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91195884100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6-09-30
목차
1부 한국 고대사 바로보기
발간사
서문
I. 고대사 개론(저자: 심백강)
제1장. 동아시아의 첫 왕국, 고조선
제2장. 기자조선과 위만조선
제3장. 한사군과 낙랑
제4장. 부여와 고구려
참고문헌
II. 고대사의 핵심 쟁점(저자: 이덕일)
제1장. 고조선의 서쪽 강역
제2장. 임나일본부설의 실체
제3장. 한국의 실증사학은 과연 실증사학인가?
참고문헌
III. 고대사의 서술방향(저자: 박정학)
제1장. 원시사회의 시대구분 용어
제2장. 민족 고유 생각의 틀을 담은 민족창세신화
제3장. 청동기 시대의 시작은 고조선 건국 이전
제4장. 우리 민족의 위인 복희, 치우천왕을 국사에 기술
제5장. ‘단군사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
제6장. 한민족의 형성사의 제대로 된 서술
제7장. 문명의 교류와 우리 민족이 만든 홍산 문명
제8장. 한류의 뿌리인 제천(祭天) 문화
제9장. 영원히 잃어버린 발해의 백성을 찾아서
참고문헌
맺음말
2부 아직 바로세우지 못한 역사
서문
한국 고대사, 끝나지 않은 전쟁이투데이
여는글. 조선총독부의 사관이 아직도 이덕일
1. 동북아는 역사전쟁인데… 나라안은 식민사학자들 세상 이종찬
2. 고대사 정립은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는 작업 이도상
3. 일제는 왜 단군을 말살하려 하는가 김동환
4. 고조선 국경선, 패수의 위치는 어디인가 황순종
5. 1차 사료 배척한 채 떼쓰는 강단사학자들 허성관
6. 낙랑군은 평양에서 요동으로 이동했는가 이덕일
7. 일본인들은 왜 삼국사기를 가짜로 몰았는가 김병기
8. 가야 통치했다던 임나일본부 한반도엔 아예 존재하지 않았다 황순종
9. 강진을 쳤는데 공주가 항복했다고? 정암
10. 조선 유학자들은 한사군의 위치를 어떻게 보았을까? 이덕일
11. 천문으로 보는 한국 고대사 박석재
12. 한국 실증주의 사학의 실체 임종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