 자연관과 풍류를 표현한 한국적 산수화풍이다. 겸재는 청하현감 재임 시절인 1733년 우리 지역의 경승지인 내연산에 올라 〈내연삼용추도內延三龍湫圖〉를 그렸다. 굵고 힘찬 적묵법과 강한 흑백의 대비, 가장과 생략, 그 중에서도 겸재 특유의 도끼로 찍은 듯한 강렬한 준법이 〈내연삼용추도〉에서 처음 나타난다. 이런 의미에서 청하는 우리나라 회화사의 자랑거리인 겸재의 진경산수화풍이 만개한 곳이라고 할 수 있다.


“보인다. 어렴풋이, 아니 아주 선명하고 분명하게 보인다. 우리는 겸재 정선의 〈청하성읍도〉를 통해 260년 전 청하성읍(지금은 포항시에 속함)의 온전한 모습을 볼 수 있다. 현재는 성터만 남아 있지만, 〈청하성읍도〉에는 당시의 청하성읍이 어떠한 흐트러짐도 없이 우리 후손들을 위해 굳건히 제자리를 지키고 있다. 정말 귀하고 자랑스러우며 마주하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벅차오르는 그림이다. 한지와 먹의 힘 그리고 겸재 정선의 붓질에 의한 리얼리티의 경관, 〈청하성읍도〉는 우리 선조들의 숱한 사연을 간직하고 있다.
-중략-
이렇게 〈청하성읍도〉는 단지 무채색의 먹색 그림에 불과하지만 온갖 색깔, 풍부한 자연과 활력을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다”


아! 청하는 외진 곳의 강 위에 있어 산수가 빼어나지 않음이 없다. 그곳에 누대를 짓게 된 것은 원래 읊조릴 곳이 없어서였다. 여러 번 어르신들에게 묻고, 그곳의 읍지를 찾아보니, 옛날 명 가정嘉靖 무자년戊子年(1528년)에 임영각臨瀛閣이 있었는데, 오래지 않아서 무너졌다. 이후 정유년(1537) 가을, 현성縣城의 서쪽에 누각 하나를 개축하여 편액을 ‘해월海月’이라 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