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96096786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18-06-28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서문
감사의 말
발행사
한국어판 서문: 3세대 코칭 안내서
역자 서문
1장 입문
1.1 지식독점의 붕괴
1.2 새로운 코칭 개념의 필요성
1.3 코칭이란 무엇인가?
1.4 책의 목표와 구조
2장 코칭의 기원과 발전
2.1 사회적 정당성: 탈근대 도전에 대한 해답으로서 코칭
2.2 코칭, 정체성, 자기구성: 코칭 대화를 통해 발견되는 자기
2.3 코칭과 학습: 개인 경험과 상호협력 사이
2.4 조직과 리더십의 이론적 관점에서 코칭
2.5 맺음말
3장 코칭과 코칭심리학의 개입 이론들
3.1 특별한 대화 형식으로서 코칭
3.2 코칭 대화의 기본 의도
3.3 코치의 기본 방향
3.4 코칭의 기본 이론과 역할
3.5 추가 이론들
3.6 맺음말
4장 내러티브 상호협력 코칭: 이론과 실제
4.1 왜 내러티브 상호협력 실천으로 코칭해야 하는가?
4.2 인식론적 기초: 현상학과 사회구성주의 사이의 격차 해소
4.3 코칭에서 내러티브 상호협력 실천
4.4 맺음말
5장 코칭 사례 및 효과 연구
5.1 사례 연구
5.2 인지된 효과: 내러티브 분석
5.3 통계적 효과: 사회적 회복과 웰빙
5.4 연구 프로젝트 결론
5.5 맺음말
6장 연구, 지식, 성찰 사이의 전문적 실천
6.1 근거 기반 실천과 실천 기반 근거
6.2 코칭 실천 지식 기반
6.3 지식, 실천, 전문성 개발하기
6.4 사실과 직감 사이의 지식
7장 코칭 전문가들의 성찰적 실천
7.1 피터
7.2 스티븐
7.3 캐서린
7.4 마르타
7.5 프랙티셔너 성찰에 대한 성찰
7.6 재고
8장 결론
참고문헌
색인
책속에서
머리말
코칭은 특히 동료 인간으로서 코치이에게 초점을 맞춘 대화 양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책에서는 첫 번째 코칭 책에서 사용했던 초점 인간focus person 보다는 코치이coachee 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 이는 분석대상이 아닌 대화상대conversation partner로 보기 때문이다. 그렇게 필자는 코치이라는 용어를 통해 평등성을 강조하고 비대칭성을 줄이는 노력을 하고자 한다. 학습과 발달 공유 포럼은 그룹 코칭을 할 때 더욱 명확해진다. 필자는 코칭을 개입이 아니라 상호작용 및 대화로 묘사할 것이다. 코치이와 대화는 3세대 코칭을 위한 탐색과 탐구를 구성하고 있다. 대화를 할 때 필수적으로 삶의 가치에 대한 의미 형성과 성찰을 공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필자는 관련 이론과 연구와 함께 코칭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또한 우리 모두가 직면하고 있는 현대 사회(포스트 모던)의 도전들의 연결고리를 집고 넘어가고자 한다. 이는 정확히 새로운 대화 모델인 3세대 코칭을 계속 개발되도록 고무시킨 사회적 조건과 도전에 대한 분석을 담고 있다.
이 책은 단순히 코칭 현장의 모든 것을 다루는 핸드북이 아니다. 이 책은 특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이 새로운 차원의 대화 형식에 기반하여 코칭 방향을 제시하길 희망한다. 넓은 의미에서 우리 사회를 다양 한 수준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핵심적이고 가능성 있는 새로운 기초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사람들 간 대화, 작은 학습 상황, 특정 작업 맥락, 발달 및 팀 상황, 조직 및 기타 여러 환경에서 이것들이 잘 적용되길 원한 다. 코칭 및 코칭에서 영감을 받은 대화는 우리의 능력 개발, 반성에 참여하고자하는 열망, 서로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위한 노력을 중심으로 새로운 사회적 현실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런 방식 이 사람들 사이의 차이가 진정한 만남에 장애가 되지 않으면서 동시에 차이가 있는 양쪽 모두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기를 바란다. 물론 필자 자신도 이 비전에 스스로 부응하지 못할 때가 많다. 때로는 다른 사람과 새로운 방식으로 대화를 나눌 필요가 있지만, 그것은 대화 상대의 의향과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이 책이 독자들에게 새로운 대화 과정을 촉발시킬 용기를 줄 수 있기를 바란다.
문제와 목표 관점에서 코칭: 1세대 코칭에는 스포츠 코칭(Gallwey, 1974; Robinson, 2010), GROW 모델(Whitmore, 2002), NLP(O'Connor & Lages, 2004), 정신역동 코칭(Sandler, 2011), 인지 행동 코칭(Palmer & Szymanska, 2007)이 있다. 개입의 주요 관점은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하고 행동 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코치이가 자신의 특별한 도전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예를 들어 1세대 코칭은 다음과 같이 접근한다.
나는 새로운 직업을 원한다. 나는 새로운 직업을 어떻게 성취할 수 있는가?
10kg을 빼고 싶다. 나는 최대한 짧은 시간에 어떻게 할 수 있는가?
1세대 코칭에서 코치는 코칭의 기본 원칙에 궁극적으로 위배되는 위험에 빠지게 된다. 실제로 코치는 관계 속에서 전문가 또는 지혜가 넘치는 소크라테스와 같은 역할로 빠지는 경우가 많다.
해결 중심 및 미래 지향적 관점에서 코칭: 2세대 코칭에는 체계적이고 해결 중심 코칭(Berg & Szabo, 2005; Moltke & Molly, 2010; Stelter, 2002a), 강점탐구 코칭(Orem, Binkert, & Clancy, 2007), 긍정심리학 코칭(Biswas-Diener, 2010; Biswas-Diener & Dean, 2007)이 있다. 2세대 코칭 접근법의 주요 목표와 의도는 코치이가 이미 소유하고 있는 실존적 자원과 강점에 집중 하고, 코치이가 구축할 수 있어야 하는 긍정적 미래 시나리오를 생성 하는 것이다. 여기서 대화는 이전에 경험한 도전과 문제보다는 가능성과 선호하는 미래에 중점을 둔다. 1세대 코칭보다 좀 더 좁은 목표를 설정하는 경향이 있다. 대화에서 코치의 관심과 의도는 가능한 (또는 이미 확립된) 해결책을 탐색하고, 코치이가 이전에 알지 못 했던 잠재적인 미래 시나리오와 강점 및 자질에 초점을 맞추는 것에 있다.
성찰적 관점에서 코칭: 3세대 코칭에는 내러티브 코칭(Drake, 2007, 2009a; Nielsen, 2010), 내러티브 상호협력 코칭(Stelter, 2012; Stelter & Law, 2010), 권학적 또는 철학적 코칭(Kirkeby, 2009)이 있다. 3세대 코칭은 2세대 모델 및 이론적 접근에서 발전되었다. 그러나 코치의 기본 방향과 코치이와 관계가 바뀌어야 한다. 1세대 및 특히 2세대 코칭은 코치와 코치이 사이의 명확한 비대칭성이 특징이다. 3세대 코칭에서 코치의 기본 입장은 중립적이고 알지 못함의 태도를 지니며 코치이의 도전에 직접적 관여나 개입을 피하는 것이다. 3세대 코치는 동료가 되는 것에 더 중점을 둘 것이다. 어떤 단계와 상황에서 코칭 대화는 두 명의 인간 사이의 진정한 대화가 될 것이다(Buber, 1999). 예를 들어, 코치는 대화에서 증인이자 공동 창조자로서 봉사하기 위해 코치이와 함께 고려사항 및 성찰을 공유한다. 코칭 대화는 공동 창조 및 상호협력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왜냐하면 코치 및 코치 이는 각자의 영역에서 전문가인 동시에 대화 시작에서 전혀 알지 못하는 사이기 때문이다. 이런 연관성에서 지식은 두 사람의 대화 과정에 서 발생한다. 이 대화는 두 사람 모두에게 새로운 무언가를 낳게 한다. 이런 코칭 대화의 두드러진 특징은 삶의 가치와 의미를 만드는 측면(특히, 사람들의 삶의 중심적 측면)을 중심으로 삼으며, 코치와 코치이 모두의 삶과 도전을 초월하는 성찰 공간으로 초대한다는 점이다. 코치와 코치이는 철학자의 역할을 하며, 그들의 성찰은 때때로 삶에서 발생하는 존재론적 질문을 밝혀준다. 두 사람 모두 본질적 인간, 실존, 가치 지향적 이슈에 의문을 갖는다. 그렇게 코치와 함께 코치이는 자신의 실존과 삶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법을 탐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