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96296032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18-12-31
목차
제1부 평창올림픽과 한반도
■ 2018년 김정은 신년사 평가와 한반도 정세전망 / 이성우
■ 평창올림픽과 미국의 대북정책 / 김연호
■ 평창 이후 남북 교류협력 찾기: 협력안보와 평화공영으로 / 양길현
■ 평창 동계올림픽을 통한 남북한 교류협력과 이후 전망 / 정영태
■ 평창올림픽 사이버 공격: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 한인택
■ 만약 북한에서도 오(誤)경보가 발생한다면? / 한인택
■ What If There Is A False Alarm In North Korea? / Han Intaek
■ 한반도 방정식: 미중관계와 한반도 평화 / 김태완
제2부 비핵화를 위한 노력
■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달성의 장애물과 전제조건 / 이성우
■ 북한과 어떻게 외교를 할 것인가: 비핵화에만 집중하는 전략은 잘못이다 / Philip Zelikow
■ How Diplomacy with North Korea Can Work: A Narrow Focus on Denuclearization Is the Wrong Strategy / Philip Zelikow
■ 与北韩的外交之道: 只关注无核化非良策 / Philip Zelikow
■ 북한의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국제정치 / 이성우
■ Time is limited for the Korean Peninsula Peace Process / Caroline Kearney
◈ 한국
■ 북한의 협상태도 변화를 통해본 남북정상회담과 한반도 비핵화 전망 / 문성묵
■ 한반도 비핵화과정에 따른 평화체제의 가능조건과 전망 / 황수환
■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우리의 인식전환 / 이성우
■ 한반도 정세의 전환과 비핵화 전망 / 이성우
■ 북한 위성사진 분석의 과학과 정치학: 삭간몰 미사일기지 논란 / 김연호
◈ 미국
■ 성공적 핵무기 폐기 협상의 사례와 함의: 1987년 워싱턴 정상회담 / 한인택
■ 한국과 미국의 정당정치 재편성과 한반도 평화체제 전망 / 이성우
■ 미국의 중간선거 결과와 한반도 비핵화: 비핵화의 전망에 대한 wishful thinking / 이성우
■ 미국 중간선거 이후 미북정상회담과 한반도 비핵화 전망 / 홍양호
■ 이란핵합의 파기와 미국의 선거정치: 북핵협상에의 함 / 한인택
■ 화씨 11/9에 나타난 미국 국내정치를 통해본 한반도 비핵화 전망 / 이성우
◈ 중국
■ 북미 싱가포르 회담에 있어서 ‘중국 요소’ / 이성현
■ 중국과 북한 비핵화에 대한 전망 / Zhiqun Zhu
■ China and the Prospect for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 Zhiqun Zhu
■ 한반도 비핵화와 중국의 전략적 접근 / 이상만
◈ 일본
■ Japan’s Continuing Scepticism towards Korean Denuclearization / James D. J. Brown
■ 일본의 대한반도 정책 변화의 가능성과 전망: 비핵화, 납치문제, 영토 그리고 역사인식의 고차 함수 / 김용민
■ 한일관계에 대한 일본의 정책변화 및 한반도 비핵화와 북일국교정상화에 대한 일본의 정책전망 / 손현진
제3부 한국의 대외관계
◈ 신남방 외교
■ South Korea in India’s Indo-Pacific Vision: Impressions post-Moon Jae-In’s Visit / Jagannath Panda
■ 인도의 ‘인도-태평양’ 구상과 한국: 문재인 대통령 방문 이후의 인상 / Jagannath Panda
■ Historical Opportunity for OBOR and NAPCR’s Strategic Connection / Jiao Shixin
■ 지속가능한 신남방 정책: 필요성과 방안 / 한인택
◈ 한중관계
■ 한중 정상회담의 성과와 한중관계 발전방안 / 원동욱
■ 한반도에 대한 중국인의 역사의식과 중국의 현실적 대한반도 정책 / 김진호
제4부 주요국의 정치와 외교
◈ 미국
■ 2017 미 국가안보전략 보고서에 대한 논의 / 이성우
■ 강력한 지도자(strongman)를 바라는 강대국 국내정치의 위험성 / 이성우
■ The US-Taiwan Joint Military Exercise and its Policy Implication: A Comparative Perspective with ROK-US Joint Military Exercise / Yu Max Tsung-Chi
■ 미국-대만 합동군사훈련의 정책적 함의: 한-미 합동군사훈련과의 비교적 시각에서 / Yu Max Tsung-Chi
◈ 중국과 러시아
■ 다시 중국으로 향하는 미얀마: 동남아에서 중국의 입지는강화되는가? / 장준영
■ 시진핑의 ‘변증법’적 사관으로 본 미중 무역전쟁 / 이성현
■ 대선 이후 러시아 대외정책 전망: 대미, 대한반도 정책을 중심으로 / 제성훈
■ 미러 외교관 추방의 정책적 함의와 국제관계 전망 / 고상두
◈ EU
■ EU의 선도후보 선출 과정(Spitzenkandidaten Process) 논란이 의미하는 것은? / 도종윤
■ 6.12 북미정상회담 이후 EU의 평가와 대 한반도 정책 전망 / 도종윤
제5부 지역협력과 지역간주의
■ 간지역주의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이무성
■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OSCE 모델의 유용성 / 이승근
■ 지역간협의체 아셈(ASEM)의 유용성에 대하여 / 박선희
■ 동북아에서 지역 원자력 협력의 필요성과 한국의 역할 / 조은정
■ EU-ASIA Interregional Cooperation: New Age Dawning / Steven Blockmans
■ EU 문화외교 변화에 따른 지역허브로서의 한국의 문화교류 전략 / 김새미
■ ‘녹색 에너지 ODA’를 위한 동아시아-유럽 지역간 협력 / 윤석준
■ Achieving Peace and Stability: Drawing Some Best Practices from Southeast Asia / Raymund Jose G. Quilop
제6부 외교의 새로운 영역
■ 협상분석 틀을 통해 본 한반도 대화국면 / 이동휘
■ 협상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중재외교’ / 이동휘
■ ‘국민외교’의 출발과 가야할 길 / 김준형
■ 하드웨어 해킹의 위협과 국제협력의 필요성 / 한인택
저자 프로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