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내셔널리즘 이론

내셔널리즘 이론

조영정 (지은이)
사회사상연구원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내셔널리즘 이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내셔널리즘 이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96352059
· 쪽수 : 331쪽
· 출판일 : 2021-12-24

책 소개

현대 내셔널리즘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내셔널리즘 사상가들의 생각을 정리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내셔널리즘에 대한 기본지식과 이론의 배경이 되는 서양의 내셔널리즘 역사를 담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내셔널리즘 기본개념
제1절 내셔널리즘은 무엇인가?

1. 용어 정립의 필요성
2. 내셔널리즘의 정의
3. 내셔널리즘과 민족주의의 비교
4. 인접 용어와의 관계
5. 해결 방안
6. 국인 국인주의 용어 사용의 필요성
7. 본서에서의 용어 사용
제2절 국인주의의 기본 사상
제3절 국인주의의 표출 형태
제4절 국인의 요소

1. 객관적 요소
2. 주관적 요소
제5절 국인주의의 유형
1. 국인주의 유형의 구분
2. 유형
제6절 국인주의와 애국심
제2장 서양의 내셔널리즘 역사
제1절 용어의 유래

1. 국 인
2. 국인주의
제2절 유럽 국인주의의 역사
1. 근대 이전의 유럽
2. 사회사상의 발전
3. 유럽 국인주의의 생성과 확산
4. 제국주의
5. 범게르만주의, 범슬라브주의와 제1차 세계대전
6. 통합 국인주의
7. 전후의 국인주의
제3장 내셔널리즘 이론 선구자들
제1절 18~19세기 사상가들

1. 쟌자크 루소
2.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
3.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
4. 죤 스튜어트 밀
5. 죤 액톤
6. 주세페 마찌니
7. 죠셉 어네스트 르낭
제2절 사회주의에서의 내셔널리즘
1. 칼 마르크스와 프레드리히 엥겔스
2. 칼 카우츠키
3. 블라드미르 레닌
4. 죠셉 스탈린
5. 로자 룩셈부르크
6. 오토 바우어 183
제3절 제1차 세계대전 후의 내셔널리즘 연구
1. 칼톤 헤이스
2. 한스 콘
3. 에드워드 핼릿 카
제4절 제2차 세계대전 후의 내셔널리즘 연구
제4장 내셔널리즘 이론
제1절 원초주의

1. 내 용
2. 사회생물학적 접근
3. 문화주의적 접근
4. 비 판
제2절 영속주의
1. 내 용
2. 비 판
제3절 근대주의
1. 근대주의 이론
2. 정치적 이념적 측면
3. 경제 사회적 측면
4. 사회 문화적 측면
5. 도구주의
6. 근대주의 비판
제4절 민족상징주의
1. 내 용
2. 비 판
제5장 내셔널리즘 이론의 문제점
제6장 결론
참고문헌
색 인

저자소개

조영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회사상을 연구하는 사회과학자다. 그는 대학교수로 있다가 한국 대학의 현실에 실망하고 연구에 더 많은 시간을 내고 싶어 교수직을 그만두었다. 그는 한국이 선진사회로 가는데 책의 역할이 크다고 생각한다. 이런 면에서 그가 본 우리의 현실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한국에는 첨단의 지식을 가진 훌륭한 분들이 많지만, 그 지식을 담은 책은 많이 나오지 않는다. 오늘도 한국의 학자들은 외국 학회에 발표할 영어 논문을 쓰느라 바쁘다. 한국인들과는 책을 통하여 지적 교류를 할 여유가 없는 것이다. 한국의 전문서적은 대부분 외국전문가들이 쓴 외국 책의 번역서이다. 이들 중 대다수가 날림으로 번역되어 원저자의 뜻을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고 있으며, 책 속에 한국사람의 입장은 없다. 그래서 한국사람들 또한 책을 외면하여 한국인 지적 세계는 날로 황폐해져 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지식측면에서 한국은 선진국으로부터 점점 더 멀어져 가고 있다. 그는 한국인의 지적 수준이 향상되고 지식 문화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한국도 선진국처럼 일반 독자들과 함께할 수 있는 전문서적이 많이 출간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는 지금 내셔널리즘 전문 연구자로서 이에 대한 많은 연구서를 발간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지식강국으로 발전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경력> 고려대학교 대학원 무역학과(학/석/박사) 미국 Harvard University, Kennedy School, Executive 과정 수료 미국 U.C. Berkeley 객원교수 현 사회사상연구원장 <저서> 『스포츠 내셔널리즘』, 사회사상연구원, 2022 외 16편. <논문> “WTO 다자간 무역협정에서의 최혜국대우”,『한국 국제통상학회』, 1998 등 수 십여 편.
펼치기

책속에서

본서는 내셔널리즘 이론에 대하여 심도있는 내용을 담고 있으면서도 일반인들도 이해하게 쉽도록 많은 예를 들어가며 자상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 전개형태를 단락의 예로서 보면 다음과 같다.

최근 중국의 인터넷 백과사전 바이두나 위키피디아에서 세종대왕이나 김구와 같은 위인이나 김연아와 같은 한국의 세계적인 명사를‘조선족’으로 표기하고 있는 사실을 알고, 한국인들이 분노하였다. 한국인들이 분노하는 이유는 다음 두 가지 중 하나일 것이다. 하나는 이 조선족이라는 말로서 우리를 중국 내의 하나의 민족과 같이 취급하고 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엄연한 나라로서의 한국이고, 그 속의 한국사람을 민족으로 표현했다는 것이다. 어느 것이든 민족으로 취급당할 수 없는 우리가 민족으로 취급당하는 모욕을 받은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 스스로부터 우리를 칭하는 말로서 민족이라는 표현보다는 나라사람으로서의 국인이라는 표현을 쓰야함은 자명하다.
**********
국인주의(nationalism)와 대중주의(populism)가 함께 일어나는 것은 특별히 이상한 것은 아니다. 대중주의는 일반 대중들의 요구에 따르는 정치 이념이다. 대중주의는 대다수 군중을 기반으로 하고, 국인주의 또한 일반 군중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그 성격상 국인주의를 동원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이트웰과 굳윈(Roger Eatwell & Matthew Goodwin)은 『국인 대중주의』(National populism-The revolt against Liberal democracy)에서 4D (Four Ds’)라 하여 자국중심의 대중주의 저변에 흐르는 기류로서 다음 네 가지를 들었다.
**********
헤르더(Johann Gottfried Herder)는 어떤 의미에서 모든 인간의 완성은 국인적인 것이라고 하였다. 그는 국인의식을 잃은 사람은 그 자신을 잃은 것이고, 자신에 관한 세상 모두를 잃은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하였다. 또 국인국가 안에서는 국인(volk)이라는 오직 하나의 계급만 있고, 여기에는 왕과 농민이 하나의 같은 계급이 된다고 하였다. 국인국가는 군중(rabble)이 아닌 국인(volk)들로 이루어지는 사회이며, 위계는 있어도 계급은 없는 사회라고 하였다.
**********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공산당선언에서 “노동자에게는 조국이 없다”고 하였다. 이 말을 두고 정말 노동자는 조국이 없는 것으로 말한 것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지만 그게 아니다. 이 말은 우리가 흔히 듣는 세간의 지식 내용과 그 의미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노동자에게는 조국이 없다고 한 것은 정말로 조국이 없다는 말이 아니라, 국가 내에서 국인으로서 인정을 받지 못한다는 말이다. 즉, 자국 내에서 그들은 존재감이 없어서 별로 기대할 것이 없다는 의미인 것이다.
**********
베르게(Pierre van den Berghe)는 사회생물학적인 관점에서 확장된 혈연선택으로 민족(ethnic group)과 국인(nation)을 설명하였다. 민족이란 혈연으로 연결된 관계로서 하나의 거대한 가족이라는 것이다. 민족은 친족보다는 혈연적 거리가 멀기 때문에 이타심이 혈연적 거리가 가까운 친족에서만큼은 강하지 않지만 그래도 이타심이 작용한다. 그래서 자민족에 대한 애착은 약화된 혈연선택이다. 자민족은 자신과 혈연적 연관성이 전혀 없는 이민족보다 자신의 유전자를 더 많이 공유하기 때문에 당연히 자신이 아끼고 사랑하게 된다는 것이다.
**********
겔너(Ernest Gellner)는 산업화로 인하여 국인주의(nationalism)가 발생하였고 그래서 국가가 만들어졌기 때문에 산업화 이전에 국인(nation)이나 민족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이러한 주장은 실제 역사와 맞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학자들은 국인주의가 산업화와 무관하게 혹은 산업화가 되기 훨씬 이전에 일어난 경우도 많았다고 말한다. 실제로 독일에 국인주의가 일어났을 때 산업화는 전혀 되지 않았고, 영국에서는 산업화가 되기 150~200년 전에 국인주의가 일어났으며, 마찬가지로 그리스에 국인주의가 일어났을 때 산업화와는 거리가 멀었다는 것이다.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