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보리도차제광론 2

보리도차제광론 2

쫑카파 대사 (지은이), 박은정 (옮긴이)
나란다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27,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700원
24,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보리도차제광론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보리도차제광론 2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91196365332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2-06-15

목차

역자 서문
해제
일러두기

하근기(下根器)의 도

Ⅰ. 하근기의 도로써 마음을 닦는 방법의 실제
[1] 내생을 구하는 마음 일으키기
{1} 죽음을 떠올려 이생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사유하기
{1}-<1> 죽음의 무상함을 관하지 않는 허물
{1}-<2> 죽음의 무상관을 닦는 이익
{1}-<3> 가져야 할 죽음의 두려움
{1}-<4> 죽음의 무상함을 사유하는 방법
<4>-1. 첫 번째 근본 사유: 나는 반드시 죽는다
1-가. 죽음은 어떤 것으로도 막을 수 없다
1-나. 명은 늘지 않고 끊임없이 줄어가므로 반드시 죽게 된다
1-다. 살아 있는 동안에도 법을 행할 시간이 없이 죽게 된다
<4>-2. 두 번째 근본 사유: 죽음이 언제 찾아올지 알 수 없다
2-가. 남섬부주 인간의 수명이 정해지지 않음
2-나. 죽음의 조건이 많고 삶의 조건이 적음
2-다. 몸이 유약하여 언제 죽을지 모르는 일
<4>-3. 세 번째 근본 사유: 죽을 때는 법 이외에 어떤 것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2} 내생에 태어날 선취의 행복과 악도의 고통을 사유하기
{2}-<1>악도의 고통을 사유하기
<1>-1. 지옥의 고통
1-가. 중생대지옥
1-나. 근변지옥
1-다. 한랭지옥
1-라. 독일지옥
<1>-2. 축생의 고통
<1>-3. 아귀의 고통
<2> 선취의 행복 사유하기
[2] 내생에서의 행복을 이루는 방편
[2]-{1} 불도로 들어가는 문 삼귀의
{1}-<1> 귀의의 원인
{1}-<2> 귀의처
{1}-<3> 귀의의 과정
<3>-1. 삼보의 덕을 아는 것
<3>-2. 삼보 각각의 차이를 아는 것
<3>-3. 삼보를 귀의처로 받아들이는 것
<3>-4. 다른 대상을 귀의처라 하지 않고 오직 삼보에 귀의하는 것
<4> 귀의에 따른 행(行)
<4>-1. 섭결택분의 가르침
<4>-2. 선지식의 전승에서 비롯된 가르침
2-가. 개별적 실천
가-1) 하지 않아야 할 것
가-2) 해야 할 것
2-나. 보편적 실천
{2} 모든 행복의 근원인 인과를 믿는 신심 일으키기
{2}-<1> 인과의 보편적 사유
<1>-1. 보편적 사유의 실제: 인과의 보편적 특징
<1>-2. 선업과 불선업에 대한 사유: 선과 불선의 개별적 특징
2-가. 주된 열 가지 업도(十業道)
2-나. 업과 과보
나-1) 악업과 그 과보
1)-가) 불선의 업도(악업도)
1)-나) 경중의 차이
나)-(1) 열 가지 업도의 경중
나)-(2) 그밖에 업력이 큰 경우
1)- 다) 악업의 과보
나-2)-선업과 그 과보를 사유하기
2)-(1) 선업
2)-(2) 선업의 과보
나-3) 기타 업의 분류
3)-가) 인업과 만업
3)-나) 정수업과 부정수업
{2}-<2> 인과에 대한 특별한 사유
<2>-1. 이숙의 공덕
<2>-2. 이숙의 결과
<2>-3. 이숙의 원인
{2}-<3> 인과의 사유에 따른 실천
<3>-1. 개요
<3>-2. 사력(四力)으로 업을 정화하는 법

Ⅱ. 하근기 의요가 일어난 경계

Ⅲ. 하근기 도에 대한 사견의 차단

중근기(中根器)의 도

Ⅰ. 중근기 의요 수행의 실제
Ⅰ-[1] 중근기 의요: 해탈을 희구하는 마음
Ⅰ-[2] 중근기 의요를 일으키는 방법
[2]-{1} 고(苦).집(集)을 통한 사유
{1}-<1> 고제: 윤회의 해악
<1>-1. 사제에서 고제를 가장 먼저 설하신 뜻은 무엇인가
<1>-2, 고통관의 실제
2-가. 윤회의 보편적 고통의 사유
나-1) 팔고
나-2) 육고
나-3) 삼고
2-나. 육도 윤회의 개별적 고통
{1}-<2> 집제를 통해 윤회하는 과정 사유하기
<2>-1. 번뇌가 생기는 이치
1-가. 번뇌란 무엇인가
1-나. 번뇌가 생기는 과정
1-다. 번뇌의 원인
1-라. 번뇌의 해악
<2>-2. 번뇌가 업을 쌓는 과정
2-가. 쌓게 되는 업은 무엇인가
2-나. 어떻게 업을 쌓게 되는가
<2>-3. 죽음과 생을 받는 방식
3-가. 죽음의 원인
3-나. 죽음의 마음
3-다. 몸의 온기가 사라지는 순서
3-라. 죽음 후에 중음의 형성
3-마. 중음 후에 생유(生有)에서 생을 받는 방식
[1]-{2} 십이연기를 통한 사유
{2}-<1> 십이지(十二枝)
{2}-<2> 십이지의 네 범주
{2}-<3> 몇 생이 소요되는가
{2}-<4> 요결

Ⅱ. 중근기 의요의 경계

Ⅲ. 중근기 도차제에 대한 사견의 차단

Ⅳ. 해탈도
Ⅳ-[1]-어떠한 몸으로 벗어나는가
Ⅳ-[2]-어떠한 도로써 벗어나는가
[2]-{1} 삼학의 법수
[2]-{2} 순서의 의미
[2]-{3} 삼학의 본질

부록
참고문헌
인용경전목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쫑카빠 대사 ()    정보 더보기
쫑카빠 대사의 행적은 전생의 인연과 원력에서 비롯된 것이다. 전생에 제석당왕여래帝釋幢王如來(Indraketudhvājaraja) 전에서 미래 악세惡歲에 중관사상과 금강승의 도를 널리 전하겠다고 서원하였으며 그러한 원력으로 1357년 암도지역의 쫑카 마을에 태어났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재세 시에는 바라문의 아들로 태어나 부처님께 수정염주를 공양하며 발심하였는데 부처님께서 미래에 그가 당신의 정견을 바르게 지니고 널리 알리게 될 것이라고 수기하셨다. 쫑카빠 대사가 태어나기 전에 최제 된둡 린첸(chos rje don grub: 대사의 첫 번째 스승)은 부모에게 찾아가 이 아이는 특별한 존재이니 태어나면 항상 청결을 유지하여 잘 보살피라고 당부하였다. 3세에 제4대 까르마파 롤빼도르제(rol pa`i rdo rje)로부터 우바새 계율을 받고 꾼가닝보(kun dga` snying po)라는 이름을 받았다. 같은 해에 된둡 린첸은 다시 부모를 찾아가 때가 되었음을 알리고 대사는 사원으로 가게 되었다. 7세에 된둡 린첸으로부터 사미계를 받고 롭상 닥빠(blo bzhang grags pa)라는 이름을 얻었다. 3세에서 16세까지는 은사 곁에 머물며 불교를 수학하였다. 16세가 되었을 때 ‘더 많은 공부를 하지 않으면 불법과 중생을 널리 이롭게 하지 못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배움을 위해 위 지역(티벳 중앙지역)으로 떠날 뜻을 스승께 아뢰자 스승께서도 5부 경서 가운데 반야, 중관, 인명(因明: 불교 논리학)이 중요하다고 조언하시며 배움의 길을 허락하셨다. 1373년에 중앙 지역으로 가서 17세부터 36세까지 20년 동안 인도와 티벳 논사들이 지으신 5부 경론을 완전히 배웠다. 쫑카빠 대사는 전생에 이미 많은 것을 성취한 대성취자였기 때문에 육신의 스승들뿐 아니라 문수보살께도 직접 가르침을 받았다. 경론에 통달하였기에 36세 때 이미 설법으로 많은 중생을 이롭게 하였지만 악업정화와 복을 짓는 것, 스승과 본존(밀교의 부처님)이 둘이 아님을 관하는 본존관, 경론의 참구라는 이 세 가지에 더욱 매진하라는 문수보살의 말씀에 따라 1392년 여덟 명의 제자를 데리고 올가(A’ol Ga)라는 곳에서 3년간 용맹 정진하였다. 그로써 현교와 밀교의 일체 경론이 진정한 가르침임을 깨치게 되었으며, 그 후 53세까지 밤낮으로 현교와 밀교를 수행하여 마침내 일체의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갤첩 다르마 린첸(rgyal tshab dar ma rin chen), 캐둡 겔렉 뺄상(mkhas grub dge legs dpal bzang), 제 겐뒨 둡(rje dge `dun grub), 둘진 닥빠 갤첸(`dul `dzin grags pa rgyal mtshan), 잠양 최제 따시 뺄댄(`jam dbyangs chos rje bkra shis dpal ldan) 등과 같은 수많은 뛰어난 제자를 배출하였으며 입적하기 전까지 설법과 논쟁, 저술 활동을 통하여 교학과 수행의 법을 명확히 천명하여 불법을 널리 선양하였다. 1419년, 63세의 나이로 입적하였다.
펼치기
박은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대학졸업 후 도미渡美하였다가 달라이라마와의 인연으로 2000년에 인도로 건너갔다. 그 후 13년간 티벳의 전통학제에서 티벳어와 티벳불교를 수학하였다. 달라이라마가 설립한 승가대학(Institute of Buddhist Dialectics)의 분교(College for Higher Tibetan Studies)에 입학하여 티벳어학 및 기초 논리학을 배우고 Institute of Buddhist Dialectics에 진학하여 반야와 중관 과정을 졸업하였다. 2002년에 달라이라마 한국어 공식 통역관으로 발탁되어 2018년까지 활동했다. 귀국 후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구)티벳장경연구소에서 전임연구원을 지냈으며, 현재는 동국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나란다불교학술원에서 티벳원전을 번역하는 일에 매진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