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96096731
· 쪽수 : 443쪽
· 출판일 : 2017-10-31
책 소개
목차
추천하는 말 7
감사의글 12
한국어판 서문 14
발행사 16
옮긴이의 말 18
특별추천글 21
전반적인 개요 26
서론 28
1부 개관
01 마음챙김의 정의와 기원 및 연관성 37
마음챙김의 정의 38
지금 이 순간, 행복한 순간 42
코칭에 대한 간략한 소개 50
02 마음챙김의 주요 역사 56
마음챙김=부디즘? 57
03 마음챙김의 영향 60
본성과 양육 61
마음챙김의 이점 71
2부 핵심원칙
04 프레즌스 83
프레즌스의 정의 86
개방성 88
마음챙김 수행 92
수행방법 설정하기 94
05 호기심, 질의, 비판단 104
호기심 104
질의 105
비판단 106
06 조율과 공명 112
공감능력과 거울신경세포 114
조율 116
공명 120
07 연민 125
코칭에서 연민 126
마음챙김으로 연민하기 130
연민의 유익 136
더 나은 결과 141
08 존재와 행위 145
존재냐 행위냐 150
내려놓기 153
감정조절시스템 156
고유한 목표? 157
수용 160
미래로 가기 162
멈춤버튼 누르기 163
3부 코칭과 멘토링에서 마음가짐
09코치지원 및 양성개발 167
회기 준비 167
코칭 회기 안에서 174
공감 179
코칭 회기 이후 183
10 마음챙김 소개하는 법 185
적합성 186
마음챙김을 위한 비즈니스 사례 만들기 192
마음챙김 프로그램 가동 193
11 FEEL 모델 195
FEEL: 마음챙김을 적용하는 모델 195
고객 이슈 202
12 스트레스, 불안, 우울증, 일과 삶의 균형 205
좋은 스트레스와 나쁜 스트레스 207
스트레스의 영향 208
접근과회피성향 211
차이-기반 과정 213
마음챙김이 어떻게 도움을 주는가 214
교정지향 코칭 217
느긋하게, 느리게, 아무것도 하지 않기 219
13 회복탄력성, 행복과 웰빙 231
정의 231
회복탄력성? 232
마음챙김과 회복탄력성 234
건강과 웰빙 243
14 확실성, 변화, 복잡성, 상호연관성 250
불확실성 250
변화와 비영구성 256
복잡성 258
시스템과 상호연관성 263
15 좋은 지도자의 조건 271
공명 지도자를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271
불화와 극도의 피로 272
더 마음챙김적인 지도자들 275
리더십 모델에서 마음챙김 277
감성지능 288
16 윤리 291
상호책임 292
마음챙김과 윤리 294
리더십특성 297
도전하기 299
욕망 300
마음챙김을 활용한 윤리 증진 팁 302
17 감정과 함께하기 304
자기인식 309
자기관리 310
사회적인식과관계관리 315
자존감, 자기연민, 자기수용 325
자기비판 속의 성장 328
쉽지 않은 연민 329
마음챙김 수행 추천 330
18 창조성 331
길 벗어나기 333
실수와 마음챙김 334
마음챙김 음악 337
마음챙김과 창조성 338
창조적 사고 340
고객과 마음챙김하기 340
창조성을 위한 마음챙김 사용팁 346
마음챙김 수행추천 349
19 마음챙김과 다른 접근들 351
마음챙김 무브먼트 352
게슈탈트 356
통합 360
소매틱스 363
존재론적 코칭 367
교류분석 371
초개인 코칭과 정신요법 376
인지행동코칭 382
수용전념치료 385
사고환경 386
이너게임 387
4부 미래
20 코칭 설문조사에서 마음챙김 391
마음챙김 경험 391
직접적인 이점 394
일반적인 의견 401
설문조사에 관하여 404
21 마음챙김이 미래다 406
동향 411
결론 415
참고문헌 418
더 읽을거리 428
색인 430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필자는 이 책을 쓰는 과정에서 마음챙김과 코칭이 긴밀한 연관성 perfect bedfellows을 가졌다는 것을 점점 더 확신하게 되었다. 필자는 스스로 코칭, 마음챙김, 명상, 영성, 리더십, 심리학, 상담, 심리치료, 부디 즘 등과 관련된 수많은 책에 몰입했었으며, 이들이 제시하는 수많은 이 야기 가닥들을 따르는 것을 즐겼다. 어떤 접근법이나 내가 고려해보거나 상기하지 못했던 어떤 것들을 새롭게 이해하게 되었을 때, 이러한 것들이 마음챙김과 어떠한 연결성 또는 관련성이 있는지 질문했다. 마음챙김과 연결된 것들은 내가 그것들에 열망할 처음부터 명확하고 정확했다. 게슈탈트와 소매틱스가 그러했다. 그렇다면 이와 반대로 깊은 명상과 마음챙김 탐구를 통한 코칭에서 필자가 아직 고려해보지 못한 코칭이 있다면, 그것은 의미가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해 매우 자주 필자는 '예'라고 대답한다. 어느 순간에 필자는 마음챙김과 코칭 정의의 만 남mindfulness-meets-coaching justice에 포함할 것들이 너무 많다는 점에 압도당했다. 그래서 혹시 이 책이 모든 인간의 병과 고생을 위한 치료제로서 마음챙김을 위한 장황한 판매권유로 변하게 될까봐 걱정했다. 이 는 당신이 코치라면 반드시 위험을 각오해야 하고 지나쳐야 할 점이다.
이 책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작가, 코치, 신흥 연구원 모두가 필자에 게 계속해서 질문을 했다. 더구나 첫 번째 초안을 작성한 뒤 다시 그것 을 살펴볼 때는 생각을 즐겨하는 습관을 지니고 있었지만, 매우 힘들었다(비록 여전히 편견이 있긴 했지만). 필자는 여전히 마음챙김과 코칭이 아름다운 파트너십을 만든다는 점을 확신한다. 또한 모든 코치 교육 프로그램에 마음챙김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코치들 이 수행의 많은 다른 요소, 곧 프레즌스, 라포, 공감, 깊은 경청 등을 개발하고 돌볼 것으로 기대한다. 때로는 우리가 모든 수행을 하는 방법에 대해 충분히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느낀다. 필자는 마음챙김이 모든 리더십, 기타 직원 성장 프로그램, 모든 학교 교육 프로그램 등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연관성에서 필자가 2012년 마인드풀니스 앳 워크 컨퍼런스Mindfulness at Work Conference에서 마이클 차스칼슨 Michael Chaskalson과 함께 있었을 때가 생각난다. 그때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마음챙김이 당신을 괴롭히는 것의 만병통치약일 수 있다고 믿는다. 또한 당신이 정신 상태를 더 잘 관리한다면 일이 더 잘 될 것이라고 믿는다. 마음챙김은 기본적인 정신 위생이다. 또한 마음챙김은 우리 모두가 학교에서 배웠어야 할 기본적인 인간 기량이다. 나는 마음챙김과 다른 모 든것들의평등을제공하는기관들이그렇지않는기관들에비해더잘할 것이라 믿는다. 모든 관리 기술 중에서 마음챙김이 가장 효과적이다.
필자는 마음챙김과 유사한 접근법과 그것을 드러내기 위해 노력해 왔다. 그렇다고 마음챙김이 모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실제로 마음챙김도 거대한 세계 가운데 작은 하나라고 생각한다. 그런데도 필자는 마음챙김이 필자는 물론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 한다. 확신한다. 마음챙김은 행위적 인간으로 존재being a human doing하 고, 존재적 인간으로 행위doing a human being하기 위한 완벽한 토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