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97453830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1-12-08
책 소개
목차
포항의 역사와 문화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천진기 11
포항과 한시 권용호 37
포항지역 신화의 현장과 의미 박창원 65
지형학으로 본 포항의 지리적 입지 민석규 115
알려지지 않은 포항의 금석문 진복규 151
세상에 이런 일이 in Pohang History 김진홍 183
포항 시민운동의 연원 김일광 213
포항에 남은 포은(圃隱)의 자취 이상준 251
포항의 문화유산 이재원 289
저자소개
책속에서
동해의 해돋이
바다와 인접한 포항은 예로부터 해와 뗄 수 없는 관계를 맺었습니다. 멀리 볼 것도 없이 ‘영일’이라는 지명에서 보듯 일찍부터 해와 큰 관련이 있습니다. 영일은 ‘해를 맞이한다’는 뜻으로, 이 자체가 해돋이를 아주 신성시했음을 보여줍니다. 문인들에게 이 장관은 놓칠 수 없는 소재였습니다.
많은 문인이 우리 지역을 지나가며 동해의 장엄한 해돋이를 보고 노래했습니다. 그들은 해돋이를 보면서 마음속 염원을 기원하고 울적한 심사를 풀었습니다. 일제강점기 때의 유학자 정해영(鄭海榮; 1868년∼1946)의 《포항(浦項)》은 장엄한 해돋이와 자신의 신세를 비유하면서 해돋이를 본 후의 감개무량함을 시로 표현했습니다.
만 리 해 뜨는 부상 지척에 보이건만, 萬里扶桑咫尺看,
이곳에서 보니 물이 난처하게 만드네. 看於此者水爲難.
내 목숨 창해의 좁쌀 한 알과 같음을 슬프고, 渺然一粟哀吾命,
깊고 튼튼한 술통에 마음 절로 가벼워지네. 彊强深樽意自寬.
외국 귀빈들에게 Hot Place였던 포항
사실 포항은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역대 모든 대통령들이 적어도 한 번 이상 다녀간 지역으로서 다른 지방 도시들과는 다른 면모를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1970년대 이후 포항을 방문하였던 외국의 주요 귀빈들은 대체로 산업시찰의 일환으로 포항종합제철을 방문하기 위한 목적이 많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1979년 10월 9일 룩셈부르크 앙리 왕세자, 1983년 9월 12일 요르단 후세인 국왕, 1986년 4월 1일 마가렛대처 영국 총리, 2000년 9월 13일 김용순 북한 노동당비서까지.
하지만 그보다 더 오랜 일제 강점기 시절에도 당시 사관학교를 졸업하자마자 임관하여 포항에 군함을 이끌고 직접 상륙한 다카마쓰노미야 노부히토친왕이 1926년 9월 21일 포항에 상륙한 적이 있습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포항 영일만에는 대형 선박이 정박, 입항 가능하다는 것이 실제로 증명되면서 이후 포항항이 국제무역항으로 도약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포항시가 국제항만허브도시로서 도약을 꿈꾸고 있는데 영일만 이라는 천혜의 자연 자원은 충분한 만큼 앞으로는 포스코와 같이 외국 귀빈들이 방문하고 싶은 새로운 역사·문화·관광 분야를 적극 발굴해 나갔으면 합니다.
포항 최초의 지진은 언제였을까?
지금 포항시민들은 아직도 2017년의 인재로 인한 지열발전으로 촉발되었던 지진의 트라우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특별법에 의한 피해보상도 진행중에 있습니다. 그렇다면 포항은 인재가 아닌 자연적인 지진이 전혀 없는 지역이었을까를 살펴보니, 기록상으로 오래전인 594년전에 확인가능한 지진이 포항지역에 있었다는 기록을 찾았습니다. 그 이후에도 포항지역에 지진은 다음과 같이 있었습니다.
▶ 1427.9.15. 경상도 영일현에 지진(세종실록 37권)-594년 전
▶ 1430.9.13. 경상도 경주, 흥해, 청하, 영일, 장기 등 고을에 지진(세종 49권)
▶ 1454.12.28. 경상도 흥해 등지에서 지진이 일어나 해괴제(解怪祭)를 행하다(단종실록 12권)
▶ 1516.11.24. 경상도 흥해군에 지진이 있다.(중종실록 26권)
▶ 1518.3.8. 경상도 흥해군과 청하현에 지진이 있다(중종실록 32권)
▶ 1525.9.24. 경상도 청하 등지의 고을에 지진이 일다(중종 20년)
▶ 1542.1.29 경상도 장기, 영일 등의 고을에 지진이 있다.(중종실록 97권)
▶ 1604.5.6. 경상도 관찰사 이시발이 4월 5일 영일, 흥해 두 고을의 지진을 보고하다(선조실록 37년)
▶ 그리고 413년 뒤 천재가 아닌 인재로 인한 포항지진이 흥해에서 발생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