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88701629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5-01-01
책 소개
목차
▩ 책을 펴내며 ‧ 198
▩ 팔공산의 역사와 문화 계승 ‧ 05
▩ 팔공산 주요 유산 일람 ‧ 18
답사 일주 순서 ‧ 18 / 팔공산의 규모 ‧ 20 / 이름 유래 ‧ 21
등산로, 동화사 ‧ 23 / 파계사, 부인사, 송림사, 도덕암 ‧ 25
가산산성, 가산바위 ‧ 27 / 갓바위 ‧ 28
팔공산 전경을 보려면 ‧ 28
▩ 팔공산은 독립운동 유적 ‧ 29
▩ 왕건 유적 ‧ 30 / 신숭겸 유적지 ‧ 45
▩ 가산산성, 그리고 대구의 성들 ‧ 51
▩ 공산산성 ‧ 61 / 오도암, 원효굴 ‧ 69
▩ 동화사 ‧ 70 / 마애여래불좌상 ‧ 74 / 봉황문 ‧ 78
당간지주, 사적비 ‧ 81 / 통일 대불 ‧ 83 / 도학동 승탑 ‧ 84
금당암 동서 삼층석탑, 극락전, 수마제전 ‧ 85
영남치영아문, 대웅전, 심검당, 조사전 ‧ 96
비로암 비로자나불좌상, 삼층석탑 ‧ 101
▩ 염불암 청석탑, 불상 2기, 일인석 ‧ 108
▩ 파계사 ‧ 111 / 송정동 석불입상 ‧ 111
영조대왕 도포 ‧ 112 / 파계사 답사 순서 ‧ 113
진동루, 원통전 ‧ 114 / 관음보살좌상, 수미단 ‧ 118
신령각, 기영각, 설선당, 적묵당 ‧ 120 / 성전암 ‧ 122
신무동 마애불좌상 ‧ 123 / 용수동 당산 ‧ 124
▩ 부인사 ‧ 125 / 답사 순서 ‧ 126 / 대장경 ‧ 129
임진왜란과 부인사 ‧ 133
다시 부인사를 찾으며 ‧ 143
▩ 선본사 ‧ 149
▩ 갓바위 ‧ 155 / 다시 갓바위를 찾으며 ‧ 165
▩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 169
▩ 송림사 ‧ 172 / 칠곡 기성리 삼층석탑 ‧ 172
오층전탑 ‧ 174 / 석가여래삼존좌상 ‧ 175
아미타여래삼존좌상 ‧ 177 / 삼장보살좌상 ‧ 178
▩ 북지장사 지장전 ‧ 180 / 지장보살좌상 ‧ 181
삼층석탑 ‧ 182 / 수릉 향탄 금계 표석 ‧ 182
▩ 팔공산 단풍 ‧ 184
▩ 팔공산의 폭포 ‧ 188
저자소개
책속에서
봉서루 뒤쪽 지붕 아래, 대웅전을 마주 보는 지점에 ‘영남치영아문嶺南緇營牙門’ 현판 복제품이 걸려 있는 광경을 볼 수 있다. 영남치영아문은 임진왜란 당시 사명대사가 이곳 동화사를 영남 지역 승병 부대緇營를 설치해두고 지휘하는 관서牙門로 활용했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증거물이다. 현판 진품은 물론 성보 박물관에 있다.
영남치영아문 현판이 봉서루의 지붕과 창 사이에 걸려 있어 사진을 찍으면 대웅전 전경이 비친 멋진 작품이 나온다. 그저 현판만 덜렁 찍을 것이 아니라 주의깊게 신경을 기울여 훌륭한 그림을 창작할 일이다. 그렇게 성심을 기울이는 행동은 사명대사에 대한 예의이자 우리 역사를 사랑하는 올바른 자세이기도 하다.
부인사 답사 순서
(1) 주차장 위 부도(유형문화유산, 136쪽에 사진) 감상, 부도의 주인 승려의 호 '隱通堂' 찾기, 안내판 읽기
(2) 주차장과 부인사 사이 거대 고목들 아래에 줄지어 놓여 있는 ‘부인사 터' 석재들을 보며 몽고군의 침략과 소실된 초조대장경 생각해보기
(3) 석재들의 오른쪽 계단을 통해 사찰 정면으로 들어가 (안내판을 읽으며) 서탑(유형문화유산) 보기
(4) 하얀 화강암으로 된 동탑을 보며 문화유산의 시간적 가치에 대해 생각
(5) 쌍탑과 종무소 사이 (안내판을 보며) 석등(유형문화유산) 보기
(6) 경내로 들어가 명부전 앞 (안내판을 보며) 일명암터 석등(문화유산자료) 보기
(7) 범종각 옆에 서서 팔공산 정상(임진왜란 때 백성들이 피란을 갔던 공산성)을 바라보며 전쟁의 문제점, 의병 창의 정신에 대해 생각하기
(7) 숭모전을 둘러보며 선덕여왕 생각하기(음력 3월 15일에 개방하는 숭모전 안 선덕여왕 초상 감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