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명상/선
· ISBN : 9791195824069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9-12-1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빌 매키븐) __ 17
서문 __ 21
감사의 말씀 __ 23
서론 __ 27
1장: 우리가 처한 상황 __ 39
우리가 도대체 무슨 짓을 했지? __ 41
책임지기?인류세 __ 48
우리는 얼마동안 알고 있었나? __ 50
우리는 주의를 기울이고 있나? __ 51
무엇이 위험한가? 얼마나 긴박한 위기인가? __ 61
우리는 멸종을 선택하고 있는 것인가? __ 65
이것은 우리 모두에게 해당된다 __ 66
우리는 이미 필요한 것을 모두 갖고 있다 __ 71
앞으로 전진하는 운동 __ 73
그룹 토론과 성찰을 위한 질문들 __ 77
2장: 파괴된 세계를 위한 사랑의 하느님 __ 79
파괴된 세계 속에서 하느님을 찾기 __ 80
우리는 가슴이 비통해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까? __ 82
사랑의 하느님께 드리는 감사 __ 83
우리는 어떻게 신실함을 유지할 것인가? __ 85
수갑을 찬 줄리안 본드의 증언 __ 86
광산과 흰기러기들?우리 시대의 이야기 __ 89
광산과 흰기러기들의 이야기: 후기 __ 92
그룹 토론과 성찰을 위한 질문들 __ 94
중간에 넣는 말: 우리가 우리의 소명에 주목하지 않으면 __ 97
2070년 성회수요일에 교회 문을 닫게 되어 담임목사가
교인들에게 보내는 편지 __ 99
그룹 토론과 성찰을 위한 질문들 __ 106
제3장: 오늘날 교회의 사명 __ 107
교회란 도대체 무엇을 위한 것인가? __ 107
전례가 없는 시간을 위한 역사의 교훈들 __ 111
하느님에게는 외부효과들이라는 것이 없다 __ 117
하느님은 단지 개인들만이 아니라, 공동체들을 부르신다:
우리는 모두 똑같은 주소에 살고 있다 __ 122
우리의 하느님과의 계약: 모든 시대를 위해?모든 피조물과 함께 __ 125
황금률 2.0 __ 126
“우리 어린이들의 신뢰” __ 129
지속성의 중단에 직면하여 __ 131
카이로스의 순간 ? 도덕적 개입을 할 때 __ 133
그룹 토론과 성찰을 위한 질문들 __ 136
4장: 기후 위기의 세계 속에서 교회의 특색 __ 137
지속성을 지키는 자들로서 우리의 역할 __ 140
탄력적인 공동체를 구성하기 __ 142
단지 나만의 문제가 아니다: 개인적 구원에서 공동체 구원에로 __ 143
1단계: 공모를 고백하라, 2단계: 체제를 바꾸라 __ 144
물질적 발전 대신에 영적인 발전을 옹호하기 __ 148
인도하는 도덕률로서 희생과 나눔 __ 150
도덕적 상호의존관계를 옹호하기 __ 151
지구온난화는 모든 형태의 불의를 강화한다 __ 153
권세자들과 당국자들에 대응하기 __ 154
우리의 희망과 두려움을 나누기: 힘을 부여하는 행동 __ 155
모든 예배의 처소에서 진실과 화해의 대화들 __ 155
시민불복종운동?교회는 그 양심을 행동으로 옮긴다 __ 158
새로운 도덕적 시대를 위해 목표를 재설정하는 교회 __ 158
그룹 토론과 성찰을 위한 질문들 __ 159
5장: 제자도: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것의 방향을 재설정하기 __ 161
성장 대신에 탄력성 __ 163
소비 대신에 협력 __ 167
발전 대신에 지혜 __ 171
중독 대신에 균형 __ 174
과잉 대신에 적당함 __ 177
편리 대신에 비전 __ 179
무시 대신에 책임성 __ 181
자기중심적 두려움 대신에 자기를 내어주는 사랑 __ 188
시민불복종운동과 제자도 __ 190
그룹 토론과 성찰을 위한 질문들 __ 193
6장: 예배는 자유로 나아가는 길 __ 195
어느 정도면 충분할까? 교회 안에서 기후에 대해 말하기 __ 199
모든 교회 예배에서 첫 번째 알림 __ 201
매 주일 반복할 증언들을 초대하라 __ 202
친숙한 예배의식을 변혁하여 새로운 것을 만들기 __ 204
기후에 대한 부흥집회를 조직하고 주관하기 __ 206
모든 피조물을 포함하는 예배 __ 207
목사 안수 선서와 인류세에 새로운 생명 _ 208
지구가 성사(성례전)라면, 우린 그걸 어떻게 취급할까? __ 210
예배를 익숙하게 길들이지 않기 __ 213
예배 의식을 거리로, 송유관으로, 선로로 끌고 나가기 __ 216
그룹 토론과 성찰을 위한 질문들 __ 225
7장: 예언자적 설교: 두려움에서 자유롭게 되는 강단 __ 227
기후변화에 대해 설교하도록 부름 받음 __ 227
왜 기후변화에 대한 설교가 중요한가 __ 229
이것을 위해 교회가 탄생했다 __ 234
목사들은 가슴을 준비해야만 한다 __ 237
용기를 기르기 ? “두려워하지 말라” __ 239
희망을 제공하라 __ 242
기후변화에 대한 설교의 신학적 토대 __ 244
기후변화에 대한 설교 ? 열 가지 고려 사항들 __ 245
그룹 토론과 성찰을 위한 질문들 __ 253
8장: 함께 증언하기: 공동체 행동이 우리를 해방시킨다 __ 255
내가 처음 시작한 소명은 아니다 __ 255
증언이란 무엇인가? __ 260
시민불복종을 기독교 제자도의 규범적 표현으로 삼기 __ 263
두려움을 촉매로 삼아 사랑과 감사로 돌파하기 __ 267
투자 철회 ? 피조물들을 파괴하는 사회적 인허가를 취소하기 __ 270
수탁자의 책임에 대한 새로운 과제 __ 273
전 지구적인 공유지들 ? 자연을 소유할 권리의 종식 __ 276
하느님의 나라 건설 ? “공동선”에 토대를 둔 사회 __ 280
그룹 토론과 성찰을 위한 질문들 __ 281
9장: 기후 위기의 세계에서 희망에 찬 삶을 살아가기 __ 285
낙관주의가 아니라 희망 __ 286
현실을 직시하기 ? 희망의 전제조건 __ 287
슬픔을 표시하기 ? 희망의 전제조건 __ 290
기후변화의 실존적 위협을 인정하기 __ 294
볼 수 없는 것들에 대한 확신 __ 295
보이지 않는 것들에 대한 확신 ? 희망의 새로운 이야기 __ 298
희망의 새로운 이야기를 살아내기 __ 301
희망을 길러내기 위한 영적인 훈련 __ 303
그룹 토론과 성찰을 위한 질문들 __ 311
맺는 말 __ 313
상상하라: 교회에 주는 메시지
2100년에 십대 소녀가 하는 말 __ 313
그룹 토론과 성찰을 위한 질문들 __ 320
부록 __ 321
기후 위기의 세계를 위한 설교 제안들
저자에 대하여 __ 335
책속에서
이 책은 신앙인들을 위한 안내문이다. 우리는 기후 위기로 알려진 “장기비상사태”에 대응하면서, 하느님의 희망을 우리의 희망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 이 책은 성경에 근거하고 있다. 너무도 많은 성경의 구절들이 분명히 말하기는 하느님께서 피조물들을 아름답다고 보신다는 것이다. 과학이 알려준 바에 의하면, 인간은 단지 몇 세대 만에 생명의 균형을 심각하게 파괴해버렸다. 그리고 그것은 신앙인들로 하여금-개인적으로 또한 우리의 공동체 삶에서도-새로운 도덕적인 시대를 열도록 교회의 목표를 다시 정하고 인류에게 촉구하도록 앞으로 나갈 길을 제공한다.
많은 담임목사들은 기후변화에 대해 설교하는 것이 매우 도전적인 것임을 발견한다. 기후변화에 대해 설교하려는 우리의 사명에 한 장 전체를 사용한 것에 덧붙여서, 부록에서는 각 장에서 발췌한 50개가 넘는 설교 제안의 모음을 제공하고 있다.
이 책은 왜 그리고 어떻게 교회가 현재의 기후 위기에 대처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책은 신앙인들을-그들의 신앙공동체들과 함께-초청하여 오늘날처럼 하느님께서 창조하신 세상의 지속성이 위험에 처한 이런 때에, 우리들로 하여금 증언을 하라고 하느님께서 초청하신 것을 받아들이고자 한다. 이런 엄청난 도덕적 위기는 신학적 비상사태를 이룬다고 나는 주장한다. 이런 비상사태를 해결하고자, 하느님께서 교회를 불러내어 도덕적 개입을 시작하라고 하신다. 교회는 이 부름을 받아들이면서, 브라이언 맥라렌(Brian McLaren)이 “영적인 이동”이라고 부른 것을 겪게 될 것이다. 우리의 현재 사회경제적 체제들을 다시 정립함으로써, 교회는 인류로 하여금 하느님의 선물인 피조물들을 공경하고 지속하는 새로운 도덕적 시대로 이동하도록 재촉할 것이다. 우리의 현재 상황이 우리들에게 요구하는 것은 많은 우리들에게는 새로운 형태의 신실함, 제자도, 예배, 설교, 증언, 그리고 심지어 희망일 것이다. 이 책은 하느님께서 창조하신 선물을 보전하고 보호하기 위해 변화해야만 한다고 과학이 말하는 그런 변화를 인류에게 고무시킬 새로운 기회를 과연 신앙인들과 신앙공동체들이 어떻게 끌어안을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