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경주 남산 낭산 역사와 답사

경주 남산 낭산 역사와 답사

정만진 (지은이)
국토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2,42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경주 남산 낭산 역사와 답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경주 남산 낭산 역사와 답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88701636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5-01-01

책 소개

경주 남산을 골짜기별로 소개한 부분으로, 경주 남산을 가장 효율적으로 또 교육적으로 일주하는 여정도 안내하고 있다. 주요 문화유산마다 세밀한 해설과 사진을 덧붙였다. 또한 경주 남산을 시대별로 소개하고 있다.

목차

남산 전체 지도 10
• 박씨 임금들의 영원한 안식처, 남산 서쪽 (지도 25)
― 경애왕릉 12 / 삼릉 14 / 배리 삼존석불 입상 21
지마왕릉 23 / 포석정 24 / 삼릉계곡 43(지도 26)
• 신라 역사가 시작된 남산 서북쪽 (지도 63)
― 창림사 터 51 / 남간사 터 당간지주 54
일성왕릉 56 / 나정 ‧ 양산재 58
• 석굴암과 황룡사 탑 원형이 있는 남산 동북쪽 (지도 65)
― 상서장 66 / 불골 할매부처 68 / 탑골 부처바위 71
보리사 석불좌상 75 / 보리사 마애불 77
• 설화와 역사가 어우러진 남산 동쪽 (지도 100)
― 헌강왕릉 80 / 정강왕릉 83 / 서출지 84
남산동 쌍탑 86 / 전 염불사 터 쌍탑 87
칠불암 마애불상군 90 / 신선암 보살반가상 96
• 김시습이 〈금오신화〉를 쓴 남산 남쪽 (지도 115)
― 지곡 삼층석탑 103 / 설잠교 105 / 용장사 터 107
삼화령 연화대좌 116 / 경주 남산 일주 여정 120
• 경주 남산 시대순 역사 121
― 박혁거세 125 / 나정 131 / 양산재 132 /
표암 133 / 우현서루 135
지마 ‧ 일성 ‧ 아달라왕 141 / 소지왕 146
― 탑골 부처바위 147 / 최영▮선덕여왕과 현진건 150
― 불골 할매부처 152 / 헌강왕 155 / 정강왕 157
― 진성여왕 157 / 경명 ‧ 경애왕 158 / 김시습 159
• 경주 낭산 답사 164
― 장사 벌지지 164 / 망덕사 터 167
망덕사 터 당간지주 168 / 선덕여왕릉 170
― 사천왕사 터 183 / 능지탑 186 / 중생사 190
• 불교 기초 지식 28
― 불교 태동 29 / 불교 사상 30 / 불상 33
수인 38 / 법당 ‧ 탑 41

저자소개

정만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진건학교 교장, 월간 <빼앗긴 고향> 발행인. 대구한의대학교 문화콘텐츠학부 외래교수, 국립 안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대구외고 교사 등 역임. (저서)<문학교육론>, 장편소설 <의열단>, <광복회>, <한인애국단>, <일장기를 지워라>, <딸아 울지 마라>, <백령도>, <대구 비슬산 역사문화자연유산 답사여행>, <대구 팔공산 역사문화자연유산 답사여행>, <대구 앞산 역사문화자연유산 답사여행> 등. 최근작 : <한강 소설 이해>,<재미있는 인문학 뇌운동> 등.
펼치기

책속에서

1927년, 경애왕은 이름 그대로 ‘슬픈’ 왕이 되고 만다. 견훤이 고울부(경북 영천)에서 신라 군대를 공격했다. 경애왕은 왕건에게 구원을 요청했고, 왕건은 정병 1만을 출동시켰다. 그러나 거리가 먼 탓에 왕건 군대는 늦었다.
견훤은 왕건 원병 도착 전에 잽싸게 경주를 습격했다. 《삼국사기》는 ‘경애왕이 왕비, 후궁 등을 데리고 포석정에서 연회를 즐기며 놀고 있었다. 적병이 오는 것도 몰랐다.’라고 증언한다. 경애왕을 시원찮은 군왕으로 역사에 각인시킨 기술이었다.
왕릉 앞 안내판도 무덤 크기와 위치 소개 외에는 ‘포석정에서 연회를 베풀고 있다가 견훤의 습격을 받아 생을 마쳤다.’가 주된 설명이다. ‘연회’가 경애왕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더욱 증폭시킨다. 경애왕은 자신에 대한 역사적 평가가 억울하지 않을까? 포석정 답사 때 더 알아보기로 한다(24쪽 참조).


삼화령 연화대좌에 앉아 경주 남산의 주요 문화유산들을 ‘왔다 갔다’ 또는 ‘내려갔다 올라갔다’ 하는 시간과 힘 소모 없이 효율적으로 답사할 수 있는 순서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고 정리해본다. 앞에 한번 제안했지만, 삼화령 연화대좌를 포함하고 중요도를 감안해서 재차 결론을 내어보면 아래와 같다.
경주 남산 일주 여정 : 상서장 - *경주(이하 생략)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속칭: 부처골 감실석불, 할매부처) -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탑골 부처바위) - *남산 미륵곡 석조여래좌상(보리사 석불좌상) - 보리사 마애석불 - 헌강왕릉 - 정강왕릉 - *서출지 - 남산동 동서 삼층석탑(남산동 쌍탑) - 전 염불사 터 동서 삼층석탑(염불사 쌍탑) -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칠불암) -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신선암) - 남산 용장계 지곡 제3사지 삼층석탑 - 설잠교(에서 가파른 오르막을 올라) - **용장사 터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삼륜대좌불),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 - 삼화령 연화대좌(에 갔다가 되돌아서) - 삼릉 계곡 - 삼릉, 경애왕릉 - 배동 석조여래 삼존입상(배리 삼존석불) - 지마왕릉 - **포석정 - 창림사 터 삼층석탑 - 남간사 터 당간지주 - 일성왕릉 - 양산재 - **나정(**가장 중요, *중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