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96214951
· 쪽수 : 331쪽
· 출판일 : 2017-11-04
책 소개
목차
임진왜란의 시작, 경과, 반성을 말해주는 두 사람
안동 학봉 기념관, 충효당, 임천서원 · 12
임진왜란 초기 공신인가? 의병 학살범인가?
예천 용궁 향교, 별좌공 종택 · 42
‘뭍의 이순신’ 정기룡 장군 유적
김천 추풍령, 상주 충의사 · 51
조선 중앙군이 처음으로 일본군과 싸운 장소
상주 임란 북천 전적지 1 · 59
이일을 위한 정경세와 류성룡의 변명
상주 임란 북천 전적지 2 · 85
여섯 살 딸과 함께 절벽에서 뛰어내렸다
구미 도선굴, 김정무 정려비, 변씨 정려각 · 93
살던 집도 쓴 일기도 모두 보물로 남긴 사람
상주 양진당 · 99
조선 형제의 우애에 감동한 중국 화가의 그림
상주 체화당 · 106
팔다리 잘려 순국했는데 실록은 ‘도망자’로 기록
문경 새재, 신길원 비 · 112
나라 있는 줄만 알았지 내 몸 있는 줄은 몰랐구나
고령 김면 장군 유적지 · 123
왜적의 낙동강 이용을 막은 뜻깊은 의병 승전지
고령 무계 · 130
아버지가 전사하니 딸도 따라 죽었다
성주 배씨정 · 138
내가 왜적에게 죽으면 저 바위가 검게 변할 거요
고령 도진리 · 142
나라 곳곳에 임란 유적, 그만큼 컸던 임진왜란 피해
고령 쌍림면 임진왜란 유적 · 152
왜적 피해 숨었던 백성들, 갇혀서 굶어 죽었다
울진 성류굴 · 159
1592년 피해를 입지 않았던 ‘복 받은 땅’
봉화 충렬사, 육백 의총 · 168
일본군의 봉화 진입을 막은 노루재 전투
봉화 노루재 임란 의병 전적 기념비 · 178
사과 열매 붉어 아름답지만 지금은 끊겨버린 길
봉화 각화사, 노루재 옛길 · 187
배설, 사명대사, 정기룡, 선산 의병들의 자취
구미 금오산성 · 196
배설이 증축하고 곽재우가 일본군을 격퇴한 전적지
구미 천생산성 · 212
선조가 죽이려던 이순신을 구해낸 정승
예천 도정서원 · 226
임진왜란 초기 큰 역할을 한 광해군의 스승
예천 정충사 · 236
조선 시대에도 현대에도 줄곧 ‘무고’를 당한 장수
성주 도남서당, 숭조대 · 250
명나라 장수는 슬프다, 400년이나 지났는데
성주 대명단, 풍천재 · 269
노모 위해 밤마다 180리를 왕복한 효자
고령 성풍세 효자비 · 282
포로로 잡은 적장의 가짜 편지로 얻은 대첩
고령 둔덕 · 288
한 기사에서 정반대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 실록
상주 도남서원 · 295
죽은 지 250년 만에 발견된 ‘임진왜란 일기’
영양 오극성 고택 · 302
임진왜란 연표 · 약사 · 314
저자소개
책속에서
<경북 서부 북부 임진왜란 유적 답사여행 순서>
경상북도의 서부와 북부 지역에 있는 임진왜란 유적들을 답사하는 순서를 소개합니다. 영덕에서 출발하여 영양과 울진까지 북상했다가 봉화를 향해 서쪽으로 산맥을 넘습니다. 동해안에서 봉화와 안동으로 가는 고갯길은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넘었던 침략의 길이기도 합니다. 안동에서 서쪽으로 더 나아가 예천과 문경의 유적을 둘러본 뒤 남하하여 상주, 김천, 성주, 고령까지 내려가면 임진왜란 당시 경상우도 일원 중 현재의 경상남도 서부 지역만 제외한 지역을 두루 답사하는 여정이 됩니다. 책은 이 먼 여정을 최대한 시간 소모를 줄이면서 다닐 수 있는 순서를 제시합니다. 권두에 답사 순서부터 실은 이후 본문을 시작하는 것은 그만큼 이 책이 친절한 안내서라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서입니다.
* 영덕 01. 난고 종택 국가민속자료 271호, 영해면 원구리 194
02. 경수재 유형문화재 297호, 원구리 112-1
* 영양 03. 오극성 고택 문화재자료 498호, 영양읍 대천리 595
* 울진 04. 명계 서원 기성면 정명리 989
05. 해월헌 민속자료 156호, 기성면 사동리 433
06. 성류굴 천연기념물 155호, 근남면 구산리 산30
* 봉화 07. 노루재 옛길 법전면 어지리 42-1 일원
08. 노루재 임란 의병 전적 기념비 소천면 소재지 쪽 고개 끝 지점
09. 충렬사, 육백 의총 소천면 현동리 848
10. 각화사 춘양면 석현리 559
* 안동 11. 임천 서원 기념물 164호, 송현동 740
12. 학봉 고택 기념물 112호, 서후면 금계리 856
13. 소계 서당 문화재자료 16호, 서후면 금계리 870-2
14. 안동 예안 이씨 충효당 보물 553호, 풍천면 하리리 189-1
15. 병산 서원 사적 260호, 풍천면 병산리 30
16. 안동 하회 양진당(입암 고택) 보물 306호, 풍천면 하회리 729
17. 안동 하회 충효당 보물 414호, 풍천면 하회리 656
* 예천 18. 도정 서원 문화재자료 142호, 호명면 황지리 447
19. 별좌공 종택 민속자료 71호, 호명면 송곡리 446
20. 정충사 예천읍 고평리 466
21. 용궁 향교 유형문화재 210호, 용궁면 향석리 266
22. 삼강 강당 문화재자료 204호, 풍양면 삼강리 70
* 문경 23. 신길원 충렬비 유형문화재 145호, 문경읍 상초리 340-1
24. 문경 새재 명승 32호, 신길원 충렬비에서 입산
* 상주 25. 대산루, 계정 유형문화재 156호, 외서면 우산리 193-1
26. 경천대 사벌면 삼덕리 산12-3
27. 도남 서원 도남동 175-1
28. 충의사 기념물 13호, 사벌면 금흔리 324-1
29. 정기룡 장군 묘소, 신도비 기념물 13호, 충의사 동쪽 800m
30. 임란 북천 전적지 기념물 77호, 만산동 699
31. 존애원 기념물 89호, 청리면 율리 353
32. 창석 사당 문화재자료 178-2호, 청리면 가천리 587
33. 체화당 문화재자료 178호, 청리면 가천리 650
34. 오작당 민속자료 32호, 낙동면 승곡리 132-2
35. 양진당 보물 1568호, 낙동면 승곡리 214-3
36. 장천 서원 양진당 동쪽 200m 당진영덕고속도로 터널 직전 왼쪽
* 구미 37. 초계 변씨 정려각 도개면 신곡리 563
38. 선산 삼강 정려 문화재자료 333호, 고아읍 봉한리 911-238
39. 김종무 충신 정려비 기념물 132호, 고아읍 원호리 산14
40. 천생산성 기념물 12호, 장천면 신장리 산42-1에서 입산
41. 금오산성 기념물 67호, 남통동 산24-9에서 입산
42. 추풍령 충북 영동군 추풍령면 추풍령리 212 도로 건너편 노래비
* 성주 43. 부상현 성주 초전면 용봉리-김천 남면 월명리 고개
44. 배씨정 성주읍 예산리 100 예동노인회관 뜰
45. 쌍충 사적비 유형문화재 61호, 성주읍 경산리 295-1
46. 성주성 터 쌍충 사적비 옆
47. 도남서당, 숭조대 대가면 도남리 123
48. 모명재 수륜면 보월리 349
49. 대명단, 풍천재 용암면 문명리 1258
* 고령 50. 성풍세 효자비 문화재자료 112호, 다산면 나정동 127
51. 무계 성산면 무계리
52. 개진포 개진면 오사리 개경포 기념공원
53. 낙락당 우곡면 도진리 130
54. 죽연정사 우곡면 도진리 101-2
55. 문연서원 유허비 우곡면 도진리 입구
56. 염수재 운수면 대평리 805
57. 내화재 운수면 화암리 291
58. 둔덕, 낫질못 고령읍 중화리 덕촌마을
59. 반룡사 쌍림면 용리 187
60. 김면 장군 유적지 기념물 76호,
61. 점필재 종택 민속자료 62호, 쌍림면 합가리 84 개실마을
62. 죽유 종택 기념물 139호, 쌍림면 송림리 96-3
63. 학매정 쌍림면 하거리 494
64. 벽송정 문화재자료 110호, 쌍림면 신촌리 산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