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선거전략/대통령 만들기
· ISBN : 9791196072520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1-08-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STEP 1 사전 준비
1. 왜 정치를 하려고 하십니까?
2. 왜 당신이어야 합니까?
3. 정치할 돈은 있습니까?
4. 도와줄 사람은 있습니까?
5. 어떤 정치인이 되고 싶습니까?
6. 선거경영이 왜 필요할까요?
7. 선거경영은 무엇일까요?
8. 정치적 비전 수립
9. 정치적 미션 수립
STEP 2 전략
10. 선거 전략 : 전략 기획
11. 외부환경 분석 : 유권자 기호변화
12. 외부환경 분석 : 선거환경 변화
13. 외부환경 분석 : 정국구도
14. 외부환경 분석 : 차기 대권구도
15. 외부환경 분석 : 역대 선거 추이
16. 외부환경 분석 : 투표 성향을 비롯한 지역구 분석
17. 내부역량 분석 : 후보자 개인
18. 내부역량 분석 : 후보자 참모진
19. 내부역량 분석 : 후보자 주변의 자원
20. 내부역량 분석 : 벤치마킹
STEP 3 정무
21. 정치적 스탠스 잡기
22. 정당 활동 계획
23. 조직 선거 계획
24. 전략적 일정 수행 계획
25. 정치적 발언/연설 시기/수위 조절
STEP 4 정책
26. 정책선거 환경
27. 지역구 외부환경 분석
28. 지역구 내부환경 분석
29. 지역구 비전 수립
30. 지역구 정책공약 도출
31. 매니페스토 기준에 맞는 정책 공약 검증과 기술
32. 정책 공약 실행 계획
STEP 5 전술
33. 선거운동 : 유권자 집단별 공략방법 수립
34. 선거운동 : 선거운동 방식 결정과 포트폴리오 작성
35. 선거운동 : 일정과 동선 관리 계획
36. 선거홍보 : 이미지 콘셉트 도출
37. 선거홍보 : 홍보방법 기획과 실행계획 작성
38. 선거조직 : 선거사무원, 자원봉사자, 후원회 조직계획 작성
39. 여론조사 : 여론조사 활용 방법과 조사 실행계획 작성
STEP 6 자원 관리
40. 인사 : 후보자 경력 관리 등
41. 인사 : 참모진 충원과 관리
42. 인사 : 선거운동원/자원봉사자 동원과 관리
43. 인사 : 후원회 조직과 관리
44. 재무 : 후원금 관리
45. 재무 : 선거자금 지출 관리와 선거 회계
46. 사무실 : 선거사무소의 전략적 지정
47. 사무실 : 사무실 운영
48. 사무실 : 차량 등 일반관리
STEP 7 온라인 홍보
49. 내부 정보화 지원 체제 구축
50. 기획 : 홈페이지 기획과 제작
51. 기획 : SNS/블로그/카페 등 기획과 관리
52. 실행 : 홍보 기획과 실행
53. 실행 : 메시지와 이메일 관리
TIP 1 : 경선에 주력할 것인가 본선에 주력할 것인가?
TIP 2 : 네거티브 곧 흑색선전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TIP 3 : 연설문은 어떻게 작성할 것인가?
TIP 4 : TV토론은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TIP 5 : 시정수행계획서와 의정활동계획서는 어떻게 작성할 것인가?
맺음말
참고자료 1 : 2020년 총선 선거사무 일정표 288
참고자료 2 : 2018년 지방선거 선거사무 일정표
저자소개
책속에서
선거는 언제나 어렵습니다. 공직선거법과 정치자금법에 충실하게 선거를 치르더라도 그렇습니다. 지켜야 할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해석이 애매한 부분도 넘쳐납니다. 합법과 편법 그리고 불법 사이에서 줄타기를 해야 합니다. 깨끗한 정책 선거와 금전 문제가 복잡하게 얽힌 조직 선거 사이에서 갈등할 때도 많습니다...
이 책은 교도소 담장 위를 걷는 후보자와 참모진을 위한 안내서입니다. 선거를 치르는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모든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담으려 애썼습니다. 완벽하지는 않지만 여러분의 고군분투에 말벗 정도는 되어줄 것이라 기대합니다...
여기서는 여론조사와 빅데이터 등 활용 기법을 포함한 총체적인 선거의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고 전제하고, 한정된 자원을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사용해서 선거에서 승리할 것인가의 문제를 고민해 보기로 합니다...
선거경영이라는 과학적 기법이 선거 승리를 보장해준다는 말을 하긴 어렵습니다. 하지만, 주어진 환경 곧 정국구도 속에서, 개인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당선 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다는 말을 할 수는 있습니다...
선거환경의 변화 방향을 보면, 전반적으로는 조직 선거가 퇴조하고 홍보전의 중요도가 더 커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활동이나 공직선거법이 그런 방향을 지향해오기도 했습니다...
홍보방법과 홍보매체가 다양한 상황이다 보니 당연히 관련 인력 수요도 많아졌습니다. 이것은 불가피하게 인건비 부담 증가를 유발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one source multi-use’ 방식을 택해야합니다...
마지막으로 지적해야 할 점은 선거의 판세를 가르는 핵심 이슈는 대부분 정책 공약으로부터 나왔다는 것입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행정수도 공약이 그랬고, 이명박 대통령의 대운하 공약이 그랬습니다. 그런 점에서도 정책을 잘 기획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당선이 되는 것이 중요하지만, 당선이 된 이후에 어떤 정치인의 될 것인지도 중요합니다. 길게 보면 오히려 이것이 중요하기도 합니다. 동기가 분명해야 장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 정치인으로 남기를 원하는지 절대 잊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여러분의 선전과 당선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