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의 진로선택
· ISBN : 9791195970032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17-03-27
책 소개
목차
시작하는 글
1장. 생각하는 이공계 인재
첫 번째 키워드 | 지적 호기심 - 오늘 하루 난 무엇이 궁금했을까?(정재승)
두 번째 키워드 | 상상력 - 상상하라! 오늘의 엉뚱한 상상이 미래엔 현실이 되어 있을 것이다(쥘 베른)
세 번째 키워드 | 창의성 - 미래 사회는 창의적인 인재를 원한다(테오 얀센)
네 번째 키워드 | 논리적 사고 - 논리적인 사람은 실패가 적으며, 실패의 논리로 성공을 이끈다(엔리코 페르미)
다섯 번째 키워드 | 의사소통 - 자신을 드러내는 길은 소통뿐이다!(랜디 올슨)
2장. 창작하는 이공계 인재
여섯 번째 키워드 | 탐구 정신 - 두려워할 것은 없다, 오로지 이해할 것이 있을 뿐(마리 퀴리)
일곱 번째 키워드 | 발명 - “왜?”라고 질문하는 순간 놀라운 일이 시작된다(데니스 홍)
여덟 번째 키워드 | 문제 해결 능력 - 결과보다는 과정을 즐겨라(존 찰스 필즈)
아홉 번째 키워드 | 융합적 사고 - 생각의 틀을 허물고 관계없는 것을 모으는 힘을 키워라(스티브 잡스)
열 번째 키워드 | 표현력 - 말이나 글로 생각을 표현하라(장 앙리 파브르)
3장. 공부하는 이공계 인재
열한 번째 키워드 | 기록과 메모 - 메모는 나를 키운다(알렉산더 폰 훔볼트, 마이클 패러데이)
열두 번째 키워드 | 발표와 논문 - 스스로를 발전시키는 과정(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열세 번째 키워드 | 독서 - 독서는 책 쓴 사람의 전부를 만나는 것이다(빌 게이츠)
열네 번째 키워드 | 과제 집착력 - 자신감을 가지고 몰입하라(리처드 파인만)
열다섯 번째 키워드 | 함께 배우기 - 새로운 생각을 함께 만들어 가라(베르너 카를 하이젠베르크)
4장. 비전과 가치를 가진 이공계 인재
열여섯 번째 키워드 | 나눔 - 나눌수록 가치는 커진다(배상민)
열일곱 번째 키워드 | 끈기 - 끝까지 해내는 힘(나카무라 슈지)
열여덟 번째 키워드 | 높은 이상 추구 - 환상을 현실로 만들라(니콜라 테슬라)
열아홉 번째 키워드 | 기업가 정신 - 도전하고 새로운 가치를 만들라(일론 머스크)
스무 번째 키워드 | 미래 예측 - 나의 미래 가치를 따져 보자
5장. 이공계 유망 분야
첫 번째 | 소프트웨어 분야
두 번째 | 바이오 분야
세 번째 | 사물인터넷 분야
네 번째 | 무인항공기 분야
다섯 번째 | 미래 농업 분야
여섯 번째 | 로봇 분야
일곱 번째 | 해양 분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이공계 인재로 성장할 청소년에게 꼭 필요한 “‘미래핵심 역량’과 ‘과학기술 소양’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하면서 만들어졌습니다. 미래에 과학기술자가 되기를 원하는 청소년들이 갖추어야 할 소양은 과연 무엇인지, 오랫동안 고민한 끝에 한 권의 책을 완성했습니다. 위대한 과학기술자들의 다양한 책과 논문을 읽고, 토의를 거듭한 끝에 20가지 역량을 선정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의 삶과 이야기를 통해 자연스럽게 각각의 역량을 배우도록 했습니다. 글의 중간에는 각각의 역량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설명을 덧붙여 놓았습니다. 또한 위대한 과학기술자의 이야기를 담은 교양 도서를 소개하여 추가적으로 독서할 수 있도록 유도했습니다. - ‘시작하는 글’에서
지적 호기심이란 무엇일까요? 호기심이란 ‘어떤 것의 존재나 이유에 대해 궁금해하고, 알려고 하며, 숙고하는 태도나
성향’을 뜻합니다. 또 ‘항상 생동감 있게 주변 사물에 대해 의문을 갖고 끊임없이 질문을 제기하는 태도나 성향’을 말합니다. 따라서 호기심이 많은 사람은 주변 현상에 대해서 ‘왜 그럴까?’, ‘무슨 일일까?’ 하는 의문을 자주 갖게 되지요. 그리고 그 의문에 대한 답을 찾으려고 노력합니다. 이러한 호기심은 자발적으로 지식을 습득하고, 사고하며, 행동하는 데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아인슈타인 같은 과학자나 에디슨 같은 발명가는 지적 호기심에 의해 연구하고 발명하게 된 것입니다. 여러분은 호기심이 풍부한가요? - ‘첫 번째 키워드-지적 호기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