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95854578
· 쪽수 : 254쪽
· 출판일 : 2020-11-20
책 소개
목차
1부. 사주명리학의 상수학적 설계원리
1장. 간지가 시공간을 표시하는 원리
(1) 간지의 정체와 근원
(2) 십이지지의 이중적 속성
(3) 낙서의 회전관성으로 생성되는 십이지지
(4) 공시간과 시공간으로 기능하는 십이지지
(5) 甲子가 간지의 처음인 이유
2장. 간지의 상호작용
(1) 육합과 육합오행의 설계원리
(2) 삼합의 생성원리
(3) 삼회의 생성원리
(4) 형의 생성원리
(5) 충의 설계원리
(6) 천간합의 생성원리
(7) 공망의 설계원리
(8) 지장간의 설계원리
2부. 사주명리학을 통한 시공간의 해석법
1장. 천간의 통근
(1) 천간의 통근에 대한 수학과학적 원리
(2) 통근처의 위치에 입각한 해석법
2장. 사주체의 시공간 계층구조
(1) 공시간과 시공간 계층구조의 발생과정
(2) 근묘화실의 실체인 시공간 계층구조
(3) 모자멸자의 해소책인 통근
(4) 택지향묘지혈의 물리적 실체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간지는 북두칠성으로 월(月)과 시(時)를 동서남북의 방향에 토대를 두고서 십이등분(十二等分)한 방향으로 측정하는 방법의 좌표단위(座標單位)이다. 중국의 고대 시절부터 관측과 계산의 편리성 때문에 태양의 운동을 북두칠성의 운동으로 대체하여 월과 시를 측정하였다.
위에서 알아본 사주팔자에서 천반과 지반의 좌표단위가 다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구의 공전과 자전을 하나의 천문현상으로 표시하는 지평좌표계가 등장하였다. 이런 통합의 지평좌표계가 두병소지(斗柄所指)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