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민족주의
· ISBN : 9791196352042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21-07-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민족, 민족주의 용어 문제
제2장 네이션, 내셔널리즘
1. 네이션, 내셔널리즘 정의
1) 네이션
2) 내셔널리즘
2. 네이션, 내셔널리즘 역사
1) 용어
2) 유럽에서의 국가
3) 네이션의 탄생
3. 네이션의 요소
1) 객관적 요소
2) 주관적 요소
4. 내셔널리즘 유형
1) 공민 내셔널리즘
2) 민족 내셔널리즘
제3장 민족, 민족주의
1. 민족주의 용어 도입
1) 동아시아의 네이션, 내셔널리즘 개념 도입
2) 한국의 민족, 민족주의 용어 사용
2. 민족, 민족주의 정의
1) 민족
2) 민족주의
3. 민족, 민족주의의 전근대성
제4장 내셔널리즘과 민족주의
1. 내셔널리즘과 민족주의 비교
1) 네이션과 민족
2) 내셔널리즘과 민족주의
2. 인접 용어와의 관계: 국민, 시민, 인민
3. 네이션과 국민
1) 네이션과 국민의 차이
2) 국민, 국민주의
4. 용어의 불일치 문제
1) 네이션과 민족
2) 네이션이 민족이 된 경위
3) 무엇이 문제인가?
제5장 해결방안
1. 한국 고유의 네이션 관련 용어
1) 나라사람 관련 용어
2) 민족 관련 용어
3) 과거 우리말과 민족이라는 용어
4) 나라에서의 인과 민
2. 해결 방안
1) 국 인
2) 국인주의
제6장 국인이라 해야 하는 이유
제7장 결론
참고문헌
색 인
저자소개
책속에서
민족이라 함으로써 이 말이 우리의 사고를 어떻게 왜곡시키는지 예를 하나 들어보자. 김씨는 대학친구들과 오늘날의 세상이야기를 하다가 홍콩, 대만의 중국과의 갈등문제를 이야기하게 되었다. 김씨는 중국을 두둔하고 나섰다. 그가 중국을 두둔하는 논리적 근거는 민족자결원칙이었다. 한족(漢族)들이니 한족이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씨의 논리적인 주장에 반박하는 사람은 없었고, 이 부분에서 대다수 사람들이 김씨의 말이 옳다고 생각하였다. 우리는 모두 어릴 때부터 그렇게 배우고 있다. 학습용어사전을 보면 “민족자결주의”라는 항목을 두고 있고, “민족의 문제는 그 민족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라고 하고 있다.
일본, 중국에 민족, 민족주의라는 말이 사용되면서 곧 한국에서도 사용되었다. 이 말이 한국에 들어온 것은 중국을 통해서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 민족이라는 말이 언론 매체에 최초로 등장한 것은 1900년『황성신문』의 기사에서 “백인민족”과 “동방민족”이라는 표현이었으며, 1907년 이후에 널리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성신문 1900년 1월 12일자, 칠우생(漆憂生)의 “서세동점의 기인(起因)”이라는 글은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