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허진모 삼국지 1

허진모 삼국지 1

(삼국지로 중국사 이해하기)

허진모, 정원제 (지은이)
이로츠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허진모 삼국지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허진모 삼국지 1 (삼국지로 중국사 이해하기)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91195776887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1-10-20

책 소개

소설로서 삼국지의 주된 배경은 학문적으로 보면 삼국시대가 아니라 삼국이 세워지기 전이며, 천하를 얻으려는 숱한 영웅들의 무용담과 지략 싸움이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이 책은 소설과 역사를 넘나들며 삼국지를 색다르게 읽는 묘미를 선사할 것이다.

목차

서론.
삼국시대(三國時代)에 대하여
정사 《삼국지》에 대하여
《삼국지연의》에 대하여
《삼국지》의 지명(地名)과 지리(地理)에 대하여

1장. 기울어지는 한(漢)

황건적의 난과 동탁의 농권(184~189년)
군웅들의 거병(190~191년)
원소와 조조의 팽창(191~192년)
동탁 몰락 이후의 혼란(192~193년)

2장. 호걸들의 난립
서주를 둘러싼 공방(193~195년)
손책의 자립(192~196년)
헌제의 장안 탈출(195~196년)
여포와 장수(張繡)의 배신(196~197년)
원술의 참칭(197~198년)
여포와 공손찬의 패망(198~199년)

3장. 부흥하는 손가(孫家), 몰락하는 원가(袁家)
손가(孫家)의 재건(197~200년)
관도대전(199~201년)(上)
관도대전(199~201년)(下)
손권의 등장(200~203년)
반목하는 원가(袁家) 형제들(202~204년)
손권의 강동(江東) 장악(203~208년)
원가(袁家)의 패망(205~207년)

4장. 장강(長江)과 한수(漢水)의 만남
유표에 의탁한 유비(201~207년)
유종의 투항(208년)
적벽대전(208년)
강릉과 합비 공방전(208~209년)
유비의 형주 임차(210년)

5장. 이제 불길은 서(西)와 동(東)으로
유비의 익주 공략(211년)
조조와 마초의 대결(211~212년)
손권의 환성(皖城) 함락(212~214년)
유장과 유비의 익주 공방(212~214년)
조조와 마초의 재대결(213~214년)

부록1. 각국 연호 대조표
부록2. 삼국시대 연표
부록3. 참고문헌

저자소개

허진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오랜 시간 문명과 전쟁, 종교, 미술, 고고학 등 세계의 모든 역사를 정리하고자 하는 허황된 꿈을 좇아 개인적인 연구를 하고 있다. 오로지 ‘재미로 역사를 탐구’하고자 스스로를 취미사학자(趣味史學者)로 부르고 있다. 팟캐스트 ‘전쟁사 문명사 세계사’에서 역사를 말하고 있고 기업과 정부기관, 대학 등에서 강연을 한다. 저서로는 <전쟁사 문명사 세계사1, 2>, <휴식을 위한 지식-한눈에 보는 미술사>, <허진모 삼국지1, 2>가 있으며, 방송으로는 tvN <어쩌다 어른>, KBS <정치합시다>, KBS <역사저널 그날> 등에 고정출연하였다. 고려대학교에서 동양사로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펼치기
정원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의사(침구과 전문의). 첫 번째 저작인 <구슬을 꿰는 한자>를 통해 한자 자원풀이의 새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다. 이후 <진검승부 부수 한자 사전>으로 학생들이 보다 쉽고 재밌게 한자를 공부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취미사학자’ 허진모 작가와 함께 <허진모 삼국지1, 2>를 집필하며 소설이 아닌 역사로서 삼국지(三國志)를 새롭게 조명하였다. 이번에는 삼국지에서 유래하거나 인용한 여러 고사성어들을 징검다리처럼 엮으며 새로운 각도로 삼국지를 들려주고 있다. 한자와 삼국지에 대한 그의 관심과 애정은 아직 현재 진행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삼국지를 칠실삼허(七實三虛)라고 한다. 역사를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이 평가에 호응하고 싶다. 셋의 허구(虛構)가 너무나 좋은 양념이 되어 나머지 일곱이 아닌 아홉, 열, 전체를 재미있게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나는 연의(演義)라는 문고리를 당겨 역사(歷史)의 문을 열곤 한다. 그리고 모호(模糊)하기 짝이 없는 사실(史實)의 진(眞)과 허(虛)를 가리는 재미에 오늘도 몸을 던진다. - 서론 중에서


연의에서는 탐관오리인 독우가 뇌물을 요구하였고, 유비가 아닌 장비가 때린 것으로 되어 있는데 사실 정사의 내용을 그대로 적용하면 유비는 아무 잘못이 없는 감독관을 단지 만나주지 않는다는 이유로 다짜고짜 폭력을 행사한 것이다. (중략) 연의에는 유비를 좋은 사람으로 만들기 위해 선의의 피해자가 다수 등장하는데 독우는 그 첫 번째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제 독우의 누명을 벗길 때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사실 독우는 죄가 없다. 과거나 지금이나 상식적으로 감독관은 피감기관의 책임자를 사적으로 만나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이후 유비는 이 일에 대해 어떤 제재도 받지 않았다. 불쌍한 독우.


마초가 유비에게 투항했다는 소식은 형주에 있던 관우의 귀에까지 들어갔다. 관우는 제갈량에게 서신을 보내 마초의 재능이 누구와 비슷한가를 물었다. 제갈량은 관우가 승부 겨루기를 좋아한다는 사실을 알고 “맹기(孟起)가 문무를 겸비하고 용맹이 뛰어난 웅걸이라 익덕(益德)과는 우열을 다툴 만하지만 미염공에 비길만한 인물은 아닙니다.”라고 답을 보내 관우의 호승심을 잠재웠다. 관우의 수염이 멋지기에 제갈량은 관우를 미염공(美髥公)이라고 불렀던 것이다. 이에 관우는 크게 기뻐하며 주변 사람들에게 서신을 보여주며 자랑했다. 위신을 중요하게 여기는 관우의 성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일화라고 할 수 있는데 고금을 통해 남자들의 유치한 힘 자랑은 나이와 상관이 없는 모양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